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영상을 활용한 논 유기물 관리 인자 조사 및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
Application of Drone Images to Investigate Biomass Management Practices and Estimation of CH4 Emissions from Paddy Field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2 no.3, 2020년, pp.39 - 49  

박진석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장성주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형준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홍록기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송인홍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paddy cultivation is one of the major sources in methane (CH4) emission of which accurate assessment would be a prerequisite for agricultural greenhouse gas management. Biomass treatment in paddy field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CH4 emissions and thus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드론영상을 이용하여 지역별 영농현황, 볏짚 관리, 이모작 등 유기물 관리 인자를 중심으로 영농자료를 수집하여 기존의 국가 평균 자료에 근거한 Tier 2 방법에서 지역별로 다른 유기물 관리 인자를 고려한 Tier 3 수준으로 논벼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별로 150 ha가 조금 넘는 지역을 대상으로 3개 지역에 선정하여 유기물 관리 인자를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할 수 있는 면적에 제한이 있어 시⋅군단위 내지는 광역단위로 메탄가스 발생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항공영상이나 위성영상과 연계 하는 방안이 필요해 보이고, 향후 연구과제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논벼 재배에 따른 메탄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기존 Tier 2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드론 영상을 활용해 대상 지역의 볏짚, 동계작물 등 유기물 관리 인자를 필지단위로 조사하여 Tier 3 방법으로 배출량 산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동일 대상 지역에 대해 2회로 나눠 드론영상을 수집하였는데 이를 통해 논벼 재배지역을 확인한 후 볏짚 및 동계작물의 유기물 관리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가스 감축의 계획 수립 및 이해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수립 및 이행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논벼 재배부문의 메탄가스 발생은 지역의 기후특성, 물 관리 유형, 유기물 관리 인자 등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인자를 적절하게 고려한 배출량 산정이 필요하다(Yagi et al.
논벼 재배부문의 메탄가스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온실가스 감축 계획수립 및 이행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논벼 재배부문의 메탄가스 발생은 지역의 기후특성, 물 관리 유형, 유기물 관리 인자 등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인자를 적절하게 고려한 배출량 산정이 필요하다(Yagi et al., 1996; Sass, 1994; Wassmann and Aulakh, 2000).
IPCC에서 제시한 논벼 재배부문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법 중 Tier 3의 장점은 무엇인가? Tier 3은 각 인자의 지역별 반복 관측으로 지역 단위 자료 이용이 가능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설정된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와 지역 인자 자료를 고려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메탄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Tier 3을 통한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은 지역별 영농형태의 반영이 가능하여 국가 평균을 이용한 Tier 2와 IPCC 제시값을 이용한 Tier 1에 비해 정확한 메탄가스 배출량 산정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IPCC, 2019. 2019 refinement to the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witzerland. 

  2. Jeong, J. H., B. W. Sin, and C. H. Yoo, 2001. Effects of the successiv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on soil properties and rice yield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4(2): 129-133 (in Korean). 

  3. Ju, O. J., T. J. Won, K. R. Cho, B. R. Choi, J. S. Seo, I. T. Park, and G. Y. Kim, 2013. New estimates of $CH_4$ emission scaling factors by amount of rice straw applied from Korea paddy field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2(3): 179-184 (in Korean). doi:10.5338/kjea.2013.32.3.179. 

  4. Kang, S. J., K. Y. Lee, E. I. Jeon, I. H. Shin, S. J. Yu, and O. S. Kwon, 2018. A study on interference effect by pH and organic matter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detection using hyperspectral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4): 375-383 (in Korean). doi:10.9798/kosham.2018.18.4.375. 

  5. Kim, C. G., H. K. Jeong, and Y. G. Kim, 2016a. Effects of organic farming on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7(3): 335 (in Korean). doi:10.15531/ksccr.2016.7.3.335. 

  6. Kim, S. H., G. H. Lee, and G. H. Yu, 2016b. Trends and challenges of agricultural drone technology.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22(3): 34-42 (in Korean). 

  7. Kim, M. H., 2014. Development of statistical research technique of feed crops and application method, 11-1543000-000496-0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8. Kim, G. Y., H. C. Jeong, O. J. Ju, H. K. Kim, J. H. Park, H. S. Gwon, and P. J. Kim, 2013. Establishment of baseline emission factor of methane in Korean rice paddy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2(4): 359-365 (in Korean). doi:10.5338/kjea.2013.32.4.359. 

  9. Kim, G. Y., S. I. Park, B. H. Song, and Y. K. Shin, 2002.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by management of water and nutrient in a rice paddy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1(2): 136-143 (in Korean). doi:10.5338/kjea.2002.21.2.136. 

  10. Kim, H. K., B. H. Kim, S. K. Kim, H. W. Kim, J. D. Park, K. J. Choi, and H. C. Jeong, 2012. The evaluation of methane emitted at paddy soil applied to organic matter while rice cultivated organically.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Conference 273 (in Korean). 

  11. Kim, Y. K., D. G. Seong, E. H. Han, Y. C. Cho, and S. D. Lee, 2017. Effect of application of unmanned helicopter on whole growing process without tillage and harvest in rice,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Jinju, Korea (in Korean). 

  12. Kwun, S. K., Y. K. Shin, and Kicheol Eom, 2003. Estimation of methane emission from rice cultivation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38(11): 2549-2563. 

  13. Lee, K. D., S. H. Hong, and Y. H. Kim, 2012. Farmland use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images and land use change analysis.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45(6): 1164-1172 (in Korean). 

  14. Lim, S. S., W. J. Choi, and H. Y. Kim, 2012. Fertilizer and organic inputs effects on $CO_2$ and $CH_4$ emission from a soil under changing water regim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1(2): 104-112 (in Korean). doi:10.5338/kjea.2012.31.2.104. 

  15.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2014. 2014 Greenhouse gas emission and absorption coefficient,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16.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2018.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17.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7. The standards of fertilizer prescription by crops. 

  18. Roh, K. A., H. C. Jeong, G. Y. Kim, K. H. So, K. M. Shim, D. B. Lee, and Y. H. Kim, 2010. Estimation of carbon sequestration and methane emission with organic amendment application at agricultural soil in Korea. In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Conference 156-157 (in Korean). 

  19. Sass, R. L., 1994. Short summary chapter for methane. In: Minami et al. (Eds.) $CH_4$ and $N_2O$ -global emissions and controls from rice fields and other agricultural and industrial sources, Yokendo Publishers, Japan, 1-7. 

  20. Shin, Y. K., B. L. Lee, and J. S. Suh, 1995. Influence of soil and air temperature on the Diel change of methane emission in a Korean paddy soil incorporated with rice straw.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28(3): 266-269. 

  21. Shin, Y. K., Y. S. Lee, J. W. Ahn, M. H. Koh, and K. C. Eom, 2003. Seasonal change of rice-mediated methane emission from a rice paddy under Different water management and organic amendment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36(1): 41-49. 

  22. Wassmann, R., and M. S. Aulakh, 2000. The role of rice plants in regulating mechanisms of methane emissions. Biology and Fertility of Soils 31: 20-29. 

  23. Yagi, K., H. Tsuruta, K. Kanda, and K. Minami, 1996. Effect of water management on methane emission from a Japanese rice paddy field: Automated methane monitoring.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10(2): 255-267. 

  24. Kostat, 2010. Total surve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25. Kostat, 2016. Micro data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26. Kostat, 2019. Survey of agricultural area,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