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압요법이 중·노년의 안구건조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Middle-aged and Old Adults' Dry Eye Syndrome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6 no.1, 2020년, pp.17 - 27  

최윤주 (대동대학교 간호학부) ,  황선경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상식 (부산 수정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reducing the ocular symptoms and signs for dry eye syndrome. Methods: The participants who were aged ≥ 40 years old and met the inclusion criteria of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score ≥ 13 and a t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자는 잘 부착했는지 확인하고 교정해 주며 대상자 중 노인이거나 연구자가 첩압해 주기를 원하는 경우 직접 시행해 주고 대상자를 관찰한 후 귀가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들 서로에게 직접 이압요법을 시행해보도록 함으로써 이후 자가 관리가 가능하도록하는 목적이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특히 안구건조증 발생이 증가하는 40세 이상의 성인을대상으로 증상 완화를 위해 이압요법을 8주간 적용하여, 안구건조증 환자들이 호소하는 주관적 증상 뿐만아니라 객관적 지표인 눈물막파괴검사(Tear film Break-Up Time [TBUT])를 함께 시행하여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이압요법을교육하고 훈련함으로써 효과적인 자가간호 방법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하여, 안구건조증 완화에 비약물적 요법으로 활용할 수있는 간호중재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 연구의 측면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안구건조증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한 연구이다. 8주간의 중재를 적용하고 4주 간격으로 반복측정을 하였으며 눈물막파괴시간(TBUT) 검사로 객관적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중⋅노년층 대상자에게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안구건조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안구건조증이 있는 대상자에게 8주간의 이압요법을 중재로 적용하여 안구건조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4주, 8주에 2회 반복측정하여 검정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반복측정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peated measures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안구건조증이 있는 지역사회의 40세 이상의 성인을대상으로 8주 동안 이압요법을 실시하여 안구건조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주관적 증상뿐만 아니라 객관적 검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압요법을 8주간 실시한 실험군은 이압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안구건조증을 나타내는 안구표면질환지수(OSDI)와 안구건조환자평가(SPEED)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눈물막파괴시간(TBUT)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안구건조증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안구건조증이 있는 지역사회의 40세 이상의 중⋅노년을 대상으로 8주간의 이압요법을 실시하여 안구건조증을 나타내는 주관적 증상인 안구표면질환지수(OSDI), 안구건조환자평가(SPEED)와 객관적 검사인 눈물막파괴검사(TBUT)를 통하여 안구건조증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 제공하였다. 안전하게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부작용 유무와 발진유무 등의 주의점을 알려주며 보고하도록 하였고 추후 요청하는경우 추가로 교육과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공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특히 안구건조증 발생이 증가하는 40세 이상의 성인을대상으로 증상 완화를 위해 이압요법을 8주간 적용하여, 안구건조증 환자들이 호소하는 주관적 증상 뿐만아니라 객관적 지표인 눈물막파괴검사(Tear film Break-Up Time [TBUT])를 함께 시행하여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이압요법을교육하고 훈련함으로써 효과적인 자가간호 방법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하여, 안구건조증 완화에 비약물적 요법으로 활용할 수있는 간호중재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눈물막파괴시간이 증가할 것이다.
  •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안구건조환자평가 점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더 감소할 것이다.
  •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안구표면질환지수 점수가 시간 경과에 따라 더 감소할 것이다.
  • ⋅가설 3.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눈물막파괴시간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안구건조 환자평가 점수가 시간경과에 따라 더 감소할 것이다.
  • ⋅가설 1. 이압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안구표면 질환지수 점수가 시간경과에 따라 더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구건조증이란?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거나 적절한 눈물이나 눈물층이 형성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매우 흔한 안구질환이다[1].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8년 보고에 따르면 안구건조증으로 안과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2013년 약 212만 명에서 2017년약 231만 명으로 총 5년간 8.
Korb 등에 의해 개발된 SPEED 도구의 항목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Korb에게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안구건조증의 4가지 증상(건조감으로모래가 들어간 듯한 느낌 또는 따끔따끔한 느낌, 눈시림 또는 자극, 열감 또는 눈물, 눈피로감)에 관한 증상 발현 시기(현재, 지난72시간 이내, 지난 3달 이내)와 발생빈도, 심각도에 대한 3가지하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생 빈도는 증상에 따라 ‘전혀 없다(0점)’, ‘가끔(1점)’, ‘종종(2점)’, ‘계속(3점)’으로 평가하고, 심각도는 증상에 따라 ‘전혀 없다(0점)’, ‘참을 수 있음(1점)’, ‘불편함 - 매일은 아니지만 불편함을 느낌(2점)’, ‘거슬림 - 매일 불편함을 느낌(3점)’, ‘참을 수 없음(4점)’으로 평가하였다.
안구건조증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3% 순으로 높은 연령대로 갈수록 진료인원이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2]. 안구건조증의 발생은 노화, 호르몬의 변화, 성별, 마이봄선기능장애, 눈 깜박임 횟수의 감소, 눈 수술의 과거력, 콘택트렌즈착용, 바람이 많은 환경, 영상기기 사용, 갑상선 질환과 약물복용(항고혈압제, 항우울제) 등 다양한 원인들과 관련되어 있다[3].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도 눈물 분비량의 감소나 눈물의 상태가변하여 안구의 불편감이나 시력의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4], 안구건조증은 매우 흔히 경험하는 불편감이나 이에 대해제대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각막염과 각막궤양을 일으켜 시력장애를 초래하기도 하므로[5]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Eye Institute (NEI). Facts about dry eye [Internet]. Maryland: National Eye Institute; 2017, July [cited 2017 September 9]. https://nei.nih.gov/health/dryeye/dryeye 

