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 종사자들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수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Acceptance of Digital Innov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of Financial Institution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2, 2021년, pp.259 - 266  

박미정 (농협중앙회) ,  최승일 (공주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금융 산업핀테크 등 혁신적인 기술 발전으로 전통적인 금융서비스 패턴이 급격히 바뀌고 있으나, 금융기관 종사자들의 디지털 체감수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기관 종사자가 디지털 혁신기술에 대한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수용 의도와 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통합기술 수용이론(UTAUT)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를 내적 기대, 외적 영향, 촉진 조건, 고용 위험으로 나누고, N은행에 근무하는 100명의 은행원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SPSSAMOS 18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내적 기대와 외적 영향은 금융기관 종사자의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촉진 조건, 고용 위험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디지털 혁신기술에 대한 수용 의도와 업무성과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용 의도가 업무성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디지털 혁신기술에 대한 금융기관 종사자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함으로써, 종사자의 수용 의도를 높이고 업무성과 향상방안을 마련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financial industry has seen a dramatic chang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FinTech,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igital level of financial institution workers. This study analyzes factor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financial institution work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선 현장에서 고객을 관리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은행원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혁신기술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고,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조직차원에서 종사자들의 디지털역량과 업무성과 향상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디지털 혁신기술이 금융기관 종사자의 수용 의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서울과 인천에 위치한 일반지점에 근무하는 Ne행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0년 2월 17일부터 3월 20일 까지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혁신기술에 대한 금융기관 종사자의 수용 의도와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적용하여, 어떤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이론 모델을 응용하여 내적 기대, 외적 영향, 촉진 조건의 변인을 추출하였으며, 디지털 혁신기술로 인한 일자리 대체 가능성에 대한 사용자의 불확실성이 주요한 요인일 것으로 판단하여 고용 위험을 추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 ;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을 적용하여 내적 기대, 외적 영향, 촉진 조건, 고용 위험 측면에서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디지털 혁신기술에 대한 수용 의도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수용의도와 업무성과 간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선 현장에서 고객을 관리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은행원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혁신기술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고,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조직차원에서 종사자들의 디지털역량과 업무성과 향상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내적 기대는 디지털 혁신기술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1 : 내적 기대와 수용 의도와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은 조절작용을 할 것이다.
  • 가설 2 : 외적 영향은 디지털 혁신기술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1 : 외적 영향과 수용 의도와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은 조절작용을 할 것이다.
  • 가설 3 : 촉진 조건은 디지털 혁신기술 수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1 : 촉진 조건과 수용 의도와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은 조절작용을 할 것이다.
  • 가설 4 : 고용 위험은 디지털 혁신기술 수용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1 : 고용 위험과 수용 의도와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은 조절작용을 할 것이다.
  • 가설 5 : 수용 의도는 디지털 혁신기술 업무성과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설 H1, H2, H5채택되었으며, H3 H4는 기각되었다. 채택된 가설 H1, H2에서 조절 효과를 분석하면, 외적영향에서 성별과 연령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만, 내적기대에서는 성별과 연령의 조절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anKyung. 1 in 3 World Bank extinction crisis. Available From: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102229201 (accessed Oct. 22, 2019) 

  2. K. S. Kim and K. Y. Lee, M. J. Jo, Financial Industry to Mee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amJeong KPMG, Korea, pp.1-26, 2017. 

  3. B. Y. An, An Empirical Investigation and Implications Employment List of Banker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Newsletter of the Institute of Finance and Economy, pp.1-19, Korea, Dec 2017. 

  4. F.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 319-339, 1989. 

  5. F. Davis et al.,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35, No.8, pp. 982-1003, 1989. 

  6. J. G. Park, Integrated Model on Twitter Adoption,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Vol.3, No.1, pp. 35-63, 2012. 

  7. R. Agarwal and E. Karahanna,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Vol.24, No.4(24:4), pp. 665-694, 2000. 

  8. V, Venkatesh et al.,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27, No.3, pp. 425-478, 2003. 

  9. S. H. Kang, A Study on the User's Acceptance and Use Easy Payment Service based on UTAUT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PhD. dissertation,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19-32, 2016. 

  10. S. H. Jeon, N. R. Park, and J. J. Le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loud Computing Service in Public Sector,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0, No.2, pp. 97-122, 2011. 

  11. Yonhap Infomax, DT, Three-minutes summary, Available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rwOA46vHVic (accessed Aug 18, 2019) 

  12. H. J. Choi, Hana Financial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ech's raid on the banks, Hana CEO management issue No.13, Korea, pp. 1-3, 2019. 

  13. S. K. Song,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Domestic Banks, Issue Brief, KDB Institute for Future Strategy, Korea, pp.1-3, 2019. 

  14. J. Paul Peter and Lawrence X. Tarpe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Consumer Decision Strateg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 No.1, pp.29-37, June 1975 DOI: https://doi.org/10.1086/208613 

  15. J. P. Noe, a street chart, The tangible and intangible nature of the products and stores above the buyer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Earth, Consumer Studies Research, Vol.11, No.4, pp.111-129, 2000. 

  16. J. W. Seo, A Study on Innov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SMEs (Focusing on the Moderated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Industrial & System Enginerring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pp.87-89, 2020. 

  17. S. J. Ae and J. H. Ik, The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th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9 pp. 178-189, 2020. DOI: https://doi.org/10.5762/KAIS.2020.21.9.178 

  18. J. W. Jang and J. H. lee, Changes in the Financial Market in the wak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yundai Research Institute, Korea, pp.17-40,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