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번행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etragonia tetragonoides Water Extract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8 no.2, 2020년, pp.137 - 145  

공지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이기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노대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이장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안원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이부균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etragonia tetragonioides is one of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hat can be used to protect the stomach and treat cancer. However, its mechanism of overcom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is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etrago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번행초의 종양억제 기능과 항산화, 항염증 작용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이란 무엇인가?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을 때 면역세포 및 염증 매개체들이 반응하는 중요한 생체방어 시스템이다1). 염증반응 자체는 신체 보호에 필수적인 방어체계이지만 염증이 지속되거나 그 정도가 심할 때는 오히려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염증 등의 조직 손상이나 질병을 야기시킨다2).
염증반응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손상을 입었을 때 면역세포 및 염증 매개체들이 반응하는 중요한 생체방어 시스템이다1). 염증반응 자체는 신체 보호에 필수적인 방어체계이지만 염증이 지속되거나 그 정도가 심할 때는 오히려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염증 등의 조직 손상이나 질병을 야기시킨다2).
염증반응을 완화시키기 위해 어떤 약물들이 사용되고 그 효과는 어떠한가? 특히 최 근에는 만성염증이 심뇌혈관질환, 알츠하이머, 암 등 의 주요 중증 질환 뿐 아니라 비만, 당뇨, 대사증후 군 등의 성인병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염증 치료를 위 한 다양한 시도들이 수행되고 있다7) . 이러한 염증 완 화를 위해서 첫 번째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계 약물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lucocorticoid receptor)에 결합하여 면역반응과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에 관련된 사이토카인 등의 생성을 억제한다8) . 이는 급성 염증 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지만 골다공증 발생 가능성, 대사이상 등의 부작용이 있다. 다음으로는 비스테로 이드성 항염증제(NSAIDs)로 사이클로 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 COX) 효소를 저해하고 이로 인해 합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저해한다. 이는 실생활에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장기복용 할 경우 위장장애 및 신장질환을 야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NH Kim, Pro-inflammatory inhibition effect of Ferulic acid isolated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sis dissertation, 2016. 

  2. L Chen, Inflammatory responses and inflammation-associated diseases in organs. Oncotarget. 2018;9:7204-7218. 

  3. C Gabay, Interleukin-6 and chronic inflammation. Arthritis Res. Ther. 2006;8:53. 

  4. P Fang, Immune cell subset differentiation and tissue inflammation. 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 2018;11(1):97. 

  5. SL Masters, A Simon, I Aksentijevich, DL Kastner, Horror autoinflammaticus: the molecular pathophysiology of autoinflammatory disease. Ann. Rev. Immunol. 2009;27:621-668. 

  6. RP Tracy, The Five Cardinal Signs of Inflammatio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2006;61(10):1051-1052. 

  7. IH Kim, CH Choi, SW Lee, YS Song, Antiinflammatory Effect of Mugi-hwan Water Extract in RAW 264.7 Cells.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3;23(3);27-35. 

  8. SH Lee, YH Choi, Link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Cancer: A Recent Research Trend, Journal of Life Science. 2013;23(4):602-608. 

  9. Rostom A, Dube C, Wells G, Tugwell P, Welch V, Jolicoeur E, McGowan J. Prevention of NSAID-induced gastroduodenal ulcer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2;4:DC002296. 

  10. BJ Kim, Glucocorticoid and Pain Treatment, The Journals of critical pain. 2002;1(2):63-69. 

  11. DC Wallace, Science.Mitochondrial genetics: A paradigm for aging and degenerative diseases. Science. 1992;256:628-632. 

  12. S Loft, A Astrup, B Buemann, HE Poulsen, H.E. Oxidative DNA damage correlates with oxygen consumption in humans. FASEB J. 1994;8:534-537. 

  13. S Duffy, BA MacViar, In vitro ischemia promotes calcium influx and intracellular calcium release in hippocampal astrocytes. J Neurosci. 1996;16(1):71-81. 

  14. Al Harabin, JC Braisted, ET Flynn, Response of antioxidant enzymes to intermitent and continuous hyperbaric oxygen. J Appl physiol. 1990;69:328-335. 