  2. Health Insurance Service. A steady increase in dry eye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atistics. 2018 [cited 2018 Jun 14].https://www.nhis.or.kr/bbs7/boards/B0039/26372 

  3. The Korean External Eye Diseases Society. Cornea. 3rd ed. Seoul: Ilchokak; 2015. pp. 359-71. 

  4. Sharma A, Hindman HB. Aging: A predisposition to dry eyes. Journal of Ophthalmology. 2014;2014:781683. https://doi.org/10.1155/2014/ 781683 

  5. Denoyer A, Rabut G, Baudouin C. Tear film aberration dynamics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ry eye disease. Ophthalmology. 2012;119(9):1811-8. https://doi.org/10.1016/j.ophtha. 2012.03.004 

  6. Hyon JY, Kim HM, Lee D, Chung ES, Song JS, Choi CY, et al. Korean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ry ey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inical efficacy.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14;28(3):197-206. http://doi.org/10.3341/kjo.2014.28.3.197 

  7. Asbell PA. Increasing importance of dry eye syndrome and the ideal artificial tear: consensus views from a roundtable discussion. Current Medical Research & Opinion. 2006;22(11):2149-57. https://doi.org/10.1185/030079906x132640 

  8. Barber LD, Pflugfelder SC, Tauber J, Foulks GN. Phase III safety evaluation of cyclosporine 0.1% ophthalmic emulsion administered twice daily to dry eye disease patients for up to 3 years.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05;112(10):1790-4. http://doi.org/10.1016/j.ophtha.2005.05.013 

  9. Hwang HB. The pathogenesis of dry eye disease and trends in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6;59(9):713-8. https://doi.org/10.5124/jkma.2016.59.9.713 

  10. Yang L, Yang Z, Yu H, Song Hui. Acupuncture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artificial tears for dry eye syndrome: Evidence based on a metaanalysi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2015; 2015:143858. https://doi.org/10.1155/2015/143858 

  11. Lee JS, Hwang SH, Shin BC, Park MS. Electrical stimulation of auricular acupressure for dry eye: a randomized controlled-clinical trial. Chinese Journal of Interactive Medicine. 2017;23(11):822-8. http://doi.org/10.1007/s11655-016-2449-6 

