$\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n Attitude to Euthanasia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391 - 398  

박민정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정미영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대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 WIN Version 23.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 및 안락사에 대한 태도의 정도는 각각 평균 2.75점, 3.69점 및 3.1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영적안녕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영적안녕의 하위영역인 종교적 안녕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의 설명력은 12.7% 이었다. 이는 종교적 안녕이 높을수록 안락사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임을 의미하며 대학생의 안락사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는 종교적 안녕을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ttitude to death, spiritual well-being on attitude to euthanasia of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5 subjects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WIN version 23.0. The mean score of attitu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 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고, 영적안녕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대학생들의 죽음태도, 영적안녕, 안락사 태도를 파악하고 죽음태도와 영적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그 동안 안락사에 대한 선행연구는 단편적인 인식 및 태도[12], 일반인과 간호사의 안락사 태도에 대한 비교조사[2],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의 태도에 대한 조사 [5,21,22]가 대부분으로 안락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더욱이 대학생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 및 안락사에 대한 태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 H. Kim & K. H. Min. (2010). Predictors of Death Attitude and Death Competency among the Elde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4(1), 11-27. 

  2. G. H. Ko & I. S. Cho. (2015).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General Popul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3), 229-240. doi:10.5392/jkca.2015.15.03.229 

  3. Kuhse, H. & Singer, P. (1993). Voluntary euthanasia and the nurse: an Australian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0(4), 311-322. doi:10.1016/0020-7489(93)90103-2 

  4. Asch, D. A. (1996). The Role of Critical Care Nurses in Euthanasia and Assisted Suicid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4(21), 1374-1379. doi:10.1056/nejm199605233342106 

  5. S. N. Kim & H. J. Kim. (2016). Recognition of Good Death, Attitude towards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 towards Euthanasia in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9(2), 136-144. doi:10.14475/kjhpc.2016.19.2.136 

  6. A. K. Kim. (2002). The study of attitude to passive euthanasia among korean nurs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1), 76-85. 

  7. Attell, B. K. (2020). Changing Attitudes Toward Euthanasia and Suicide for Terminally Ill Persons, 1977 to 2016. OMEGA - Journal of Death and Dying, 80(3), 355-379. doi:10.1177/0030222817729612 

  8. Cohen, J., Van Landeghem, P., Carpentier, N. & Deliens, L. (2013). Public acceptance of euthanasia in Europe: a survey study in 47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59(1), 143-156. doi:10.1007/s00038-013-0461-6 

  9. Abolfazl, F., Ramin H. K., Leyla G. & Seyyedeh, R. M. (2017). Prediction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Euthanasia Using Their Religious Orientation, Self-Esteem and Death Anxiety. Health, Spirituality and Medical Ethics, 4(3), 2-7. 

  10. H. O. Jung et al. (2010).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orientation and attitudes on hospice - to develop homo humanitas thanatology.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22, 153-168. 

  11. M. S. Kim. (2010). Philosophical studies on cognition and attitude of Koreans towards death. The Journal of Confucianism Research Institute, 22(1), 73-108. 

  12. S. Y. Kim., S. S. Hur & B. H. Kim. (2014). Study of Subjective View on the Meaning of Well-dying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 Based on Q-Methodology.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1), 10-17. doi:10.14475/kjhpc.2014.17.1.10 

  13. S. Y. Yun & S. H. Min. (2012). General Population's Perception and Attitude on Euthanasia. The Jounal of Korean Division of Wholitic health science, 2(2), 69-75. 

  14.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224-237. 

  15. B. R. Kim, C. U. Oh & H. K. Kang. (2016).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of Adul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156-162. doi:10.5762/kais.2016.17.9.156 

  16. G. D. Kim. (2016). The Effects of Hospice Unit Practice Education o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 Death, and Hospice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Asian Oncology Nursing, 16(4), 176-184. doi:10.5388/aon.2016.16.4.176 

  17. H. Y. So & H. S. Min. (2006).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attitude of breast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9(1), 5-14. 

  18. Y. E. Lee, H. S. Park & S. K. Son.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ing-being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of Faith & Scholarship, 12(3), 195-232. 

  19. J. S. Jun. (2014).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s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Busan. 

  20. H. J. Lee. (2004).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7(1), 29-36. 

  21. Y. M. Lee, K. A. Jung & M. A. Son. (2015).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In Convergence era. The Korean Digital Convergence research, 13(6), 213-224. 

  22. M. H. Sung, J. C. Jeon & H. J. Mo. (2007). Nurs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Euthanasia. The Journal of Asian Oncology Nursing, 7(2), 140-149 

  23. Thorson, J. A & Powell, F. C. (1988).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s of dea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5), 691-701. doi.org/10.1002/1097-4679(198809)44:5 3.0.co;2-d 

  24. J. H. Kim & Y. E. Lee. (2011).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in Volunteers for Hospice Care. The Journal of Korean Wholitic Nursing Science, 5, 84-98. 

  25. Cheung et al. (2001).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piritual well being scal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2), 230-242. 

  26. A. K. Kim. (2001).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attitude euthanasia by Korea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8(1), 95-104. 

  27. H. R. Lee, E. K. Hong & K. M. Kim. (2016).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 Euthanasia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0(1), 215-222.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 at the end of lif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nline]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C%97%B0%EB%AA%85%EC%9D%98%EB%A3%8C%EA%B2%B0%EC%A0%95%EB%B2%95#undefined 

  29. J. Y. Park. (2014). Study on Undergraduates' Recognitions of Abortion, Suicide and Euthanas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0. S. H. Kim & H. R. Lee. (2003) General Population's View on Euthanasia.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6(2), 133-143 

  31. H. J. Lee, J. S. Kim, H. Kim & C. T. Kim. (2019). The awareness of medical department students about euthanasia.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3(1), 165-178 doi.org/10.14408/KJEMS.2019.23.1.165 

  32. G. S. Park. (2000). The study of consciousness of euthanasia among health profession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33. S. N. Kim & S. B. Lee. (2013).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86-194. doi.org/10.14370/JEWNR.2013.19.2.186 

  34. J. B. Min & J. Y. Song.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between death anxiety and the elderly's ego integrity :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Christians and no religion. Theology and Praxis, 66, 215-243. doi:10.14387/jkspth.2019.66.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