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작업치료사의 퇴원계획 개입에 대한 실태 조사연구
Survey on the Discharge Planning of Occupational Therapist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2, 2020년, pp.55 - 71  

황나경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  유은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환자의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과 퇴원 스크리닝과 계획을 위해 고려되어야할 영역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 퇴원계획 현황, 퇴원평가와 퇴원계획 필요성,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티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은 쉐페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퇴원계획과 준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퇴원평가도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작업치료사의 퇴원 관련 지식 및 정보 보유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퇴원계획중재 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면담과 평가를 위한 적절한 수가의 부재, 퇴원계획을 위한 팀 접근의 부족, 퇴원계획을 위한 적절한 평가도구의 부재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퇴원 시 평가의 필요성이 높은 영역은 낙상위험과 BADL수행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의 필요성이 낮은 영역은 안녕감과 발병 전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효과적인 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volvement in patient discharge planning, the area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discharge screening and planning,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harge assessment...

Keyword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퇴원계획은 환자의 기능과 건강관리에 대한 지식, 환자의 상황에 대한 이해, 환자 개인의 필요에 대한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추론 기술 등이 요구되는 매우 복잡한 과정으로(Hamby, 2011), 작업치료사로 하여금 환자의 회복 잠재력을 파악하게 하고, 향후 환자의 독립성 정도를 높이는 중재의 적절한 단계를 설정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한다(Crennan & MacRae, 2010). 또한 병원의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자와 시스템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통해 병원 서비스에 대한 환자 만족도와 서비스가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공식적으로 제공한다. 재입원율 감소와 환자 만족도 향상은 성공적인 퇴원계획의 지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Roberts & Robinson, 201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활세팅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환자의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의 필요성과 효율적인 퇴원 스크리닝과 계획을 위해 고려되어야할 영역을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사의 퇴원계획 개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의 필요성과 효율적인 퇴원계획을 위해 퇴원 시 고려되어야할 영역을 확인하여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재고하고, 효과적인 퇴원평가도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의 필요성과 환자 퇴원 시 고려해야할 영역을 확인하여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제고하고, 효과적인 퇴원 평가도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환자의 퇴원계획과 준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퇴원평가도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작업치료사의 퇴원 관련 지식 및 정보 보유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원계획의 안전한 실행을 위한 제도중 미국의 메디케어 제도의 경우 어떤 퇴원계획을 지향하는가? National Quality Forum(2009)에서는 퇴원계획의 안전한 실행을 위한 제도와 문화가 조성되어야 환자가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장소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미국의 메디케어 제도의 경우 모든 의료기관은 보건의료 전문가에 의해 환자의 퇴원 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유해 인자를 파악하고, 환자와 가족을 상담 ․ 교육하며, 퇴원 평가를 실시하고 기록할 것에 대해 의무화함으로써 퇴원 후 다양한 의료복지 서비스 이용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자기 관리(self-care)에 관한 측면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퇴원계획을 지향한다(Hager, 2010).
퇴원계획이란 무엇인가? 퇴원계획(discharge planning)이란 환자를 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병원 내 보건의료 전문가가 환자 퇴원 후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보호계획을 개발하는 병원차원의 팀 접근 과정이다(Carroll & Dowling, 2007). 환자 중심의 포괄적 퇴원 계획은 의학적 필요가 높은 환자의 재입원율을 낮추는데 기여한다(Kripalani, Theobald, Anctil, & Vasilevskis, 2014; Medicare Learning Network, 2014).
뇌졸중이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노인의 복합질환 유병율의 증가는 의학적 필요와 더불어 재활에 대한 필요를 더욱 증가시켜왔다(Chatterji, Byles, Cutler, Seeman, & Verdes, 2015). 특히 65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호발하는 뇌졸중은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로 운동 및 감각손상, 인지기능 저하, 삼킴 장애, 대소변 조절의 어려움 등으로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의존성을 높인다. 뇌졸중 환자는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장애를 동반하기 때문에 퇴원 후 지속적인 관리와 재활 중재가 필요하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형섭, 김종문, 임현선, 홍지성, 하다솔, & 권준범 (2015). 뇌졸중 환자의 급성기 의료이용 분석을 통한 효율적 재활이용 근거 생성 연구. Retrieved from https://www.nhimc.or.kr/open-Info/management/audit/hospital_41_disc_audit05_1.do 

  2. Back, J. Y., & Jun, S. E. (2012). Effects of symptom-based discharge education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541-2553. 

  3. Blaga, L., & Robertson, L. (2008). The nature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in acute physical care settings. 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2),11-18. 

  4. Carroll, A., & Dowling, M. (2007). Discharge plann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patient participation. British Journal Nursing, 16(14), 882-886. doi:10.12968/bjon.2007.16.14.24328 

  5. Chatterji, S., Byles, J., Cutler, D., Seeman, T., & Verdes, E. (2015). Health, functioning, and disability in older adults-present status and future implications. Lancet, 385(9967), 563-575. doi:10.1016/s0140-6736(14)61462-8 

  6. Craig, G., Robertson, L., & Milligan, S. (200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in acute physical health care settings: A pilot study. New Zealand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1), 5-13. 

