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rofessionalism - For First Grader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297 - 304  

권진희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최봉실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을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분석대상은 203명이었다. 자료는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과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학업적 자기 효능감(β=.51, p<.001)이었고, 그 다음으로 심리적 안녕감(β=.31 p<.001), 셀프리더십(β=.14, p=.043)순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변수들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총 23.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심리적 안녕감 역량을 강화시키고 셀프리더십을 함양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epare measures to enhance them.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of first-year nursing students at one university, which collected data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 효능감,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확인하고 심리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셀프리더십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행 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 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간호대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연구[7,15]에 서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 변수들과 간호학 생의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나 간호전문직관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연구는 미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을 포함하여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와 영향 요인을 확인하며, 긍정적 간호전문직관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만들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들은 어떠한 간호교육을 받는가? 이런 추세에 따라 간호전문직에서는 사례에 맞는 정확한 판단과 결정으로 스스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전문인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1]. 간호대학생들은 전문직 간호사가 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체계적 교육과정을 통해 이론 학습과 임상실습을 병행하며 전문적 간호교육을 받는다[2]. 체계적 간호 교육을 통한 간호전문직관의 긍정적인 인식의 획득은 간호 정체성을 높이며 취업 후에도 간호의 발전에 영향을 주게 된다[3].
간호대학생에게 셀프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이로 인해 간호대학생에게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과 전문 지식 습득을 위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비판적 사고와 자기관리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강조하는 개념의 셀프리더십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5]. 개인에게 주어진 과제의 목표달성을 위해 자신이 판단하고 의사 결정하는 데 필요한 덕목이 셀프리더십으로 자기 스스로 이끌어 가는 자기 통제에 근간을 두고 있다[3].
체계적 간호 교육이 간호 전문직을 양성하는 데 중요한 이유는? 체계적 간호 교육을 통한 간호전문직관의 긍정적인 인식의 획득은 간호 정체성을 높이며 취업 후에도 간호의 발전에 영향을 주게 된다[3]. 그래서 간호전문직에 대한 견해와 가치관을 올바르게 확립하고 형성하여 졸업 후 간호사로의 역할에 잘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 J. Park. (2015).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27-236. DOI:10.5977/jkasne.2015.21.2.227 

  2. H. J. Park & I. S. Jang. (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4-23. DOI:10.5977/JKASNE.2010.16.1.014 

  3. Y. M. Kwon, & E. J. Yeun. (2007). A Co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285-292. 

  4. H. O. Jeon. (2016).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ocial Self-efficac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2(2), 171-181. DOI:10.5977/jkasne.2016.22.2.171 

  5. J. I. Kim. (2018).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Well-being to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 574-583. DOI:10.5762/KAIS.2018.19.12.574 

  6. T. J. Jang & M. Moon. (2016).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4), 344-352. DOI:10.11111/jkana.2016.22.4.344 

  7. C. H. Kim & J. Y. Kim. (2019).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Self-leadership,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1), 5-16. DOI:10.5977/jkasne.2019.25.1.5 

  8. J. K. Kim. (2014).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for improvement of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47-59. DOI:10.5977/jkasne.2014.20.1.47 

  9. F. Timmins & M. Kaliszer. (2002). Aspects of nurse education programs that frequently cause stress to nursing students: fact-finding sample survey. Nurses Education, Today, 2, 203-231. 

  10. S. H. Sok, D. S. Shin & K. B. Kim. (2006). A study of co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4), 475-481. UCI : G704-001695.2006.15.4.009 

  11. A. Y. Kim & I. Y. Park.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12. A. C. M. Freitas, R. M. M. Malheiros, B. S. Lourenco, F. F. Pinto, C. C. Souza & A. C. L. Almeida. (2018). Intervening factors in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Nursing UFPE online, 12(9), 2376-2385. 

  13. C. D. Ryff & C. L. M. Keyes.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549-559. DOI:10.1037/02-3514.69.4.719 

  14. E. A. Kim & K. S. Jang. (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p.312-32. DOI:10.597/jkasne.2012.18.2.312 

  15. H. M. Yang. (2019). Effects of Other-awareness, Self-leadership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in the graduation year.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9), 193-202. DOI:10.35873/ajmahs.2019.9.9.017 

  16. S. H. Han. (2018). The Effecting Factors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y, and Sociology, 8(12), 353-363. DOI:10.21742/AJMAHS.2018.12.85 

  17. M. S. Kim, H. W. Kim & G. H. Cha. (2001). Analyses o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PWB)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15(2,) 19-39. 

  18. J. D. Houghton & C. P, Neck.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 -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DOI:10.1108/02683940210450484 

  19. Y. G. Shin, M. S. Kim & Y, S. Han. (2009).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3), 313-340. DOI:10.16983/kjsp.2009.6.3.377 

  20. E. J. Yeun, Y. M Kwon & K. H. Ahn. (2006).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099. DOI:10.4040/jkan.2005.35.6.1091 

  21. M. K. Kang. (2018). Factor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Future Convergence Contents Realiz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ssion, 387-388.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 NODE07441788 

  22. Y. S. Kim & J. Y. Seo. (2015).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6), 1439-1452. DOI:10.7465/jkdi.2015.26.6.1439 

  23. F. X. He, B. Turnbul, M. N. Kirshbaum, B. Philips & P. K. Yobas. (2018). Assessing stress, protective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Nurse Education Today, 68, 4-12. DOI:10.1016/j.nedt.2018.05.013 

  24. M. S. Ko. (2019).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Nursing Student's Happiness. Korean J Health Commun, 14(2), 85-92. DOI:10.15715/kjhcom.2019.14.2.85 

  25. S. J. Han. (2013).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Nursing Students.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5), 559-566. DOI:10.7475/kjan.2013.25.5.559 

  26. N. Y. Yang & S. Y. Moon. (2011).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2), 216-225. DOI:10.11111/jkana.2011.17.2.216 

  27. B. M. Seo. (2014).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v, 8(4), 149 - 161. DOI:10.12811/kshsm.2014.8.4.149 

  28. H. S. Kang, Y. S. Kang & Y. M. Ki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ego resil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4), 219-229. DOI:10.14257/ajmahs.2016.04.14 

  29. E. H. Kim. (2016). Relationship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4(1), 532-541. DOI:10.15205/kschs.2016.4.1.532 

  30. E. H. Hwang & S. J. Shin. (2017). Factors Impa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1), 97-108. DOI:10.5932/JKPHN.2017.31.1.97 

  31. K. I. Jeong, H. G. Son & K. S. Jeong. (2018). The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3), 1595-1607. 

  32. Manz, C. C. (1998). Mastering self-leadership :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