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An integrative review of learning experiences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2, 2020년, pp.111 - 122  

홍수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ursing education will change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for nursing student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nursing education geared to the n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연구에서 간호교육 시 고려할 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학습경험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점과 간호대학생이 학습 시 어렵게 느꼈던 부분에 대해 찾아볼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은 기존의 강의식 수업에서는 지루함을 느끼고 과목에 대한 흥미가 저하되었지만, 반면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익숙해지는 데까지 어려움을 느꼈다.
  • Wittemore와 Knafl (2005)은 통합적 문헌고찰의 결론을 표나 그림의 형태로 나타내면 연구의 결과의 논리적 흐름을 보여주고, 비교와 대조과정을 쉽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마지막 절차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선택된 연구논문의 리스트를 만들고(Table 1), 표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개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Table 2, Table 3). 도출된 속성은 연구 결과 부분에 제시하였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간호대학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학습의 종류와 이에 따른 의의를 확인하여, 추후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대학생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과 방향성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질적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통합하여 간호교육발전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 PBL, TBL, 플립러닝,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실 훈련은 간호대학생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한 문제 해결역량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A1, A2, A5, A6). 또한 팀별로 함께 상호작용하며,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공동의 지식창출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A1, A2, A5, A11). 지역사 회간호학 이론수업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이 지역사회 간호학을 이해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이론 강의 외 다양한 사례 제시, 과제, 조별 토론 수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A7).
  • 본 연구는 한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대학에서의 학습경 험을 탐색한 질적연구를 이용하여 간호 교육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및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이 주는 의미를 중심 으로 논의하면서 추후 간호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대학생의 간호대학 학습경험을 탐구한 질적 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방법으로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이다.
  • Whittemore와 Knafl (2005)이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의 첫 번째 단계는 문헌 고찰하고자 하는 현상과 연구의 목적으로 분명히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을 제외하고 간호대학에서 경험한 학습경험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간호교육에서 간호대학생들의 경험과 관련된 한국 간호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 하고자 하였다. Wittemore와 Knafl (2005)은 통합적 문헌고찰의 결론을 표나 그림의 형태로 나타내면 연구의 결과의 논리적 흐름을 보여주고, 비교와 대조과정을 쉽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대학 교과목 학습경험을 탐구한 질적연구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추후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연구 전략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간호대학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학습의 종류와 이에 따른 의의를 확인하여, 추후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대학생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법과 방향성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질적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통합하여 간호교육발전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질적연구를 고찰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의 특성을 기술하는 한편,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 실체를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간호교육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은 학습경험을 통해 성장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습과정 중 어려움이 있더라도 극복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중하였다. 둘째, 학습과정 중의 성취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경험하였다.
  • 통합적 문헌고찰을 실시한 결구 본 연구에서, 실제적 경험과 학습자 중심 학습을 목적으로 다양한 학습경험이 이루어졌다. 학습 경험은 시뮬레이션, PBL, TBL, 플립러닝 등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한 교육이 많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faro-Lefevre, R. (2016). Critical thinking,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judgment: A practical approach (6th ed.). Philadelphia: Elsevier Health Sciences. 

  2. Baldwin, C. (2015). Narrative ethics for narrative care. Journal of Aging Studies, 34, 183-189. https://doi.org/10.1016/j.jaging.2015.02.014 

  3. Barrows, H. S. (1994).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4. Benner, P., Sutphen, M., Leonard, V., & Day, L. (2009). Educating nurses: A call for radical transform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 Blum, C. A., & Parcells, D. A. (2012). Relationship between high-fidelity simulation and patient safety in prelicensure nursing educ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1(8), 429-435. https://doi.org/10.3928/01484834-20120523-01 

  6. Brauer, D. G., & Ferguson, K. J. (2015).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96. Medical Teacher, 37, 312-322. https://doi.org/10.3109/0142159x.2014.970998 

  7. Choi, K. O., & Park, Y. M. (2014).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2), 154-159. https://doi.org/10.14370/jewnr.2014.20.2.154 