  7. Crennan, M., & MacRae, A. (2010). Occupational therapy discharge assessment of elderly patients from acute care hospitals.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28(1), 33-43. doi:10.3109/02703180903381060 

  8. Eija, G., & Marja-Leena, P. (2005). Home care personnel's perspectives on successful discharge of elderly clients from hospital to home setting.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9(3), 288-295. doi:10.1111/j.1471-6712.2005.00343.x 

  9. Fine, A. H. (1996). Leisure,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R. Rewick, I. Brown, & M. Nagler(Eds.), Quality of life in health promotion and rehabilitation(pp. 342-356).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0. Gorman, S. L., Wruble Hakim, E., Johnson, W., Bose, S., Harris, K. S., Crist, M. H., ... Coe, J. B. (2010). Nationwide acute physical therapy practice analysis identifie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that reflect acute care practice. Physical Therapy, 90(10), 1453-1467 doi:10.2522/ptj.20090385 

  11. Hager, J. S. (2010). Effects of a discharge planning intervention on perceived readiness for discharge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sophia.stkate.edu/dnp_projects/2 

  12. Hamby, J. R. (2011). Discharge planning: A consultative partnership. In H. Smith-Gabai(Ed.), Occupational therapy in acute care(pp. 687-698). Bethesda, MD: AOTA. 

  13. Holm, S. E., & Mu, K. (2012). Discharge planning for the elderly in acute care: The perceptions of 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30(3), 214-228. doi:10.3109/02703181.2012.719601 

  14. Hyndman, D., & Ashburn, A. (2003).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Attention attention deficits, balance, ADL ability and fall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5(15), 817-822. doi:10.1080/0963828031000122221 

  15. Jun, S. H. (2010).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inpatients at the discharge stage (Master's thesis). Ewha wamans University, Seoul. 

  16. Kripalani, S., Theobald, C. N., Anctil, B., & Vasilevskis, E. E. (2014). Reducing hospital readmission rates: Current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s. Annual Review of Medicine, 65, 471-485. doi:10.1146/annurev-med-022613-090415 

  17. Kim, D. Y., Kim, Y. H., Lee, J. M., Chang, W. H., Kim, M. W., & Pyun, S. B. (2017).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troke rehabilitation in Korea 2016. Brain & Neurorehabilitation, 10(1), doi:10.12786/bn.2017.10.e11 

  18. Matmari, L., Uyeno, J., & Heck, C. S. (2014). Physiotherapists'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with the discharge planning process in acute-care general internal medicine units in Ontario. Physiotherapy Canada, 66(3), 254-263. doi:10.3138/ptc.2013-12 

  19. Masley, P. M., Havrilko, C. L., Mahnensmith, M. R., Aubert, M., & Jette, D. U. (2011). Physical therapist practice in the acute care setting: A qualitative study. Physical Therapy, 91(6), 906-919. doi:10.2522/ptj.20100296 

  20. Medicare Learning Network. (2014). Discharge planning (ICN 908184). Retrieved from https://www.cms.gov/Outreach-and-Education/Medicare-LearningNetwork-MLN/MLNProducts/Downloads/Discharge-Pl-ICN908184.pdf.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A study of healthcare promotion for the disabilities in Korea. Retrieved from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 tDetail.do?cnTRKO201600016088 

  22. Mozaffarian, D., Benjamin, E. J., Go, A. S., Arnett, D. K., Blaha, M. J., Cushman, M., & Turner, M. B. (2016).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6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33(4). doi:10.1161/CIR.0000000000000350 

  23. National Quality Forum. (2009). Safe practice 15: Discharge systems. In safe practices for better healthcare -2009 update(pp. 175-181). Retrieved from http://www.qualityforum.org/Publications/2009/03/Safe_Practices_for_ Better_Healthcare%E2%80%932009_ Update.aspx. 

  24. Park, E. J. (1995). Study of the reactions of discharge: For application in the discharge planning process (Master's thesis). Ewha wamans University, Seoul. 

  25. Petersson, P., Springett, J., & Blomqvist, K. (2009). Telling stories from everyday practice, an opportunity to see a bigger pictur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ject about developing discharge planning.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7(6), 548-556. doi:10.1111/j.1365-2524.2009.00854.x 

  26. Pethybridge, J. (2004). How team working influences discharge planning from hospital: A study of four multi-disciplinary teams in an acute hospital in England.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8(1), 29-41. doi:10.1080/13561820410001639334 

  27. Roberts, P. S., & Robinson, M. R. (2014). Occupational therapy's role in preventing acute readmission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3), 254-259. doi: 10.5014/ajot.2014.683001 

  28. Robertson, C., & Finlay, L. (2007). Making a difference, teamwork and coping: The meaning of practice in acute physical settings.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0(2), 73-80. doi:10.1177/030802260707000205 

  29. Robertson, L. & Blaga, L. (2013).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s used in acute physical care settings.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2), 127-135. doi:10.3109/11038128.2012.737369 

  30. Rhee, S. J., Shin, E. Y., & Jang, S. R. (2001). A study on discharge service needs for discharge planning program development to the elderly at the hospital.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15(2), 376-386. 

  31. Smith-Gabai, H. (2016). Occupational therapy discharge planning and recommendations in acute care: An action research study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s://nsuworks.nova.edu/hpd_ot_student_dissertations/54 

  32. Teasell, R., McRae, M., Foley, N., & Bhardwaj, A. (2002). The incidence and consequences of falls in stroke patients during inpatient rehabilit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risk.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3), 329-333. doi:10.1053/apmr.2002.29623 

  33. Umphred, D. A., Burton G. U., Lazaro, R. T., & Roller M. L. (2007). Neurological rehabilitation(5th ed., pp. 263-264). Louis: Mosby. 

  34. Yoo, S. H. (2003). The educational needs of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 in admission and discharg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