  15. JM Jacobson , JR Michael, MH JR Jafri, GH Gurtner,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enzymes protect against pulmonary oxygen toxicity in the rabbit. J Appl Physiol 1990;68: 1252-1259. 

  16. JK J, Healthy native grass. Nexus Books, 2009:267. 

  17. T Aoki, K Takagi, T. Hira, Two naturally occurring acyclic diterpene and norditerpene aldehydes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Phytochemistry. 1982;21(6):1361-1363. 

  18. M Kato, T Takeda, Y Ogihar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I. Chem. Pharm. Bull. 1985;33(9):3675-3680. 

  19. HY Ryu, KH Bae, EJ Kim, SJ Park, BH Lee,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J. Life Sci, 17(5): 652-657. 

  20. E Okuyama, M Yamazaki, The principles of Tetragonia tetragonoides having antiulcerogenic activity. II. Isolation and structure of cerebroside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terol glucoside mixture (compound A). Yakuguku zasshi 1983;31(7):43-48. 

  21. JH Kim, CS Seo, WYJeon, HK Shin, The Compositional Differences of Sipjeondaebotang( Siquandabu-tang), Decoctions Extracted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 and Extraction Time.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12;25(2):108-119. 

  22. GY Choi, Chinese Herb. Vol.2: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99:752-3. 

  23. JC Lee, Effect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on the Activity of Tumor and Anti-inflammatory Cells in Mice.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 1991. 

  24. SI Kodato, M Nakagawa, T Hino, Synthesis of cerebroside B1b with antiulcerogenic activity II. Total synthesis and determination of absolute configuration of cerebroside B1b and its stereoisomers. Tetrahedron. 1989;45(23):7263-7280. 

  25. YG Park, YH Nam,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Pall.) O. KUNTZE. 1983;17(2):191-191. 

  26. JB Jo, EH Lee and YJ Jo, Beauty Food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6:333-341. 

  27. EY Ko, SH Cho, KP Kang, GB Kim, JH Lee, YJ Jeon, DK Kim, GA Ahn, KN Kim,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ydrosols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in LPS- induced RAW 264.7 cells. EXCLI J. 2017;16:521-530. 

  28. HJ Choi, ST Yee and WH Joo, Antidiabe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Extract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Journal of Life Science 2017;27(5:)579-583. 

  29. OS Aslanturk, Genotoxicity: A Predictable Risk to Our Actual World. BoD - Books on Demand. 2018:4. 

  30. V Bondet, W Brand-Williams, C Berset. Kinetics and Mechanisms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Method. Lebensm.-Wiss. u.-Technol. 1997;30:609-615. 

  31. P Molyneux. The us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 (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Songklanakarin J. Schi. Technol., 2004;26:211-219. 

  32. JN Sharma, A Al-Omran, SS Pavathy. Role of nitric oxide in inflammatory diesease. 2007;15(6):252-259. 

  33. HJ Koo. Inhibition of iNOS mRNA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by LED light irradiation. Nambu University.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2010. 

  34. B Beutler, A Cerami. The biology of cachectin/ $TNF-{\alpha}$ primary mediator of the host response. Annu. Rev. Immunol. 1989;7:625-655. 

  35. M Guslandi. Nitric oxide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s. Eur. J. Clin. Invest. 1998; 28:904-907. 

  36. AV Delgado, AT McManus, JP Chambers.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1-beta, Interleukin 2, and Interleukin 6 by rat leukocyte sub- populations after exposure to Substance P. Neuropeptides. 2003;37:355-361. 

  37. SJ Kim, HJ Jeong, PD Moon, KM Lee, HB Lee, HJ Jung, SK Jung, HK Rhee, DC Yang, SH Hong, HM Kim. Anti-inflammatoryactivity of Gumiganghwaltang through the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ap- pa B activation in peritoneal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005;28:233-237. 

  38. K. Sheeja, P. K. Shihab, G. Kutta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plant Andrographis Paniculata Nees. Immunopharmacology and immunotoxicology, 2006; 28:129-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