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졸중 및 노인 환자의 퇴원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Discharge Assessment Tool in Stroke and Elderly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3, 2020년, pp.7 - 21  

황나경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  유은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시기에 이루어지는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평가 항목과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퇴원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 선정은 PubMed, Medline Complete(EBSCOhost), Scopus를 사용하여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의 온라인 데이터에 등록된 연구를 대상으로 최종 22편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연구 설계 및 퇴원 시 주요 평가영역, 하위영역,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선택된 연구들의 연구 설계 형태는 기술적 연구가 13편(59.2%)으로 가장 많았다. 퇴원 시 평가 영역은 의학적 상태, 일상생활활동, 삼킴 기능, 감각, 이동성, 인지·지각, 의사소통, 감정상태, 가정환경, 환자의 지식과 퇴원을 위한 준비, 사회적지지, 안녕감 등 12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에 따라 사용된 평가도구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빈도의 사용을 보이는 평가도구는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안녕감을 평가하는 Short Form Health Survey, 이동성을 평가하는 Timed Up and Go test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노인 환자의 퇴원 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평가 영역과 평가도구의 사용과 제한적이나 여러 영역을 포괄하는 평가도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시 고려되는 평가 영역과 효과적인 평가도구의 선택을 돕고 적절한 퇴원계획 중재와 제안을 위한 포괄적인 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analyze the assessment items and tools used for the discharge of stroke and elderly patients and to help select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discharge planning. Methods :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were collected from the PubMed, Medl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시 실시된 총 22편의 문헌을 통해 퇴원 평가의 영역과 하위 영역, 사용된 평가도구 등을 분석함으로써 퇴원 시 효과적인 평가도구의 선택을 돕고, 효율적인 퇴원계획을 위한 포괄적 퇴원평가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퇴원 시 평가가 포함된 22개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연구 설계, 평가 영역 및 평가 하위 영역, 사용된 평가도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노인 환자의 퇴원 시 이루어진 평가 영역 및 평가 하위 영역과 각 영역에 따라 사용된 평가도구에 대해 총 22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평가 영역은 12개 영역으로 나타났고, 퇴원 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의학적 상태와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이동성과 인지·지각 등의 기능을 평가하는 영역뿐만 아니라 감정 상태와 가정환경 평가, 환자의 지식과 퇴원에 대한 준비, 사회적지지, 안녕감 등 여러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시기에 이루어지는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평가 항목과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여 퇴원 시기에 요구되는 효과적인 평가도구에 대한 선택을 돕고, 효율적인 퇴원계획을 위한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며, 향후 퇴원을 위한 포괄적인 평가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입원기간 동안 보건의료 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 영역인 환자의 회복, 건강 증진과 안녕(Well-being) 등은 이제 퇴원 후 지역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대상자들의 퇴원 과정에 포함해야 할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었다(Mistiaen, Duijnhouwer, & Ettema, 2000). 준비된 퇴원은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촉진시키고, 지역사회 전환 이후 지속적인 안녕을 유지하게 하며, 재입원율을 감소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퇴원계획은 국가 차원의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활용과 불필요한 의료비 개선 등의 건강관리 시스템의 적절한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Cruz, Fine, & Nori, 2017; Wo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65세 이상 장애인구 출현율은? 국내 65세 이상 장애인구 출현율은 46.6%로, 우리 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장애 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병원 이용률도 증가하고 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대표적 노인성 질환의 하나인 뇌졸중은 노화의 진행과 함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준비된 퇴원은 국가 차원에서 무엇을 가능케 하는가? 준비된 퇴원은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촉진시키고, 지역사회 전환 이후 지속적인 안녕을 유지하게 하며, 재입원율을 감소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퇴원계획은 국가 차원의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활용과 불필요한 의료비 개선 등의 건강관리 시스템의 적절한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Cruz, Fine, & Nori, 2017; Wong et al., 2011).
뇌졸중의 발생 위험은 무엇과 함께 증가하는가? 6%로, 우리 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장애 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병원 이용률도 증가하고 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대표적 노인성 질환의 하나인 뇌졸중은 노화의 진행과 함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전체 뇌졸중 환자의 75%가 일상생활활동의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65세 이상 뇌졸중 환자의 경우 80%가 일상생활활동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Stur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cker, D., Sharma, P., Kilgore, M., & Yurgin, N. (2015). Real-world costs for first and recurrent event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the elderly medicare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Lipidology, 9(3), 454. doi:10.1016/j.jacl.2015.03.072 

  2. Bodilsen, A. C., Klausen, H. H., Petersen, J., Beyer, N., Andersen, O., Jorgensen, L. M., & Bandholm, T. (2016). Prediction of mobility limitations after hospitalization in older medical patients by simple measures of physical performance obtained at admission to the emergency department. PLoS One, 11(5), 1-11. doi:10.1371journal.pone.0154350 

  3. Bowling, A., & Iliffe, S. (2011). Psychological approach to successful ageing predicts future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9(1), 1-13. doi:10.1186/1477-7525-9-13 

