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Their Parents' Expectation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303 - 311  

강영식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A지역 소재 어린이집 유아 학부모 15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의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학부모가 유아의 안전 활동 기대감과 미세먼지 염려에 미치는 요인에 있어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채택된 반면, 사회적 요인은 기각되었다. 둘째, 유아 숲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다중지능 향상의 하위 요인인 사회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인지적 자발성은 감수성과 창의성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숲체험놀이 활동이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기대감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3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체험 활동의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유아 학부모의 미세먼지 염려와 안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사회성 요인은 유아의 어린이집 내 다양한 교육에서 충분히 습득될 수 있는 요인으로 숲체험 놀이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their parents' expecta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152 parents with children. As a result, first, p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이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기대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구조모형 Bootstrap분석 결과를 살펴보았다. 매개효과 가설검증과정에서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비정상성 자료로 추정 가능한 Bootstrapping을 500회 반복추출을 실시 하였으며 유의수준 .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 이론적배경을 중심으로 실행하는 숲놀이활동의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 중심 유아교육 중에서 숲의 의의는? 생태 중심 유아교육 중에서 숲은 인간의 오감을 통해 자연을 경험하고 안정감과 포근함을 느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교육 장소이다[1]. 이를 유아교육의 장으로 삼은 숲 유치원은 독일을 시작으로 덴마크, 스위스 등에서 활 발하게 운영되고 있는데[2-5], 유아교육에서 특히 중요한 신체 건강과, 정서적 안정, 창의성과, 사회성 증진, 언어 및 감각 교육 그리고 지적 교육에 이르기까지 숲의 유용성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6].
숲 놀이 활동은 유아에게 어떤 효과를 주는가? 유아들은 숲에서 만나는 다양한 상황을 해쳐가며 자연스럽게 문제 해결 능력을 습득해 나갈 수 있다[7-8]. 숲 놀이 활동은 주로 유아의 신체, 정서, 인지 발달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숲 놀이 활동 경험은 유아의 신체발달에 매우 효과적이다[9-10]. 숲 놀이 활동의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한 연구에서는 숲 유치원 활동이 유아의 인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으로 호기심의 자극과 적극적인 탐색 활동이, 인지능력, 언어능력, 정서·사회성 발달에서의 효과뿐만 아니라 과학적 탐구 능력, 수학적 태도 등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11-12].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코딩 과정을 거쳐 SPSS 25.0 와 AMOS 23.0을 이용하여 어떻게 분석하였는가?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통계자료를 얻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통한 빈도와 백분율 을 산출하였다. 둘째,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신뢰 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프로그램을 통한 조사도구의 전체적인 타당도의 결과가 지지되는지를 알 아보기 위해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 였다. 셋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이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 고 분석하였다. 넷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이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기대감이 매개효과검증을 위하 여 Bootstrapping 검사를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Y. Jeon, W. K. Son, "Childrens' Experience in the Forest Kindergarte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 9, No. 5, pp. 357-379, 2013. http://uci.or.kr/G704-SER000010376.2013.9.5.011 

  2. M. H. Lee, "The Forest Kindergarten in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3, No. 4, pp. 23-49, 2003. http://uci.or.kr/G704-000049.2003.23.4.003 

  3. M. H. Lee, "A Study of Various Management Types of the Forest Kindergarten",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7, No. 3, pp. 47-74, 2008a. http://uci.or.kr/G704-002046.2008.7.3.002 

  4. Y. N. Le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fant-led play-centered forest walk program: perspective in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h.D dissertation,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4. 

  5. M. H. Lee, "Model of Nature-Friendly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est Kindergarten in Germany", p.174, Seoul : Education academy, 2007. 

  6. J. E. Song,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on forest kindergarten,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7. M. H. Lee, "Teachers' Cognition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 Vol. 10, No. 1, pp. 175-200, 2011. http://uci.or.kr/G704-002046.2011.10.1.002 

  8. E. S. Kim, study on the first forest-kindergarten education in Korea, Ph.D dissert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0. 

  9. N. U. Kwak, "A Study on the Pla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Forest Kindergarten",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Vol. 15, No. 3, pp. 1-23, 2011. http://uci.or.kr/G704-002071.2011.15.3.004 

  10. E. H. Lee, S. H. Kim, "The effects of Mathematical Program based o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19, No. 2, pp. 6-29, 2015. http://uci.or.kr/G704-002073.2015.19.2.005 

  11. H. J. Suh, A. H. Han, "A study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forest experience programs on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in Jeju",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15, No. 2, pp. 179-200, 2016. http://uci.or.kr/G704-002046.2016.15.2.006 

  12. Y. S. Song,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on the Forest Kindergarten",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Vol. 22, No. 3, pp. 5-20, 2013. http://uci.or.kr/G704-001652.2013.22.3.001 

  13. C. O. Park, Y. S. Kang,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Parents on Forest Experience Activit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616-3624, 2014. DOI:http://doi.org/10.5762/KAIS.2014.15.6.3616 

  14. J. Y. Shin, J. H. Kim, L. J. Jung, "A Comparison of Children's Physical Fitness and Happiness between Forest Kindergarten Approached Kindergarten and General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Vol. 16, No. 6, pp. 5-26, 2012. http://uci.or.kr/G704-000814.2012.16.6.017 

  15. J. T. Lim, S. Y. Lee, E. J. Kim,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e and Methods of Forest Kindergarte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 11, No. 2, pp. 57-85, 2012. http://uci.or.kr/G704-002046.2012.11.2.004 

  16. C. Y. Yoon, "A Normative Study of Korean Social Skill Inventory for Preschool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 24 No. 2, pp. 157-173, 2008. http://uci.or.kr/G704-000501.2008.24.2.009 

  17. C. O. Park, Y. S. Kang,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Parents on Forest Experience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616-3624,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6.3616 

  18. Y. S. Kang, "A Study on the Parents' Perception and Demand of Fine Dust in Their Children'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Vol. 28, No. 1, pp. 121-138, 2019. DOI: http://doi.org/10.17643/KJCE.2019.28.1.07 

  19. Y. R. Chae, "The effect of the integrating activity with science and art through nature observation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e, representation ability and nature-friendly attitud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3, No. 6, pp. 315-338, 2013. DOI: http://doi.org/10.18023/kjece.2013.33.6.014 

  20. H. K. Kim, S. H. Kim,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Forest Activit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9, No. 6, pp. 55-79, 2015. http://uci.or.kr/G704-000814.2015.19.6.019 

  21. E. S. Kim, "The effect of play in the forest o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Vol. 17, No. 2, pp. 23-42, 2013. http://uci.or.kr/G704-002071.2013.17.2.005 

  22. D. J. Shin,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in Kindergartens and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Outdoor Pla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4, No. 6, pp. 299-325, 2004. http://uci.or.kr/G704-000049.2004.24.6.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