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을 활용한 자연사 프로젝션 맵핑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history projection mapping contents using Gestalt Visual Perception Theo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465 - 471  

박기덕 (국립중앙과학관) ,  정진헌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과학관의 자연사 아날로그 표본정보는 디지털정보체계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 트랜트에 필요한 아날로그와 디지털형태의 융합형 콘텐츠로써 자연사 콘텐츠의 표본정보체계 방향성을 구현하였다. 자연사 표본배열의 디지털 정보전달형 콘텐츠에 적합한 효율성과 주목성을 극대화하고 데페이즈망 기법과 자연사 표본정보에 필요한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의 정보체계를 표본과 빔프로젝션 맵핑을 결합하여 관람자에게 디지털 디오라마 전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디지털 자연사 정보를 증감시키고 빔프로젝션 맵핑을 도구로써 자연사 콘텐츠 배열은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집단성, 폐쇄성, 단순성, 연속성 원리를 활용 및 주목성을 높혀 기존 자연사 표본배열의 한계점을 자연사 디지털디오라마의 역동성과 퍼포먼스로 연출하였다. 노랑나비 생태계 환경을 연출하고 게슈탈트 이론을 접목하여 나비의 배열과 신사임당의 초충도 작품을 재해석하여 8폭병풍 미디어아트 연출하였다. 또한 큰줄흰나비의 날개 엣지부분과 면적은 프로젝션 맵핑도구로 게슈탈트 원리를 활용한 패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고, 관람자에게 디지털 표본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전시 활용의 가치를 높히고 자연사 디지털디오라마 활용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maximize the exhibition effect and to emphasize the efficiency of sample information transfer by using the surrealism dephase network technique and beam projection mapping by aesthetically approaching the arrangement of the existing exhibition specimens in the science museum using...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Resolume 프로젝션 맵핑도구를 활용하여 X, Y, Z축의 점, 선, 면을 적용하여 그래픽형태의 모션을 제작하고 자연사 나비의 날개부분은 엣지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엣지디자인을 날개부문에 접목하여 각 그리드 시스템으로착시효과와 게슈탈트 이론을 활용하여 근접, 유사, 연속폐쇄성을 패턴애니메이션으로 접목하여 맵핑하였다.
  • 엣지디자인을 날개부문에 접목하여 각 그리드 시스템으로착시효과와 게슈탈트 이론을 활용하여 근접, 유사, 연속폐쇄성을 패턴애니메이션으로 접목하여 맵핑하였다. 게슈탈트 이론이 주장하는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표본배열의 디오라마 형태를 제작하였다. 인간이 작품을 보고 수용하는 과정은 가장 안정된 구조에서부터 대상을 파악하고 보고 싶은 방향으로 사물을 인지한다는 이론에서표본 디오라마의 배경을 퍼포먼스와 표본정보의 배열로써 분석하였다.
  • 게슈탈트 지각이론을 적용한 디지털 표본 배열과 빔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하여 병풍 배경에 남방노랑나비의 원형 착시패턴을 적용한 디지털디오라마 전시를 제작하였다. 큰줄흰나비표본의 날개를 활용하여 라인, 간격, 각도, 컬러, 밝기, 크기, 형태등을 점, 선, 면을 그래픽 소스로 활용하여 모션그래픽[16]의 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큰줄흰나비의 외부 형태를 프로젝션 맵핑으로 접목하여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패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다. 관람자에게 기존 아날로그 표본 전시의 정보전달 단점을 디지털 형태의 디지털디오라마 전시효과와 데페이즈망 기법 및 표본 배열의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하여 시지각 배열을 통해 자연사 표본 배열의 주목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아날로그 표본정보체계 시스템의 문제점인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 정보체계 데이타 한계성과 가독성결여 및 배열은 효율적인 방향성으로 자연사 표본을 활용하여 프로젝션맵핑이 접목된 새로운 디지털 전시디오라마의 방향성을 구축하였다. 또한 신사임당의 초충도 작품과 김홍도의 묵죽도 작품을 응용하여 미디어아트 병풍 8폭으로 제작하였다.
  • 관람자에게 기존 아날로그 표본 전시의 정보전달 단점을 디지털 형태의 디지털디오라마 전시효과와 데페이즈망 기법 및 표본 배열의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하여 시지각 배열을 통해 자연사 표본 배열의 주목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아날로그 표본정보체계 시스템의 문제점인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 정보체계 데이타 한계성과 가독성결여 및 배열은 효율적인 방향성으로 자연사 표본을 활용하여 프로젝션맵핑이 접목된 새로운 디지털 전시디오라마의 방향성을 구축하였다. 또한 신사임당의 초충도 작품과 김홍도의 묵죽도 작품을 응용하여 미디어아트 병풍 8폭으로 제작하였다. 표본상자의 정보를 응용하여 8폭 병풍에 노랑나비 생태계 환경을 연출하고 게슈탈트 이론의 집단성, 폐쇄성 단순성 연속성원리를 활용하여 시지각 배열 및 주목성을 높혔다.
