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l Communities in the Spring at Gijang-gun, Busan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6 no.2, 2020년, pp.175 - 185  

정승욱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최창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류 13종(10.7 %), 갈조류 18종(14.9 %), 홍조류 90종(74.4 %) 등 총 121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조간대에서 총 56종, 조하대에서 총 110종으로 조하대 출현종이 2배가량 많았으며, 해역별로는 문동 88종, 공수 76종, 대변 75종 순으로 높았다. 연구 해역의 평균 생물량은 1,501.5 g·m-2로 확인되었으며, 조간대 1,133.5 g·m-2, 조하대 1,869.4 g·m-2로 조하대가 더 높았고, 해역별로는 문동 2,234.0 g·m-2, 공수 1,228.1 g·m-2, 대변 1,044.4 g·m-2 순으로 높았다. 높은 생물량을 나타낸 종은 조간대에서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조하대에서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Phycodrys fimbriata로 확인되었다. 해조류 기능형군별 피도 비율에 따라 군집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 해역 전체는 'Low', 집단별로는 'Low' ~ 'Moderate' 상태를 나타내었고, 이는 기회종(opportunistic species)이 기장 해역 전체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교란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고려된다. 특히 기장 해역은 해조류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양식장 조성과 국가어항개발 및 연안 정비 등의 연안개발로 인한 인위적인 영향이 해조 군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해역 전반에 걸친 해조 군집의 장기 모니터링과 우수한 해조 군집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during scuba diving activity between May 2017 and June 2017 in order to analyze spring marine algal community structure at Gijang-gun, Busan. A total of 121 species including 13 (10.7 %) Chlorophyta, 18 (14.9 %) Phaeophyta, and 90 (74.4 %) Rhodop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 타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출현종수와 생물량을 나타내었으나 최근 빈약한 해조상을 나타내는 기장 해역의 해조 군집을 대상으로 현재 해조류의 종조성 및 군집특성, 과거 연구와의 비교를 통한 군집의 변동 등을 면밀히 파악하며, 추후 해조상의 구계론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을 연구했는데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류 13종(10.7 %), 갈조류 18종(14.9 %), 홍조류 90종(74.4 %) 등 총 121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조간대에서 총 56종, 조하대에서 총 110종으로 조하대 출현종이 2배가량 많았으며, 해역별로는 문동 88종, 공수 76종, 대변 75종 순으로 높았다. 연구 해역의 평균 생물량은 1,501.5 g·m-2로 확인되었으며, 조간대 1,133.5 g·m-2, 조하대 1,869.4 g·m-2로 조하대가 더 높았고, 해역별로는 문동 2,234.0 g·m-2, 공수 1,228.1 g·m-2, 대변 1,044.4 g·m-2 순으로 높았다. 높은 생물량을 나타낸 종은 조간대에서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조하대에서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Phycodrys fimbriata로 확인되었다. 해조류 기능형군별 피도 비율에 따라 군집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 해역 전체는 'Low', 집단별로는 'Low' ~ 'Moderate' 상태를 나타내었고, 이는 기회종(opportunistic species)이 기장 해역 전체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교란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고려된다. 특히 기장 해역은 해조류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양식장 조성과 국가어항개발 및 연안 정비 등의 연안개발로 인한 인위적인 영향이 해조 군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해역 전반에 걸친 해조 군집의 장기 모니터링과 우수한 해조 군집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조류는 무엇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는가? , 2002; 2008). 또한, 해조류는 영양염 변화, 중금속 오염, 수온 변화 등 환경변화와 물리적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어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활용도가 높으며, 연안 생태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척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Levine, 1984; Vásquez and Guerra, 1996; Orfanidis et al., 2001; 2003; Yoo, 2003; Choi et al.
해조 군집이 훼손되거나 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14). 하지만 최근 연안 개발, 서식지 파괴, 자원 남획, 부영양화, 부유물 퇴적 등 다양한 인위적 교란이 많이 발생하여 연안의 해조 군집이 훼손되거나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tes and DeWreede, 2007; Choi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bbott, I. A. and G. J. Hollenberg(1976), Marine Algae of California. Stanford Univ. Press. California, pp. 1-827. 

  2. Bates, C. R. and R. E. DeWreede(2007), Do changes in seaweed biodiversity influence associated invertebrate epifauna? J. Exp. Mar. Biol. Ecol. 344, pp. 206-214. 

  3. Bray, J. R and J. 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pp. 325-349. 

  4. Chakraborty, S., T. Bhattacharya, G. Singh, and J. P. Maity (2014), Benthic macroalgae as biological indicators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s: Abiomonitoring approach for pollution assessment. Ecotoxi. Environ. Safety. 100, pp. 61-68. 

  5. Chihara, M.(1970), Common seaweed of Japan in color. Hoikusha Pub. Co., Ltd. Osaka, pp. 1-173. 

  6. Choe, S. and T. W. Chung(1970), Oceanological stud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KIST Res. Rept., CI 47-109, pp. 1-143. 

  7. Choi, C. G, J. H. Kim, and I. K. Chung(2008), Temporal variation of seaweed biomass in Korea coast: Yokjido, Gyeongnam Province. Algae. 23, pp. 311-316. 

