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
The Experience of Cancer Survivor's Return to Everyday Lif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327 - 336  

김선영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의 이해를 통해 성공적인 일상생활 복귀와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암 치료 후 5년이 경과되어 완치 판정을 받은 19명을 암 생존자 환우회 및 인터넷 카페에 연구목적과 방법을 공지하여 모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18일부터 2월 25일까지로 심층면담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이론적 표출을 시도하였다. 1회 면담 시간은 90분에서 12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인터뷰 이후 불충분한 내용은 추가 면담을 통해 내용을 확인 받았다. 면담 횟수는 1~3회였다. 근거이론에 따른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복귀 경험은 '고달픈 현실', '육체적 소진', '심리적 소진', '경제적 소진'이라는 인과적 조건으로 인해 '벗어날 수 없는 현실', '내일을 알 수 없는 불확실한 현실'이라는 중심현상이 발견되었다. '가족의 지지부족', '노동 취약계층으로의 이동', '미비한 지원시스템', '사회적 지원체계 희망', '위축된 성', '암/암환자에 대한 편견', '찾기 힘든 완치 이후 삶에 대한 정보' 등의 맥락적 조건에 따라 '적극적 건강관리', '긍정적 경험', '절대적 존재에 의지하기' 전략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략 수행 과정은 중재적 조건인 '든든한 울타리', '효과적인 암보험'의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는 '새로운 삶 구축하기' 또는 '견디기'로 나타났다. 암 생존자의 성공적인 일상생활 복귀를 위해서는 일상생활 복귀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들과 관련된 포괄적인 정보 제공 및 보건·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며, 향후 암 생존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시 암 생존자의 요구를 반영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ways that enable a successful comeback to everyday life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cancer survivors in returning to everyday life. Totally, 19 people diagnosed with complete cure after 5 years of cancer treatment,...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을 이해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일상생활 복귀 경험의 핵심범주는‘벗어날 수 없는 현실’, ‘내일을 알 수 없는 불확실한 삶’을 넘어 ‘새로운 삶 구축하기’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의 삶이 영위되는 일상생활을 주제로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암 생존자는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자신과의 싸움을 통해 나름의 전략을 수행하여 변화된 상황에 적응해 가고 있었다.
  • 중재적 조건은 특정한 전후 관계 안에서 취해지는 전략을 선택, 억제하는 역할로 본 연구에서는 하위범주로‘든든한 울타리’, ‘효과적인 암보험’의 2가지 중재적 조건이 도출되었다. 암 생존자들은 가족 때문에 힘든 치료과정을 이겨내고 일상생활을 계속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가족의 적절한 지지를 받지 못하면 암 치료에서부터 일상생활 복귀 과정은 오로지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고행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암 치료 후 5년이 지나 완치 판정을 받은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 복귀 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를 하나의 ‘과정’으로서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 경험 분석을 하고자 한다.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결과로 구성된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암 생존자의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접근 전략을 모색하였다. 인터뷰에서 발견된 자료를 개념화하고 그 범주들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이 논리적이고 적절한지를 다른 연구자와 분석과정을 함께 검토하였으며, 간호학과 사회복지학 교수 2인에게 조언을 받아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 national action plan for cancer survivorship: advancing public health strategies. CDC.; 2004.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cancer/survivors/pdf/plan.pdf 

  2. S. A. Leigh, "Defining our destiny. In: Hoffman B, ed. A Cancer survivor's almanac: Charting the journey", Minneapolis, MN: Chronimed Publishing; pp. 261-271, 1996. 

