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인식과 역량 유형
Cancer survivor's dietary safety management awareness and competency typ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5, 2020년, pp.532 - 546  

김윤화 (경북대학교 장수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가 완료되어 관리를 하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 30대 이상 암 생존자 233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안전관리 인식과 역량, 행동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관리의 중요성 인식 요인의 평균점수가 3.83/5.00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육 요구 (3.79점),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 (역, 3.64점) 순으로 높은 반면, 지식 습득의 어려움 (역, 2.30점) 요인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고, 만성질환 불안 (2.64점), 지식 인식(2.74점), 균형식 (2.93점) 순으로 낮았다. 둘째, 남성, 60대, 경제적 상태와 영양보충제 섭취가 상대적으로 낮은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평균점수가 낮았고, 50대와 암 진단 3-5년 된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에 관한 강박관념과 건강기능성 추구 요인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셋째,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중 건강관리 및 조리 역량이 높은 집단은 균형식과 건강기능성 추구 요인의 평균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세 역량이 모두 낮은 집단은 이들 요인들이 평균점수가 낮았다. 넷째, 균형식 요인은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관리 역량 요인은 만성질환 불안, 식품안전 불안,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 요인을 제외한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암 재활 및 재발방지를 위해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유형과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다. 현재의 암을 치료하고, 미래의 재발과 전이, 만성질환을 예방하여 지속가능한 건강관리를 위한 식생활 관리를 위해 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lthough the number of cancer survivors is increasing because of early diagnosis and better treatment, they are worried about relapses and metastasis.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safety management awareness, capacity, and behavior of cancer surviv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암 생존자의 일반적 특성 (성별, 연령, 암 종류, 암 진단 시기, 경제적 상태, 영양보충제 섭취 정도)과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유형에 따른 식생활 안전 인식, 식생활 안전관리 인식,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식생활 안전 행동 요인의 평균점수를 알아보고, 식생활 안전 관련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고자 실시되었다.
  • 넷째, 균형식 요인은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관리 역량 요인은 만성질환 불안, 식품안전 불안,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 요인을 제외한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 였다. 본 연구는 암 재활 및 재발방지를 위해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유형과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다. 현재의 암을 치료하고, 미래의 재발과 전이, 만성질환을 예방하여 지속가능한 건강관리를 위한 식생활 관리를 위해 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 잡힌 건강한 식생활을 통한 영양소 섭취는 어떠한 효과가 있나요? 균형 잡힌 건강한 식생활을 통한 영양소 섭취는 발암물질과 활성산소의 반응으로 인한 체내 세포의 돌연변이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통해 암 발생을 억제하고, 면역력 증강으로 암의 치료율을 높이며, 암 발생률, 재발률, 사망률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8,9,13]. 또, 암 수술 후 환자들의 영양 관리와 건강한 식이는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질병으로부터 저항력을 높여 빠른 회복과 사망률 또는 합병증의 발병을 낮추며 [14], 체중 관리는 재발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15].
영양부족을 피하기 위해 영양보충제를 섭취하는 데 보충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이에 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은 채소, 과일 등의 건강한 식생활 패턴을 권장 받지만 [16], 암 생존자 중에는 육류, 생선 등 특정 식품의 섭취를 피하는 경우가 많고 [17], 영양부족을 피하기 위해 영양보충제 및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게 된다. 특정 영양성분을 가진 보충제는 암 발병의 위험을 개선할 수도 있지만 [18], 영양보충제는 대부분 의약품으로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성분이나 오염에 의한 독성 유발 가능성이 있고, 약물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치료를 방해하거나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19,20]. 따라서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이 효과적으로 실시되기 위해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역량, 행동을 분석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암 수술 후 환자들의 영양 관리와 건강한 식이는 어떤 효과가 있나요? 균형 잡힌 건강한 식생활을 통한 영양소 섭취는 발암물질과 활성산소의 반응으로 인한 체내 세포의 돌연변이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통해 암 발생을 억제하고, 면역력 증강으로 암의 치료율을 높이며, 암 발생률, 재발률, 사망률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8,9,13]. 또, 암 수술 후 환자들의 영양 관리와 건강한 식이는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질병으로부터 저항력을 높여 빠른 회복과 사망률 또는 합병증의 발병을 낮추며 [14], 체중 관리는 재발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merican Cancer Society. Cancer treatment & survivorship facts & figures 2019-2021. Atlanta (GA): American Cancer Society; 2019.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18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6 [Internet]. 2019 [cited 2019 Dec 27]. Available from: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7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3. KOSIS. 24 Carcinomas/cancer occurrence time/5-year relative survival rate by gender 2019 [Internet]. 2019 [cited 2019 Dec 2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parentIdD.1;&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4. Hewitt M, Greenfield S, Stovall E. From cancer patient to cancer survivor: lost in transit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 

  5. Greenlee H, Shi Z, Sardo Molmenti CL, Rundle A, Tsai WY. Trends in obesity prevalence in adults with a history of cancer: results from the US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7 to 2014. J Clin Oncol 2016; 34(26): 3133-3140. 

  6. Bluethmann SM, Mariotto AB, Rowland JH. Anticipating the "silver tsunami": prevalence trajectories and comorbidity burden among older cancer survivors in the United State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6; 25(7): 1029-1036. 

  7. Oeffinger KC, Mertens AC, Sklar CA, Kawashima T, Hudson MM, Meadows AT, et al. Chronic health conditions in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cancer. N Engl J Med 2006; 355(15): 1572-1582. 

