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의점 도시락 구매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al Factors Affecting Purchase of Convenient Store's Packed-meal on Mobile Appl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443 - 448  

이다현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의점 도시락 구매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 요소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주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라는 신생 환경을 반영한 편의점 도시락 구매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점에 착안해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조사와 설문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토대로 서체, 제품 이미지, 주조 색, 브랜드 로고의 4가지 시각 요소를 변수로 설정했다. 설문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4가지 시각 요소들 중 제품 이미지를 먼저 식별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구매 의사 역시 시각 요소에 좌우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품 이미지는 소비자에게 도시락의 맛에 대한 기대감과 신뢰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자의 시선이 온전히 제품 이미지에 집중될 수 있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추후 연구의 보완 방향성으로는 비시각적 요소를 변수로 추가하거나 설문 대상을 늘리는 방향으로 검토해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research is identifying visual factors affecting purchase of convenient store packed-meals through mobile applications. Previous studies have not covered mobile applications on purchase of convenient store packed-meals and this inspired the research topic. Document analysis and onlin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편의점 도시락 시장의 성장과 스마트 기기의 일상화 그리고 O2O(Offline-to-Online) 서비스의 등장은 편의점 도시락 업계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구매라는 환경을 창조해 냈다.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조건을 반영해 편의점 도시락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 요소를 밝히는데 중점을 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할 때 영향을 미치는 시각 요소를 식별하는 것이다. 시각 요소는 선행 연구를 참고하고, 실제 각 유통사의 애플리케이션을 경험하여 크게 4가지로 정의하였으며 각각 서체, 제품 이미지, 주조 색, 브랜드 로고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편의점도시락 구매에 시각 요소가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설문 결과에서도 드러나듯,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온라인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들에게 가장 먼저 인식되는 요소이자 구매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요소는 제품 이미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R. Kim. (2019). 2019 Key Trend of Dining-Out Industry : People of Convenient Store's Packed Meal. Trend Insight http://www.foodnews.news/news/article.html?no40129 

  2. Y. T. Kho. (2019). 95% of citizens are smart phone users, which country has the highest smart phone penetration rate? KBS news. http://mn.kbs.co.kr/news/view.do?ncd4135732 

  3. D. W. Han (2020). GS25 competing with CU to secure its position as a forerunner in delivery service. Sisa Journal-e.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000 

  4. M. S. Kim. (2019). Packed-Meal, Delivery, Laundry, Evolution of Convenient Store ; Being a customized platform for Single-Person Households. Metro Magazine.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19073000181 

  5. A. R. Jeon (2017). The influence of visual elements of package design on consumers' sensitivity and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3 Private Brands of snacks in convenience stores in Korea. Hong-Ik University, 84-86. 

  6. Y. M. Kim. (2020). The effect of extrinsic cues of convenience store lunch PB products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129-130. 

  7. J. H. Yook. (2012). Sky-rocketing Growth Rate of Packed-Meal Franchise. Food Dining Economy. 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011 

  8. J. W. Shin. (2019). Salt Bomb ; Convenient Store's Packed-Meals contain 67% of Daily Recommended Intake of Sodium. Yonhap News. https://www.yna.co.kr/view/AKR20190603052400017 

  9. Y. S. Kim (2013).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Design Elements of Social Commerce Sites, e-Satisfaction, and e-Loyalty.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295-307. 

  10. H. J. Woo (2013).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s Image of Convenient Store Lunchbox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Kyeong-Gi University, 84-86. 

  11. B. J. Kim. (2018). female consumers of 20s and 30s are looking for healthy packed-meals. BapSang News. http://www.bapsangnews.com/article/5b74df6633a6b 58c12bd1474 

  12. M. K. Jeong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sers Experience of Mobile Convenience Store Application Targeting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ir 20s-30s. Ewha University. 18-23. 

  13. K. E. Kim (2020). The Effect of HMR Product Online Display Image's Visual Effects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Quality and Self-Image Congruence. Hongik University. 81-84. 

  14. J. H. Park, Y. H. Park, D. B. Kim, H. Y. Lee, H. J. Cho. (2016). The Value Structure of Korean Convenience Store Lunch Box ("Dosirak") Consumers: An Application of the Means-End Approach. The Review of Eurasian Studies. 235-260. 

  15. J. H. Kim (2014). Proper Approach to Interpret Statistics : Sample Representativeness . DongA Business Review.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6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