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풍부성이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용경험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ommunication Media Richness on Continuous Intention to Use: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 Experi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187 - 195  

최주철 (경희대학교 미래혁신원) ,  김태균 (경희대학교 평생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MMS)는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으며 많이 활용하는 서비스로 기업은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MMS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이용 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398명의 10대~30대를 대상으로 MMS의 기술수용 결정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조사는 설문지와 SPSS 21 및 PLS-Graph 3.0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매체 풍부성은 매체 유용성과 매체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경험에 대한 조절 효과로 지각된 매체 풍부성은 매체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MMS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매체 풍부성, 매체 용이성, 매체 유용성 및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의 지속적인 의도에 미치는 중요 변수로 MMS의 사용자 기초자료와 개발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추가요인에 대한 조사와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MM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nd companies are maximizing the use of their content, few systematic studies on MMSs exist. This study examined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for MMS in 398 young people aged 10 to 39 to identify MMS users' continuous 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설1과 4에 대한 MMS 사용경험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경험에 대한 조절변수가 지각된 매체 풍부성에서 매체 유용성과 매체 용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MMS 사용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보기술수용모형과 매체 풍요도 이론을 고찰하여 경험의 조절변수를 통한 MMS 사용의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모형과 경험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사용자들의 경험이 증가할수록 매체에 대한 풍부성은 높아지게 되고 정보기술에 대한 활용 또한 능숙하게 다룰수록 사용자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 또한 높아지게 될 것이라 예상하였으며, 선행연구에 의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기존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지금까지 살펴본 여러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지각된 매체 풍부성이 매체 용이성과 매체 유용성, 매체 용이성과 매체 유용성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하고자 한다. 특히, MMS사용자들의 이용경험이 정보기술수용의 핵심 변수인 유용성과 용이성을 조절할 것으로 추론하여 Fig.
  • 가설1과 4에 대한 MMS 사용경험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경험에 대한 조절변수가 지각된 매체 풍부성에서 매체 유용성과 매체 용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세부적인 MMS 사용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험 집단간의 차이를 통하여 고 경험자와 저 경험자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 0을 이용하여 판별타당성을 알아보는 방법에는 2가지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첫째, 구성개념 간 상관계수 각각에 대한 95% 표준오차 구간추정치가 1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판별타당성이 존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별타당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가설 설정

  • H1a : 지각된 매체 풍부성은 매체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b : 지각된 매체 풍부성은 매체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매체 용이성은 매체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매체 용이성은 지속된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매체 유용성은 지속된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a : 지각된 매체 풍부성은 경험에 따라서 매체 용이성에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 H5b : 지각된 매체 풍부성은 경험에 따라서 매체 유용성에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성능 스마트 기기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최근 5G 스마트폰 기반의 초고속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성능 스마트 기기의 등장은 개인과 개인, 기업과 개인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 주었으며, 코로나19, 태풍과 같은 재난 발생 시에 유용한 국가 정보 전달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연동된 스마트워치, 밴드 등은 자기 신체의 일부처럼 항상 휴대가 가능하며,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RCS란 무엇인가? 예로서, 일상에서 흔히 수신되는 수많은 스팸 문자들과 각종청구서를 비롯한 금융거래나 택배 알림톡과 같은 메시징 서비스관련 시장 중심으로 매우 크게 형성되어 있고, 카카오의 플친메시지와 같은 광고를 기본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또한 기존 문자메시지 서비스가 진화한 차세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로 최대 100명 그룹대화, 최대 100MB 대용량 파일전송, 선물하기, 송금하기, 읽음확인 등 기능을 가진 채팅플러스를 선보이며 국내에서 이천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이처럼 MMS는 플랫폼의 발전과 더불어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 연구들을 보면 주로 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등의 요인과 사회적 유용성을 설명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2,3].
확장된 TAM모형이 제시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TAM에서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관련 선행연구가 뒷받침하고 있다[4,7,8]. TAM은 유용하고 정보기술의 수용과정 모델로서 많은 실증 연구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 받아왔으나 TAM의 기본적인 구성변수가 다양한 정보시스템의 환경에 대해 완전하게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9]. 또한 인간의 사회 변화과정을 반영된 변수를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모델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10].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을 위해 TAM은 다양한 형태로 정교한 확장된 TAM모형이 제시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 Y. Yang & Y. S. Park. (2005). A prediction model of cellular phone tendency among adolescents.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4), 1-16. 