  8. Choi, C. G., S. J. Oh, and I. J. Kang(2010),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in Kijang, Korea, J. Fac. Agr., Kyushu Univ. 55, pp. 39-46. 

  9. Choi, C. G., S. N. Kwak, and C. H. Sohn(2006),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Algae. 21, pp. 463-470. 

  10. Choi, C. G., Y. Takeuchi, T. Terawki, Y. Serisawa, M. Ohno, and C. H. Sohn(2002), Ecology of seaweed beds on two types of artificial reef. J. Appl. Phycol. 14, pp. 343-349. 

  11. Dawes, C. J.(1998), Marine Botan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 1-628. 

  12. Kang, J. W.(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Busan. Fish. Coll. 7, pp. 1-125. 

  13. Kang, J. W.(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pp. 1-465. 

  14. Kang, P. J., Y. S. Kim, and K. W. Nam(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Algae. 23, pp. 317-326. 

  15. Kim, H. S., S. M. Boo, I. K. Lee, and C. H. Sohn(2013),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Marine Alg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1-336. 

  16. Kim, J. H., S. H. Youn, and K. W. Nam(2012),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Busan, Korea. Jour. Fish. Mar. Sci. Edu. 26, pp. 920-934. 

  17. Kim, Y. H. and J. H. Lee(1980), A study on the marine algae at the coast of Kori Nuclear Power Plant. 1.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during 1977-1978. Korean J. Bot. 23, pp. 3-10. 

  18. Lee, I. K., H. S. Kim, C. H. Koh, J. W. Kang, S. Y. Hong, S. M. Boo, I. H. Kim, and Y. C. Kang(1984), Studies on the marine benthic communities in inter- and subtidal zone II.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structure in south-eastern coast of Korea. Proc. Coll. Natur. Sci., SNU 9, pp. 71-126. 

  19. Lee, K. W.(1972), Annual variation of marine algae flora at Dongbaeksum. Bull. Fish. Jeju Univ. 1, pp. 8-16. 

  20. Lee, K. W.(1974), Observation of algal community near Dongbaeksum, Haeundae. Bull. Fish. Jeju Univ. 5, pp. 319-331. 

  21. Lee, K. W. and J. W. Kang(1971), A preliminary survey of the algal flora and communities of Dongbaiksum, Pusan. Publ. Mar. Lab. Pusan Fish. Coll. 4, pp. 29-37. 

  22. Lee, Y. P.(2008), Marine Algae of Jeju. Academy Press. Seoul, pp. 1-477. 

  23. Lee, Y. P. and S. Y. Kang(2001),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pp. 1-662. 

  24. Levine, H. G.(1984), The use of seaweeds for monitoring coastal waters. In Schubert, L.E (ed) Algae as Ecological Indicators. Academic Press. Inc. London, pp. 188-210. 

  25. Littler, M. M. and D. S. Littler(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 intertidal system. J. Exp. Mar. Biol. Ecol. 74, pp. 13-34. 

  26. Mar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J. Gen. Systems. 3, pp. 36-71. 

  27. Oh, Y. S., I. K. Lee, and S. M. Boo(1990), An annotated account of Korean economic seaweeds for food, medical and industrial uses. Kor. J. Phycol. 5, pp. 57-71. 

  28. Okamura, K.(1892), On the marine algae of Fusanpo. Bot. Mag. Tokyo 6, pp. 117-119. 

  29. Orfanidis, S., P. Panayotidis, and N. Stamatis(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 Mar. Sci. 2, pp. 45-65. 

  30. Orfanidis, S., P. Panayotidis, and N. Stamatis(2003), An insight to the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Ecol. Indicators 3, pp. 27-33. 

  31. Pielou, E. C.(1977), Mathematical Ecology. Wiley Company, New York, pp. 1-164. 

  32. Saito, S. and S. Atobe(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I. Bull. Fac. Fish. Hokkaido Univ. 21, pp. 37-67. 

  33. Shannon, C. 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pp. 1-117. 

  34. Simpson, E. H.(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pp. 688-692. 

  35. Tribollet, A. D. and P. S. Vroom(2007), Temporal and spatial comparison of the relative abundance of macroalgae across the Mariana Archipelago between 2003 and 2005. Phycologia. 46, pp. 187-197. 

  36. Vasquez, J. A. and N. Guerra(1996), The use of seaweeds as bio-indicators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contaminants in northern Chile. Hydrobiologia. 326/327, pp. 327-333. 

  37. Yoo, J. S.(2003),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J. Korean Soc. Oceanogr. 8, pp. 420-425. 

  38. Yoo, J. S., J. M. Kim, and C. G. Choi(2013), Changes in marine algal communities around Gijang Bus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6, pp. 303-309. 

  39. Yoshida, T.(1998), Marine algae of Japan. Uchida-Rokakuho Publishing Co., Ltd. Tokyo, pp. 1-1222. 

  40. Zemke-White, W. L and M. Ohno(1999), World seaweed utilisation: An end-of-century summary. J. Appl. Phycol., 11, pp. 369-3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