  12. Oleson TD. Auriculotherapy manual: Chinese and western systems of ear acupuncture. 4th ed.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2014. pp. 1-16 

  13. Park KJ, Choi HJ, Kang DH, Kang SY, Kim DS, Seo AD, et al.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relieving the symptoms of the dry eye syndrome on th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plementary & Alternative Nursing Research. 2015;7(1):11-7 

  14. Park KJ, Kang DH, Kim DS, Kang SY, Seo AD, Yoon JS, et al. The effects of auriculotherapy on relieving symptoms of dry eye syndrom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8;31(3):178-85. https://doi.org/10.15434/kssh.2018.31.3.178 

  15. Lee JO, Kim SJ, Kim JS, Park HH. Ear acupressure therapy. Seoul: Korea-China Self-Healing Power Association; 2010. pp.106-13 

  16. Tan JY, Molasiotis A, Wang T, Suen LK. Adverse events of auricular therapy: a systematic review. Evidence-Based Complementary & Alternative Medicine. 2014;2014:506758. https://doi.org/10.1155/2014/506758 

  17. Chu CS.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on dry eye syndrome. [master's thesis]. Taipei City, Taiwan: National Taipei University; 2011. pp. 1-59 

  18.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9. Walt, JG, Rowe MM. & Stern KL. Evaluating the functional impact of dry eye: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Drug Information Journal. 1997;31:1436. 

  20. Schiffman RM, Christianson MD, Jacobsen 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Archives Ophthalmology. 2000;118(5);615-21. https://doi.org/10.1001/archopht.118.5.615 

  21. Korb DR, Herman JP, Greiner JV, Scaffidi RC, Finnemore VM, Exford, JM, Douglass T. Lid-wiper epitheliopathy and dry-eye symptoms. Eye & Contact Lens. 2005;31(1):2-8. http://doi.org/10.1097/01.ICL.0000140910.03095.FA 

  22. Ngo W, Situ P, Keir N, Korb D, Blackie C, Simpson T. Psychometric properties and validation of the standar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questionnaire. Cornea. 2013; 32(9):1204-10. http://doi.org/10.1097/ICO.0b013e318294b0c0 

  23. Asiedu K, Kyei S, Mensah SN, Ocansey S, Abu LS, & Kyere EA.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versus the standard patient evaluation of eye dryness (SPEED): a study of a nonclinical sample. Cornea. 2016;35(2): 175-80. https://doi.org/10.1097/ico.0000000000000712 

  24. Cho MK, Ga JE, Kim DI, Kim MJ, Kim SY, Kim SJ, Kim SH, Choi GB. Factors influencing the cognitive degree of dry eyes in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6;13(2):110-8. https://doi.org/10.16952/pns.2016.13.2.110 

  25. Norn MS. Desiccation of the precorneal film. Acta Ophthalmology. 1969;47(4):865-80. http://doi.org/10.1111/j.1755-3768.1969.tb03711.x. 

  26. Vitali C, Moutsopoulos HM, Bombardieri S. The European community study group on diagnostic criteria for Sjogren's syndrom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ests for ocular and oral involvement in Sjogren's syndrome.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1994;53(10):637-47. http://doi.org/10.1136/ard.53.10.637 

  27. Oum BS. Eye exam. Seoul: Naewaehaksool; 2013. p.175 

  28. Lee JS, Hwang SH, JUN JB. The therapeutic effect of auricular electric stimuli in dry eye syndrome. Journ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5;18:247-54. 

  29. Chen CH, Chen HH, Yeh ML, Tsay SL. Effect of ear acupressure in improving visual health in childre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 in Asian Science & Medicine. 2010;38(3):431-9. https://doi.org/10.1142/s0192415x10007956 

  30. Gong RL.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child amblyopia treated with auricular point sticking therapy.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11;31(12):108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