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 PB상품의 온라인 마케팅을 통한 소비자 구매 요인 분석
Analysis of Consumer Purchase Factors through Online Marketing of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399 - 404  

박정훈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편의점 브랜드가 새로운 PB 상품을 온라인에서 마케팅하였을 때, 소비자의 구매 행동과 그에 따른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2030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편의점 PB 상품의 구매 행태와 PB 상품을 접하게 되는 경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편의점 PB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SNS나 유튜브를 통해 상품을 접하게 되었으며 구매 후 SNS에 게시함으로써 트렌드에 합류하고자 하는 경향이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런 소비 형태를 가지게 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 트렌드와 그에게 영향을 주는 온라인 마케팅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일시적인 구매가 아닌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기업은 소비자 리서치를 참고해 향후 방안을 개선하여 앞으로의 소비자의 구매 요인이 트렌드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지속해서 가치 있는 소비로 이끌어 가길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its factors when a convenience store brand is marketing new PB products online. For this study, we surveyed 2030 millennials about the purchase behavior of convenience store PB products and the paths to encounter PB prod...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B 상품의 구매 빈도에 앞서 편의점 이용 행태 및 선호 사항에 관련하여 설문 응답자에게 질문하였다. “평소 편의점에서 구매하는 빈도가 높은가”에 대한 질문에 “예”라고 응답한 질문자가 50명(80.
  • 다양한 채널을 통해 텍스트, 카드 뉴스, 영상 등 오디언스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내용을 담아 정기적으로 얼마나 지속되느냐가 신뢰 구축에 중요하다. 기업들은 단순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지류나 티브이 광고로 어필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먹는 소비자의 모습이나 제품을 사용하며 이득을 취하는 소비자의 영상을 제작하여 소셜 미디어에 광고하면서 소비자의 기억에 남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편의점 PB 상품을 접한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과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편의점에서 PB 상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으며, 구매해보게 된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온라인 마케팅은 현재보다 나아가 어떤 방향으로 소비자의 소비 형태를 맞춰야 할지에 대해 고안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편의점 PB 상품을 접한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과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편의점에서 PB 상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으며, 구매해보게 된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최근 인스타그램을 통해 콘텐츠 마케팅을 하는 기업들은 댓글을 통해 고객들과 상호작용을 한다. 소비자가 친구를 태그 한 뒤 댓글을 달면 기업은 그에 상응하는 답변 댓글을 달며 소비자와 소통하고자 한다. 둘째, 신뢰도이다.
  • 따라서 편의점에서 PB 상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으며, 구매해보게 된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온라인 마케팅은 현재보다 나아가 어떤 방향으로 소비자의 소비 형태를 맞춰야 할지에 대해 고안해보고자 한다.
  • 그들은 자사의 PB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온라인 마케팅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비 형태로 자신의 소비생활을 꾸미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1인 가구의 HMR 상품 주 구매 장소인 편의점의 PB 상품 판매량이 온라인 마케팅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aver. Milleniasl. https://terms.naver.com 

  2. World News. (2019). Eating Alone Korean Eat 1.6 times one week in convenience store, http://www.segye.com/newsView/20191126513511?OutUrlnaver 

  3. J. H. Shin. (2019).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n Products Repurchase Intention : University students(Single-Person Household) Buying CVS Products. Masteral dissertation. ChungJoo University, ChoongChungbukDo. 

  4. JaoZenzi. (2019). The Effect of Social Marketing Activities on Internet Word of Mouth and Purchasing Intention. Masteral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GwangJu. 

  5. Y. J. Uh. (201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of Customized Target Marketing Techniques on SNS : Focused on Facebook marketer.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6. M. J. Kim. (2016). Influence of Consump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for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Food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20(1), 629-637. 

  7. M. J. Yoo. (2018). The Effects of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Food Service Companies on Purchasing Behavior. Masteral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Degu : Teayang. 

  8. C. J. Lm. (2014). SNS Marketing, regadrless of industry. 

  9. J. A. Seol. (2018). Millennial Generations's Mobile News Consumption and the Impact of Social Media.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9(4), 123-133. 

  10. Fashion Channel. (2018). "Millennials' Online Consumtion Behavioring?", https://blog.naver.com/fcblog/221224248843 

  11. Y. S. Lee. (2014). Study on an effect that the SNS marketing utilization of food service company has on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gi University, Seoul. 

  12. B. K. Ann & J. S. Jung. (2015). The Effects of Branding on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SNS marketing. Maste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YongIn. 

  13. J. H. Oh. (2017). Why PB Product is hIgh sell to consumer in Japan, DailyPop, http://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23531 

  14. S. H. Hwan. (2011). SNS Marketing Power : dominate the World without Sound. Seoul : MyungJin. 

  15. Y. B. Lim. (2019). A Study on the Selection Factors of Products Influencing the repurchase intentions of the Discount Store. Master dissertation. Hansu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