  • 르네마그리트 작품을 분석하여 공간의 변조 모순된 이미지의 결합 물체의 변형과 변화 3가지 데페이즈망 기법 분류를 하였다. 배경과 사물안의 이미지를 동일 선상에재배치되었을 때 시각적 착시, 아이템 결합, 오브젝트의 변형 크기 효과를 응용하여 자연사 대상물과 영상콘텐츠, 배경과의 관계성을 통해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초현실주의 디오라마 전시콘텐츠로 활용 및 응용 가능하다.
  •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큰줄흰나비의 외부 형태를 프로젝션 맵핑으로 접목하여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패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다. 관람자에게 기존 아날로그 표본 전시의 정보전달 단점을 디지털 형태의 디지털디오라마 전시효과와 데페이즈망 기법 및 표본 배열의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하여 시지각 배열을 통해 자연사 표본 배열의 주목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아날로그 표본정보체계 시스템의 문제점인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 정보체계 데이타 한계성과 가독성결여 및 배열은 효율적인 방향성으로 자연사 표본을 활용하여 프로젝션맵핑이 접목된 새로운 디지털 전시디오라마의 방향성을 구축하였다.
  • 르네마그리트의 대화의 기술[11] 작품은 인간의 대화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건축물을 하나씩 완성해 나가는 측면에서 비유를 한 작품이다. 본 연구자는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건출물을 다각도로 바라보는 시점으로착시효과를 연출하였다.
  • 빔프로젝션과 큰흰줄나비의 동선과 간격 각도를 셋팅하여 게슈탈트 시지각원리를 활용하여 착시기법과 점선면 그래픽소스를 제작하여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프로젝션 맵핑을 연출하여 새로운 퍼포먼스 디오라마 전시를 제작하였다.
  • 큰줄흰나비표본의 날개를 활용하여 라인, 간격, 각도, 컬러, 밝기, 크기, 형태등을 점, 선, 면을 그래픽 소스로 활용하여 모션그래픽[16]의 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빔프로젝션맵핑과 나비패턴의 착시기법, 게슈탈트 시지각이론의 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의 원리를 접목하여 기존 아날로그 정보의 표본 배열의 한계점을 관람자와 연구자의 연구방향성 제시와 효과적이고 전시퍼포먼스 형태로써 새로운 전시 디오라마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아날로그의 정보를 디지털 정보의 역동성으로 표현하고 신사임당의 초충도 스토리텔링을 병풍에 프로젝션 맵핑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정보와 스토리텔링을 표현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시각적 착시효과를 바탕으로 점선면의 기본단위를 기하학도형으로 접근하여 르네마그리트 초현실주의 작품중에 입체감, 몰입도, 대칭, 비대칭, 명함, 구도를 표현한 심금, 백지위임장, 대화의 기술이라는 주제 작품을 선정하여 본 연구자의 착시 관점에서 모션그래픽 패턴을 제작하였다. 자연사 컨텐츠 패턴은 흰무늬왕불나방[8], 시가도귤빛부전나비[9], 남생이무당벌레[10]를 선정하여 시각적 패턴의 배열구조에서 간격, 크기, 컬러, 명암, 깊이, 형태, 각도 등에서 착시효과의 연관성을 찾았다.
  • 집단, 폐쇄, 단순, 연속원리로 배열되어 관람자에게 지각이 될수있도록 배열하였다. 신사임당 초충도[12]와 김홍도 묵죽도 작품[13]을 응용하여 자연사콘텐츠 콜라보레이션으로 프로젝션 맵핑하였다.
  • Resolume 프로젝션 맵핑도구를 활용하여 X, Y, Z축의 점, 선, 면을 적용하여 그래픽형태의 모션을 제작하고 자연사 나비의 날개부분은 엣지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엣지디자인을 날개부문에 접목하여 각 그리드 시스템으로착시효과와 게슈탈트 이론을 활용하여 근접, 유사, 연속폐쇄성을 패턴애니메이션으로 접목하여 맵핑하였다. 게슈탈트 이론이 주장하는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표본배열의 디오라마 형태를 제작하였다.
  • 게슈탈트 이론이 주장하는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표본배열의 디오라마 형태를 제작하였다. 인간이 작품을 보고 수용하는 과정은 가장 안정된 구조에서부터 대상을 파악하고 보고 싶은 방향으로 사물을 인지한다는 이론에서표본 디오라마의 배경을 퍼포먼스와 표본정보의 배열로써 분석하였다.
  • 자연사 컨텐츠 패턴은 흰무늬왕불나방[8], 시가도귤빛부전나비[9], 남생이무당벌레[10]를 선정하여 시각적 패턴의 배열구조에서 간격, 크기, 컬러, 명암, 깊이, 형태, 각도 등에서 착시효과의 연관성을 찾았다.
  • 디지털정보로 활용하기 위한 게슈탈트 이론이 접목된표본 배열 정보이다. 집단, 폐쇄, 단순, 연속원리로 배열되어 관람자에게 지각이 될수있도록 배열하였다. 신사임당 초충도[12]와 김홍도 묵죽도 작품[13]을 응용하여 자연사콘텐츠 콜라보레이션으로 프로젝션 맵핑하였다.
  • 남방노랑나비를 제작하여 초충도를 배경으로 데페이즈망 기법[1]을 적용하여 프로젝션 맵핑형태의 디지털 자연사 디오라마를 연출하였다. 큰줄흰나비 표본을 활용하여 나비 날개의 맵핑을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접목하여 인간의 최적화된 안정된 구조를 점, 선, 면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으로 디오라마를 제작하였다. 전시효과의 퍼포먼스 극대화와 자연사 나비 표본을 결합한 정보전달[2]의 동적인 역할을 활용하였다.
  • 큰줄흰나비표본의 날개를 활용하여 라인, 간격, 각도, 컬러, 밝기, 크기, 형태등을 점, 선, 면을 그래픽 소스로 활용하여 모션그래픽[16]의 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론/모형