  2. G. Jiang & W. Deng. (2011). An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mobile instant messaging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9(6), 563-584. DOI : 10.1504/ijmc.2011.042777 

  3. B. K. Lee & B. S. Kim. (2012). A study on customers' impulsive buying in social commerce environment: the role of flow and emotion. The Kor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1(3), 117-136. DOI : 10.5859/kais.2012.21.3.117 

  4. F. 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DOI : 10.2307/249008 

  5. I. Ajzen & M. Fishbein.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ur. NewJersey: Prentice-Hall. 

  6. H. P. Shih. (2004).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Internet utilization behavior. Information & Management, 41(6), 719-729. DOI : 10.1016/j.im.2003.08.009 

  7. L. Y. Zhu & J. K. Park. (2018). A Effects of Travel Agents' Application Quality on the Intention to Reuse: Applying a Technical Acceptance Mode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22(1), 259-279. DOI : 10.18604/tmro.2018.22.1.12 

  8. K. M. Kim & N. J. Kim. (2019). Analysis of food consumers of usag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towards technology-based self-service(TBSS) : Focused on TRAM(integrated 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model).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1(3), 237-257. DOI : 10.31336/JTLR.2019.3.31.3.237 

  9. V. Venkatesh, M. G. Morris, G. B. Davis & F. D. Davis.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DOI : 10.2307/30036540 

  10. P. Legris, J. Ingham & P. Collerette. (2003). Why do people use information technology? A critical review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40(3), 191-204. DOI : 10.1016/s0378-7206(01)00143-4 

  11. Y. H. Kim. (2003).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 Pakyoungsa. 

  12. R. Scherer, F. Siddiq & J. Tondeur. (2019).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 meta-analyt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o explaining teachers' adop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128, 13-35. DOI : 10.1016/j.compedu.2018.09.009 

  13. J. Y. Jeong & T. W. Roh. (2017). The Intention of Using Wearable Devices: Based on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205-212. 

  14. Q. Q. Chen & H. J. Park. (2018). Consumer Study on the Acceptance of VR Headsets based on the Extended T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6), 117-126. 

  15. H. D. Moon & J. W. Kim. (2009). A Study on the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Involuntary IT Usage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7(3), 13-24. 

  16. R. L. Daft & R. H. Lengel. (1986). Organiz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 Media richness and structural design. Management Science, 32(5), 554-571. DOI : 10.1287/mnsc.32.5.554 

  17. S. J. Choi, K. J. Kang & I. S. Ko. (2007). The impacts of media richness, media usefulness, and media experience on the leaner's satisfaction with e-learning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4(2), 27-47. 

  18. D. Adam, R. Nelson & P. Todd. (1992).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 MIS Quarterly, 16(2), 227-248. DOI : 10.2307/249577 

  19. S. H. Oh & S. H. Kim. (2006).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Usage of Internet Banking: Focusing o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n Journal of Marketing, 21(1), 1-27. 

  20. W. H. DeLone & E. R. McLean. (1992). Information Systems Success :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60-95. DOI : 10.1287/isre.3.1.60 

  21. P. B. Seddon. (1997).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8(3), 240-253. DOI : 10.1287/isre.8.3.240 

  22. K. O. Matthew, C. Lee, M. K. Cheung & Z. H. Chen. (2007). Understanding user acceptance of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13), 2066-2077. DOI : 10.1002/asi.20670 

  23. J. Fulk & D. Ryu. (1990). Perceiving Electronic Mail Systems : A Partial Test of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Paper presented to a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Dublin. 

  24. E. Karahanna & Limayem. (2000). E-Mail and V-Mail Usage: Generalizing Across Technologies. Journal of Organizational Computing and Electronic Commerce. 10(1), 49-66. DOI : 10.1207/s15327744joce100103 

  25. F. D. Davis, R. D. Bagozzi & P. R. Warshaw.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MI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26. M. Igbaria, T. Guimaraes & G. Davis. (1995). Testing the determinants of microcomputer usage vi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1(4), 87-114. DOI : 10.1080/07421222.1995.11518061 

  27. J. R. Carlson & R. W. Zmud. (1999). Channel Expansion Theory and the Experiential Nature of Media Richness Percep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2(2), 153-170. DOI : 10.2307/257090 

  28. V. Venkatesh & F. D. Davis.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DOI : 10.1287/mnsc.46.2.186.11926 

  29. K. Mathieson. (1991). Predicting user intention: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173-191. DOI : 10.1287/isre.2.3.173 

  30. A. Bhattacjerjee. (2001).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 - 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351-370. DOI : 10.2307/3250921 

  31. W. W. Chin & P. A. Todd. (1995). On the Us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IS Research: A Note of Caution. MIS Quarterly, 19(2), 237-246. DOI : 10.2307/249690 

  32. J. C. Nunnally.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33. R. P. Bagozzi & Y. Yi. (199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34. J. C. Anderson & D. W. Gerbing. (199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y Bulletin, 103(3), 411-423. DOI : 10.1037/0033-2909.103.3.411 

  35.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e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Science, 18(1), 39-50. DOI : 10.2307/3151335 

  36. M. Igbaria, N. Zinatelli, P. Cragg & A. L. M. Cavaye. (1997). Personal computing acceptance factors in small firm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MIS Quarterly, 21(30), 279-305. DOI : 10.2307/249498 

  37. M. K. Ahuja & J. B. Thatcher. (2005). Moving Be-yond Intentions and Toward the Theory of Trying: Effects of Work Environment and Gender on Post-Adoption Information Technology Use. MIS Quarterly, 29(3), 427-459. DOI : 10.2307/251486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