  3. CL. Park, I. Zlateva, T. Blank, "Self-identity after cancer: survivor, victim, patient, and person with cancer".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24, No.2, pp.430-5, 2009. DOI: https://dx.doi.org/10.1007%2Fs11606-009-0993-x 

  4. S. H. Kim, "Understanding cancer survivorship and its new perspectives", Asian Oncology Nursing, Vol.10, No.1, pp.19-29, 2010. UCI: G704-SER000008675.2010.10.1.011 

  5. K. W. Jung, Y. J. Won, H. J. Kong, C. M. Oh, D. H. Lee, J. S. Lee,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1".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46, No.2, pp.109-123, 2014 DOI: https://doi.org/10.4143/crt.2014.46.2.109 

  6. J. S. Kim, Return-to-work experi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16. 

  7.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 

  8. E. L. Cohen, M. Felson,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4, No.4, pp.588-605, 1979. 

  9. Y. H. Noh, Breast cancer survivor's conquest experience",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03. 

  10. M. S. Park, K. S. Kim, "Cancer survivors' life experience", Asian Oncology Nursing, Vol.8, No.2, pp.93-104, 2008. Available from: http://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1057060 

  11. J. Y. Yang, "The actual experiences of the living world amo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8, No.1, pp.140-51, 2008.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1.140 

  12. J. E. Lee, D. W. Shin, B. L. Cho, "The current status of cancer survivorship care and a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care model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10, No.2, pp.58-62, 2014. DOI: https://doi.org/10.14216/kjco.14012 

  13. Y. M. Bae, Y. A. Kim, S. H. Hong, J. H. Koo, Y. H. Yun, "Pubic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of national program for cancer survivorship",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4, No.4, pp.218-26, 2011. UCI: G704-SER000009021.2011.14.4.003 

  14. K. Miller, Medical and psychosocial care of the cancer survivor, Boston, M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10. 

  15. S. Y. Kwon, K. R. Bae, "A study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cancer survivors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6, No.1, pp.50-58, 2016.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6.46.1.50 

  16. E. K. Heo, H. S. Kang, K. H. Kim, Y. P. Hong, "Return-to-work experience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15, No.1, pp.92-102, 2011. DOI: https://doi.org/10.21896/jksmch.2011.15.1.92 

  17. M. R. Son, Experience of Return to Work among Officers with Cancer,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09. 

  18. S. I. Nam, K. H. Choi. "School reintegration, adjustment difficulties, and services for childhood cancer survivors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38, pp.181-215, 2013. UCI: G704-002139.2013.38..004 

  19. S. S. Hur, A study on the experiences in returning to social activities of the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their surgerie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1. 

  20. J. H. Han, An ethnography on joy and sorrow of cancer survivors,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15. 

  21. E. Y. Suh, "The processes of coping with breast cancer among korean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16, pp.305-15, 2008. UCI: G704-002182.2008.16.4.012 

  22. M. H. Seo, K. H. Lim, "The effects of fatigue and distress on self-efficac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28, No.4, pp.378-387, 2016.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6.28.4.378 

  23. A. Strauss, J. M. Corbin,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998. 

  24. J. A. Park, The survival journey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surgery,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2. 

  25. L. Pedro, "Quality of life for long-term survivors of cancer: influencing variables", Cancer Nursing, Vol.24, No.1, pp.1-11,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2820-200102000-00001 

  26. J. W. Lim, Y. I. Han,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for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60, No.1, pp.5-27, 2008. DOI: https://doi.org/10.20970/kasw.2008.60.1.001 

  27. P. S. Yu, S. H. Ko,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uncertainty in illness, hope and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18, No.3, pp.479-87, 2006. UCI: G704-000678.2006.18.3.001 

  28. M. R. Yun, M. S. Song,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10, No.1, pp.41-51, 2013. Available from: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86578/1/10-1-41-%EC%9C%A4%EB%AF%B8%EB%9D%BC-%EC%B5%9C%EC%A2%85.pdf 

  29. M. K. Lee, K. M. Lee, J. M. Bae, S. Kim, Y. W. Kim, K. W. Ryu, J. H. Lee et al, "Employment status and work-related difficulties in stomach cancer survivor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British Journal of Cancer, Vol.98, No.4, pp.708-15, 2008. DOI: http://dx.doi.org/10.1038/sj.bjc.6604236 

  30. Z. Amir, D. Neary, K. Luker, "Cancer survivors' view of work 3 years post diagnosis: A UK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Vol.12, No. 3, pp.190-197, 2008. DOI: https://doi.org/10.1016/j.ejon.2008.01.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