  • 연구방법으로 기존 표본상자의 정보를 탈피하고 병풍형태의 배경에 나비의 디오라마 생태계 환경을 구성하여 시지각 배열의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한다. 남방노랑나비를 제작하여 초충도를 배경으로 데페이즈망 기법[1]을 적용하여 프로젝션 맵핑형태의 디지털 자연사 디오라마를 연출하였다. 큰줄흰나비 표본을 활용하여 나비 날개의 맵핑을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접목하여 인간의 최적화된 안정된 구조를 점, 선, 면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으로 디오라마를 제작하였다.
  • 연구방법으로 기존 표본상자의 정보를 탈피하고 병풍형태의 배경에 나비의 디오라마 생태계 환경을 구성하여 시지각 배열의 게슈탈트 이론을 적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관의 자연사 아날로그 표본정보는 무엇인가? 본 논문은 과학관의 자연사 아날로그 표본정보는 디지털정보체계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 트랜트에 필요한 아날로그와 디지털형태의 융합형 콘텐츠로써 자연사 콘텐츠의 표본정보체계 방향성을 구현하였다. 자연사 표본배열의 디지털 정보전달형 콘텐츠에 적합한 효율성과 주목성을 극대화하고 데페이즈망 기법과 자연사 표본정보에 필요한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의 정보체계를 표본과 빔프로젝션 맵핑을 결합하여 관람자에게 디지털 디오라마 전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디지털 빔프로젝션 맵핑은 기존 프로젝션 맵핑의 한계점을 어떻게 극복했는가? 보완점으로 과학관의 새로운전시 디오라마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자연사 생태계 관련어류, 조류, 식물, 파충류등 다양한 자연사 정보를 디지털 빔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하여 새로운 트랜드를 제시할수 있다. 기존 프로젝션 맵핑의 한계점은 예술적 형태의 전시효과를 차지하는 반면 과학관 자연사 콘텐츠를 활용하여 아날로그 방식인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 정보체계 데이타 한계성과 가독성 결여의 효율적인 방향성으로 자연사표본을 활용하여 프로젝션맵핑이 접목된 새로운 융복합형 디지털 전시디오라마의 표본정보체계의 방향성을 구축하였다.
자연사 콘텐츠 배열의 연출 방법은 무엇인가? 자연사 표본배열의 디지털 정보전달형 콘텐츠에 적합한 효율성과 주목성을 극대화하고 데페이즈망 기법과 자연사 표본정보에 필요한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의 정보체계를 표본과 빔프로젝션 맵핑을 결합하여 관람자에게 디지털 디오라마 전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디지털 자연사 정보를 증감시키고 빔프로젝션 맵핑을 도구로써 자연사 콘텐츠 배열은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집단성, 폐쇄성, 단순성, 연속성 원리를 활용 및 주목성을 높혀 기존 자연사 표본배열의 한계점을 자연사 디지털디오라마의 역동성과 퍼포먼스로 연출하였다. 노랑나비 생태계 환경을 연출하고 게슈탈트 이론을 접목하여 나비의 배열과 신사임당의 초충도 작품을 재해석하여 8폭병풍 미디어아트 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 H. Jeong. (2015). The Case Study of Design Art Works on Depaysement Techniqu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1(33), 247. 

