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 PB상품의 차별화 전략에 대한 연구: BGF 리테일을 중심으로
Study on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Private Brand Product in Convenience Store: Focused on BGF Retail 원문보기

유통과학연구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v.15 no.8, 2017년, pp.55 - 64  

김소형 (Department of Business, Baekseo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PB products at convenience stores take up about 20% of all products, and strategies for differentiation from other companies and brand image building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trategy for differentiating PB products and successful brand building strategy, focus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 산업의 선두주자인 ‘CU’를 운용하는 BGF리테일을 중심으로 PB상품의 차별화전략, 그리고 성공적인 CU의 브랜드 구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그러나 PB상품이 기존 NB제품과 또는 타사의 PB상품과 차별화전략을 통해 경쟁우위를 획득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편의점 가운데 가장 선두주자인 CU를 선택하여 그 전략과 매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독자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는 PB상품에 대하여 정성적인 연구를 시도해 보기로 한다.
  • 따라서 상품연구소에서 이 같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 취향에 맞는 PB제품의 개발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편의점 산업의 경쟁구도를 이해하고 편의점 업체의 선두주자인 CU의 PB상품 전략에 대한 이해를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PB제품 개발과정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최신 트렌드의 반영과 PB제품기획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CU의 PB상품의 가격, 구성성분, 제조사 등을 경쟁업체와 비교하여 각 편의점 업체가 속해 있는 정확한 현황과 편의점 업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경쟁요소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B상품에 대한 연구를 편의점 매장의 PB제품에 한정하여 탐색적 접근을 시도하기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유통기업인 BGF리테일을 선택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편의점 내의 PB상품 전략을 살펴보고 BGF리테일을 둘러싼 경쟁자와 편의점의 차별화전략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사례연구를 선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B상품에 대한 연구를 편의점 매장의 PB제품에 한정하여 탐색적 접근을 시도하기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유통기업인 BGF리테일을 선택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편의점 내의 PB상품 전략을 살펴보고 BGF리테일을 둘러싼 경쟁자와 편의점의 차별화전략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사례연구를 선택하였다. BGF리테일의 경우, 회사명칭이 완전히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지구축에 성공을 이루어낸 편의점 기업으로 본 사례가 독특하고 유의미하며 다른 경쟁기업인 편의점 PB전략을 대표할 수 있어 단일사례연구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포화되어 있는 편의점 산업에서 같은 제품을 판매하는 편의점 업체 가운데 ‘패밀리마트’에서 ‘CU’로 성공적인 브랜드구축을 하고 후발주자였으나 상위성적을 거두고 있는 BGF리테일의 CU의 성공요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형 슈퍼마켓이나 백화점에서도 소량의 소분 판매가 증가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편의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은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통계청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16년, 1인 가구의 비중이 27%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고 노령화가 가속화되며 60대 이상 고령층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1인 가구 및 노령 인구의 간편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이들의 소량구매 패턴이 증가함에 따라 편의점의 수요도 함께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대형 슈퍼마켓이나 백화점에서도 소량의 소분 판매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편의점의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프라이빗 브랜드는 무엇인가? 프라이빗 브랜드(Private Brand)란 소매 또는 도매업체가 소유한 브랜드로 백화점이나 할인점, 대형 유통업체가 제조업체와 제휴를 맺고 책임지고 독자적으로 개발, 판매하는 제품을 말한다. 프라이빗 브랜드의 장점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소비자에게 모두 매력적으로 작용한다(Gerlock, 2013; Gonzalez-Benito & Martos Partal, 2012).
PB상품의 장점은? 소비자들에게 PB상품은 타제품에 비해 품질 대비 합리적인 가격을 제공할 수 있는데(Davis, 2013; Pauwels & Srinivasan, 2004), 이는 일반 제품이 대량생산과 대대적인 마케팅을 하여 가격이 높은 반면 PB상품은 유통업체 자사점포에 한정하여 소규모생산하며 광고를 하지 않으며, 중간 유통단계를 줄여 유통단계의 최소화를 구축하여 합리적인 가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제조업체들에게 PB상품은 구매자의 다변화를 통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통업체들에게는 PB상품을 기획하고 판매하여 고객들에게 자사브랜드의 충성도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Martos-Partal, 2012; Martos-Partal & Gonzalez-Benito,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ournal of Marketing Ailawadi, K. 68 1 147 10.1509/jmkg.68.1.147.24027 

  2. Journal of Retailing Baltas, G. 86 1 37 10.1016/j.jretai.2010.01.005 

  3.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Caves, R. E. 34 2 113 10.2307/2098677 

  4. 산경연구논집 최성식 2 2 25 

  5.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Collins-Dodd, C. 10 6 345 10.1016/S0969-6989(02)00054-1 

  6.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Corstjens, M. 37 3 281 10.1509/jmkr.37.3.281.18781 

  7. Journal of Business Cotterill, R. W. 73 1 109 10.1086/209634 

  8. Journal of Retailing Gonzalez-Benito, O. 88 2 236 10.1016/j.jretai.2011.05.003 

  9.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Jara, M. 19 1 140 10.1016/j.jretconser.2011.11.003 

  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정진숙 12 4 99 10.18852/bdak.2014.12.4.99 

  11. Journal of Marketing Keller, K. L. 57 1 1 10.1177/002224299305700101 

  12. The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Eun-Hee Kim 1 1 13 

  13.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Kim, N. 16 2 143 10.1016/S0167-8116(99)00005-1 

  14. Perceptual and Motor Skills Kwon, Y. H. 71 3 743 10.2466/pms.1990.71.3.743 

  15.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Lastovicka, J. L. 22 41 

  16. 유통과학연구 Lee, Jung-Wan 8 1 5 

  17.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Liu, T. 24 3/4 283 

  18. Marketing Letters Martos, P, M. 22 3 297 10.1007/s11002-010-9126-x 

  19. Journal of Business Narasimhan, C. 71 4 573 10.1086/209757 

  20. Marketing Science Pauwels, K. 23 3 364 10.1287/mksc.1030.0036 

  21. Journal of Retailing Richardson, A. J. 72 2 159 10.1016/S0022-4359(96)90012-3 

  22.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Richardson, P. 5 2 19 

  23. Marketing Science Sayman, S. 21 4 378 10.1287/mksc.21.4.378.134 

  24. Journal of Retailing Sayman, S. S. 80 4 279 10.1016/j.jretai.2004.10.004 

  25.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Sharp, B. 17 7-8 739 10.1362/026725701323366809 

  26. The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Chung-Sub Shin 5 4 47 10.13106/eajbm.2015.vol5.no4.47. 

  27. Long Range Planning Steenkamp, J. E. M. 30 6 917 10.1016/S0024-6301(97)00077-0 

  28. Organization Science Zollo, M. 13 3 339 10.1287/orsc.13.3.339.278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