  8. Colaizzi, P.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nc. 

  9. Finnerty, E. P., Chauvin, S., Bonaminio, G., Andrews, M., Carroll, R. G., & Pangaro, L. N. (2010). Flexner revisited: The role and value of the basic sciences in medical education. Academic Medicine, 85(2), 349-355.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c88b09 

  10. Gastmans, C. (1999). Care as moral attitude in nursing. Nursing Ethics, 6(3), 214-223. https://doi.org/10.1177/096973309900600304 

  11.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2. Huang, Y. M., Pliego, J. F., Henrichs, B., Bowyer, M. W., Siddall, V. J., McGaghie, W. C., et al. (2008). 2007 simulation education summit.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3(3), 186-191. https://doi.org/10.1097/SIH.0b013e3181828156 

  13. Jeffreis, P. R., Rodgers, B., & Adamson, K. (2015).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Brief narrative descrip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6(5), 292-293. https://doi.org/10.1097/00024776-201509000-00004 

  14. Jho, H. (2017). The changes of future socie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asks of school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6(3), 286-301.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3.286 

  15. Kang, K. (2019).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25(1), 49-82. https://doi.org/10.24159/joec.2019.25.1.49 

  16. Kim, H. (2018).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n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9), 30-41. https://doi.org/10.5762/KAIS.2018.19.9.30 

  17. Kim, J. K. (2011). Narrative as a medium of virtue and practice in medicine.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4(1), 1-11. https://doi.org/10.35301/ksme.2011.14.1.1 

  18. Kong, B. H. (2018). Nursing ethics. Seoul: Hynmoonsa. 

  19. Krippendorff, K.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Beverly Hills: Sage. 

  20. Kuiper, R. A., O'Donnell, S., Pesut, D., & Turrise, S. (2017). The essentials of clinical reasoning for nurses. Indianapolis: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21. Lee, S. H., & Jeon, W. T.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burnout in 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7(1), 27-35. https://doi.org/10.3946/kjme.2015.27.1.27 

  22. Li, Y., Wang, X., Zhu, X. R., Zhu, Y. X., & Sun, J. (2019).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profession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A systematic review. Nurse Education in Practice, 37, 45-55. https://doi.org/10.1016/j.nepr.2019.04.015 

  23.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4. Lincoln, Y., & Guba, E. (1986). But is it rigorous? Trustworthiness and authenticity in naturalistic evaluation. New Directions for Program Evaluation, 30, 73-84. https://doi.org/10.1002/ev.1427 

  25. McIntosh, C. E., Thomas, C. M., Wilczynski, S., & McIntosh, D. E. (2018). Increas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by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9(1), 32-34. https://doi.org/10.1097/01.nep.0000000000000179 

  26. Merisier, S., Larue, C., & Boyer, L. (2018). How does questioning influence nursing students' clinical reasoning in problem-based learning? A scoping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65, 108-115. https://doi.org/10.1016/j.nedt.2018.03.006 

  27.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 G., & The PRISMA Group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PLoS Medicine, 6(7), e1000097. https://doi.org/10.1371/journal.pmed.1000097 

  28. Oh, H. S. (2017).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311-321. https://doi.org/10.14400/JDC.2017.15.8.311 

  29. Oh, Y. J., & Kang, H. Y. (2013).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239-247. https://doi.org/10.7739/jkafn.2013.20.3.239 

  30.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31. Shin, H., Lee, J. M., & Kim, S. J. (2018). An integrative review of smartphone utilization for nursing education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4), 376-390.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4.376 

  32. Shin, S., Yang, E. B., Hwang, E., Kim, K., Kim, Y., & Jung, D.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2), 76-82. https://doi.org/10.17496/kmer.2017.19.2.76 

  33. Simmons, B. (2010). Clinical reasoning: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5), 1151-115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262.x 

  34.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 CA: Sage. 

  35.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36. Taylor, C. (1997). Problem solving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6(2), 329-336.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7.1997026329.x 

  37. Thorne, S. (2008). Interpretive description. Walnut Creek, CA: Left Coast Press. 

  38. Van Kaam, A. (1969). Existential Foundations of Psychology. New York : Doubleday. 

  39. Wittemore, R., & Knafle, K.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40. Yang, E., Lee, S., & Hwang, E. (2008). Teaching medical stud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A resource book. Seoul: Koonja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