  2. J. H. Seung. (2009). The Study of Museum exhibition utilizing digital media. The Graduate School of Film and Digital Media Hongik Universty, Seoul. 

  3. K. D. Park, T. H. Kim & J. H. Chung. (2013). A study on the transparent screen projection mapping using depaysement.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8), 333. 

  4. K. J. Um & C. K. Choi. (2010). A Study on the Usage Phenomena of Depaysement in UCC Stop Motion. Journal of Korea Design Jisik Industry Forum, 15(9), 61. 

  5. Y, L, Jeon. (2012). A research on The Public Service Announcement and Surrealistic Desire As Depays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Association of Korea 41(0), 58. 

  6. Y. K. Lee. (2009). A study on the Space introdu ced by the Optical Illusion.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Design Hongik Universty. 

  7. J. R. Park. (2010). A Study of Digital Video Production based on the Gestalt Visual Perception Theory. Journal of Digital Design, 10(2), 117. 

  8. https://blog.naver.com/ipmkorea/30114578194. 

  9. https://cafe.naver.com/lovessym/116452. 

  10. https://blog.naver.com/jiw707/221811643299. 

  11. https://outofshell.tistory.com/367. 

  12. https://blog.naver.com/nacsongjae/220358451261. 

  13.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tc5G&articleno5406&categoryId98®dt20171030045300. 

  14. http://genebank.rda.go.kr/genebk/PB/st/cyberView.bo?species_idZR1ED0013&viewMenuList2. 

  15. J. M. Choi. (2011). The Study on science exhibition method using digital media. The Graduate School of NID Fus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16. Y. J. Lee & H. T. Kim. (2010). A Study on Expression of Motion Graphic with Gestalt theory. Journal of Digital Design, 11(1), 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