  4. Case-Smith, J., & Powell, C. A. (2008). Research literature in occupation therapy, 2001-2005.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4), 480-486. doi:10.5014/ajot.62.4.480 

  5. Cruz, L. C., Fine, J. S., & Nori, S. (2017). Barriers to discharge from inpatient rehabilitation: A teamwork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30(2), 137-147. doi:10.1108/IJHCQA-07-2016-0102 

  6.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Victoria. (1998). Effective discharge strategy background paper: A framework for effective discharge. Retrieved from http://www.health.vic.gov.au/archive/archive2008/discharge/paper 

  7. Gonzalez-Fernandez, M., Ottenstein, L., Atanelov, L., & Christian, A. B. (2013). Dysphagia after stroke: An overview. Current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Reports, 1(3), 187-196. doi:10.1007/s40141-013-0017-y 

  8. Harris, S., James, E., & Snow, P. (2008). Predischarge occupational therapy home assessment visits: Towards an evidence base.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5(2), 85-95. doi:10.1111/j.1440-1630.2007.00684.x 

  9. Hsueh, I. P., Wang, C. H,, Liou, T. H., Lin, C. H., & Hsieh, C. L. (2012). Test- 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mprehensi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asure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4(8), 63-41 . doi:10.2340/16501977-1004. 

  10. Johnston, K., Barras, S., & Grimmer-Somers, K. (2010). Relationship between pre discharge occupational therapy home assessment and prevalence of post discharge falls.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16(6), 1333-1339. doi:10.1111/j.1365-2753.2009.01339.x 

  11. Khan, A., Carmona, R., & Traube, M. (2014). Dysphagia in the elderly.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30(1), 43-53. doi:10.1016/j.cger.2013.10.009 

  12. Kim, J. S., Choi-Kwon, S., Kwon, S. U., Lee, H. J., Park, K. A., & Seo, Y. S. (2005).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fter ischemic stroke: Young versus old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1(1), 59-68. doi:10.3988/jcn.2005.1.1.59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National surve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017. Retrieved from https://www.data.go.kr/data/15044551/fileData.do 

  14. Miller, J. F., Piacentine, L. B., & Weiss, M. (2008). Coping difficulties after hospitaliza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4), 278-296. doi:10.1177/1054473808325226 

  15. Mistiaen, P., Duijnhouwer, E., & Ettema, T. (2000). The construction of a research model on post-discharge problem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1990-1995. Social Work in Health Care, 29(4), 33-68. doi:10.1300/J010v29n04_03 

  16.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icine, 6(7), 1-6. doi:10.1371/journal.pmed.1000097 

  17. Mozaffarian, D., Benjamin, E. J., Go, A. S., Arnett, D. K., Blaha, M. J., Cushman, M., & Turner, M. B. (2016).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6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33(4), 310-314. doi:10.1161/CIR.0000000000000350 

  18. Ostir, G. V., Berges, I. M., Kuo, Y. F., Goodwin, J. S., Fisher, S. R., & Guralnik, J. M. (2013). Mobility activity and its value as a prognostic indicator of survival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1(4), 551-557. doi:10.1111/jgs. 12170 

  19. Samsa, G. P., Bian, J., Lipscomb, J., & Matchar, D. B. (1999). Epidemiology of recurrent cerebral infarction. Stroke, 30(2), 338-349. doi:10.1161/01.STR.30.2.338 

  20. Schneider, M. A., & Howard, K. A. (2017). Using technology to enhance discharge teaching and improve coping for patients after stroke.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49(3), 152-156. doi:10.1097/jnn.0000000000000275 

  21. Shepperd, S., Lannin, N. A., Clemson, L. M., McCluskey, A., Cameron, I. D., & Barras, S. L. (2013). Discharge planning from hospital to hom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0313. doi:org/10.1002/14651858.CD000313.pub4 

  22. Sturm, J. W., Dewey, H. M., Donnan, G. A., Macdonell, R. A., McNeil, J. J., & Thrift, A. G. (2002). Handicap after stroke: How does it relate to disability, perception of recovery, and stroke subtype? The North East Melbourne Stroke Incidence study(NEMESIS). Stroke, 33(3), 762-768. doi:10.1161/hs0302.103815 

  23. Taylor, R., Kurytnik, L., & Pain, K. (2007). Discharge planning for older adults: The added value of occupational therapy home visits. Occupational Therapy Now, 9(5), 18-20. 

  24. Wong, E. L., Cheung, A. W., Leung, M. C., Yam, C. H., Chan, F. W., Wong, F. Y., & Yeoh, E. K. (2011). Unplanned readmission rates, length of hospital stay, mortality, and medical costs of ten common medical condition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Hong Kong hospital data.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1, 1-11. doi:10.1186/1472-6963-11-149 

  25. Yam, C. H., Wong, E. L., Cheung, A. W., Chan, F. W., Wong, F. Y., & Yeoh, E. K. (2012). Framework and components for effective discharge planning system: A delphi methodolog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2, 1-16. doi:10.1186/1472-6963-12-3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