  8. Jeffery EH, Milner JA. Diet and cancer prevention: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direction. Boca Raton (FL): CRC Press; 2006. p.351-384. 

  9. Donaldson MS. Nutrition and cancer: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an anti-cancer diet. Nutr J 2004; 3(1): 19. 

  10. Salem AA, Mackenzie GG. Pancreatic cancer: a critical review of dietary risk. Nutr Res 2018; 52: 1-13. 

  11. Kelly K. An overview of how to nourish the cancer patient by mouth. Cancer 1986; 58(8 Suppl): 1897-1901. 

  12. Hong KY, Choi YJ, Yan WQ, Lim HS, Chyun JH.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of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by nutrition counseling.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93-101. 

  13. World Cancer Research Fund &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Foo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London: World Cancer Research Fund &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2009. 

  14. Kushi LH, Doyle C, McCullough M, Rock CL, Demark-Wahnefried W, Bandera EV, et al.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s o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for cancer prevention: reducing the risk of cancer with healthy food choices and physical activity. CA Cancer J Clin 2012; 62(1): 30-67. 

  15. Kim WG, Park MS, Lee YH, Heo DS. Nutritional risk in oncology out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4): 537-581. 

  16. Rock CL, Doyle C, Demark-Wahnefried W, Meyerhardt J, Courneya KS, Schwartz AL, et 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 CA Cancer J Clin 2012; 62(4): 243-274. 

  17. Kim KO, Park HJ, Chun MS, Lee EH, Kim HS. Eating pattern and use of nutrition information in breast cancer survivor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in South Korea. J Nutr Health 2013; 46(3): 250-260. 

  18. Lee HS, Herceg Z. The epigenome and cancer prevention: a complex story of dietary supplementation. Cancer Lett 2014; 342(2): 275-284. 

  19. Alsanad SM, Williamson EM, Howard RL. Cancer patients at risk of herb/food supplement-drug interactions: a systematic review. Phytother Res 2014; 28(12): 1749-1755. 

  20. Nam SM, Cho IH. High rate of nutritional supplements usage and side effects among middle.high school and college swimmers and their low level of safety knowledge. Korean J Sport 2019; 17(1): 531-542. 

  21. Lee KA.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ating habits, and their perceptions of eating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J Korean Pract Arts Educ 2014; 27(1): 45-65. 

  22. Yoo HJ, Joo SH.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n consumers' perceived food safety and food safety orientation behavior. Consum Policy Educ Rev 2012; 8(4): 49-70. 

  23. Kim YH. Adulterated food management amongst food sellers near the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6; 32(6): 762-772. 

  24. Park DY. Utilizing the Health Belief Model to predicti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of weight reduction by weight status. Nutr Res Pract 2011; 5(4): 337-348. 

  25. Kim YH. Awareness of adulterated food and its management beliefs and capabilities among teenagers' parents. Culin Sci Hosp Res 2018; 24(2): 223-233. 

  26. Kim YH. Dietary safety management awareness and competency for healthcare among adul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20; 25(2): 112-125. 

  27. Demark-Wahnefried W, Aziz NM, Rowland JH, Pinto BM. Riding the crest of the teachable moment: promoting long-term health after the diagnosis of cancer. J Clin Oncol 2005; 23(24): 5814-5830. 

  28. Blanchard CM, Courneya KS, Stein K; American Cancer Society's SCS-II. Cancer survivors' adherence to lifestyle behavior recommendations and association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from the American Cancer Society's SCS-II. J Clin Oncol 2008; 26(13): 2198-2204. 

  29. Song SH, Youn HJ, Jung SY, Lee ES, Kim ZS, Cho J, et al. Dietary changes after breast cancer diagnosis: Associations with physical activity, anthropometr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J Community Nutr 2016; 21(6): 533-544. 

  30. Demark-Wahnefried W, Rogers LQ, Alfano CM, Thomson CA, Courneya KS, Meyerhardt JA, et al. Practical clinical interventions for diet,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control in cancer survivors. CA Cancer J Clin 2015; 65(3): 167-189. 

  31. World Cancer Research Fund/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Foo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Washington, D.C.: AICR; 2007. 

  32. National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prevention rips [Internet]. 2018 [cited 2020 Jan 9]. Available from: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3. 

  33. Kim SH, Park SH, Lee AR, Change KJ.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frequency according to hospitalizatio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and experience of breast cancer among female adults in Bucheon area. J Korean Soc Food Cult 2017; 32(5): 373-382. 

  34. Beeken RJ, Williams K, Wardle J, Croker H. "What about diet?" A qualitative study of cancer survivors' views on diet and cancer and their sources of information. Eur J Cancer Care (Engl) 2016; 25(5): 774-783. 

  35. Lee MK, Park SY, Choi GS.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adoption of a healthy diet in survivors of colorectal cancer. J Nurs Scholarsh 2019; 51(5): 509-517. 

  36. Hawkins NA, Smith T, Zhao L, Rodriguez J, Berkowitz Z, Stein KD. Health-related behavior change after cancer: results of the American Cancer Society's studies of cancer survivors (SCS). J Cancer Surviv 2010; 4(1): 20-32. 

  37. Ryu SW, Son YG, Lee MK. Motivators and barriers to adoption of a healthy diet by survivors of stomach cancer: a cross-sectional study. Eur J Oncol Nurs 2020; 44: 1017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