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and objectives: One-person households are the fastest growing family type in Korea. They bring social concerns such as weakened social integration, increasing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They are not homogeneous but heterogeneous groups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
Background and objectives: One-person households are the fastest growing family type in Korea. They bring social concerns such as weakened social integration, increasing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They are not homogeneous but heterogeneous groups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e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it among the three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s Methods: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dataset with 1,187 respondents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Gener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namely young adult (20-39), the middle-aged (40-64) and the elderly (65 and over). Result: The lif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st among the young adult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 followed by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generation.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three generations were physical as well as mental health, includ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were more factors differen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for the young adult, age, religion, and smoking were significant. As for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gender (male) and income were significant. Additionally, age, home-ownership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 to the elderly generation. Conclusions: As there are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policies for one-person households need to be devised considering these findings. For all generations,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policies are needed. For young adult strengthening social relations, providing decent jobs, and promoting anti-smoking policy are major agenda, and for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ssisting i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for male), providing stable jobs and diverse leisure activities, and securing income. Additionally, for the elderly, expand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housing support are needed.
Background and objectives: One-person households are the fastest growing family type in Korea. They bring social concerns such as weakened social integration, increasing poverty and social isolation. They are not homogeneous but heterogeneous groups depending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er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it among the three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s Methods: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dataset with 1,187 respondents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Gener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namely young adult (20-39), the middle-aged (40-64) and the elderly (65 and over). Result: The lif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st among the young adult one-person household generation, followed by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generation.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three generations were physical as well as mental health, includ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were more factors differen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for the young adult, age, religion, and smoking were significant. As for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gender (male) and income were significant. Additionally, age, home-ownership and drinking were significant to the elderly generation. Conclusions: As there are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policies for one-person households need to be devised considering these findings. For all generations,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policies are needed. For young adult strengthening social relations, providing decent jobs, and promoting anti-smoking policy are major agenda, and for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assisting i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for male), providing stable jobs and diverse leisure activities, and securing income. Additionally, for the elderly, expanding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housing support are needed.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형성과정을 고려하여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들을 살펴보되, 이를 세대별로 비교하고자 한다. 이로써 1인가구 논의에서 간과되어온 세대문제를 부각시키고, 세대의 특성에 부합되는 정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제안 방법
독립변수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건강위험행동, 정신건강 요인을 선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13차 패널(2018년) 데이타를 2차분석 하였다. 한국복지패널 데이타는 변화하고 있는 계층의 규모 및 생활실태를 동태적으로 파악하여 정책형성 및 정책지원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 2018).
연구대상의 대표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데이터 분석시 횡단면 표본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20세 이상 1인가구원수는 1,187명이다. 세대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강은나 등, 2017) 청년세대는 20-39세, 중년세대는 40-64세, 노년세대는 65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데이터처리
1인가구의 특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과 삶의 만족도 수준을 세대간 비교하기 위하여 SPSS Version 21을 사용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est), 분산 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이론/모형
이는 삶의 질, 행복, 사기 등의 용어로도 혼용되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삶의 만족도 척도는 한국복지패널에서 자체 개발한 것으로 지난 1년간(2018년)의 생활만족도를 7영역으로 구성하였다. 포함된 7개의 삶의 만족도 영역은 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 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생활이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존감과 우울감을 선정하였다. 자존감은 Rosenberg 의 자존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총 10문항에 대해서 조사시점인 2018년을 기준으로 자신의 대해서 가장 가깝다고 느껴지는 것을 4점척도(1: 대체로 그렇지 않다, 2: 보통이다, 3: 대체로 그렇다, 4: 항상 그렇다)로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인가구는 청년세대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중년과 노년세대는 비슷한 수준으로 낮았다. 청년세대는 교육이나 취업으로 인해서 자발적으로 1인가구가 된 세대로 비교적 안정된 일자리를 가진 세대이다.
1인가구의 세대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 결과, 청년세대는 저연령이고, 종교가 있고, 건강하며, 흡연하지 않을수록, 그리고 자존감은 높고 우울감은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중년세대는 여성, 건강하고, 소득이 많을수록, 자존감은 높고 우울감은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후속연구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횡단적으로 살펴보았고, 종단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다. 청년세대에서 중년세대 및 노인세대에 이르는 과정에서 1인가구의 변화궤적에 대한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즉, 청년세대 1인가구가 중년기 및 노년기를 거치면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인가 구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깊은 가족 및 사회관계 변수, 사회적 지지변수, 여가관련 변수, 건강증진 요인 등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향후에는 관계의 빈도와 질, 그리고 여가생활의 유형과 빈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건강증진 행위 등을 포함하고, 요인간 상효작용 효과나 매개효과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가구란 무엇인가?
1인가구는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로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를 의미한다(통계청, 2018). 혼족, 욜로족(YOLO: You Only Live Once.
1인가구의 단점은?
혼자사는 것 자체가 때문이 아니라 다른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1인가구는 다른 사람과의 인적 교류가 적어서 우울감, 외로움, 고립감, 슬픔을 많이 느낀다(이명진 등, 2014). 사회적 교류가 활발한 시기인 청년세대의 경우도 1인 가구 청년은 사회관계를 맺는 시간도 적고 여가활동도 주로 혼자한다(노혜진, 2018).
1인가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 등으로 불리워지기도 하는 1인 가구는 사회적인 관심과 우려를 낳는다. 이는 가족 구조의 축소나 결혼 지연 또는 기피, 새로운 문화의 도래 이상의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사회적으로는 관계의 고립 및 단절로 인한 사회통합 저해, 시장에서의 교환적 관계의 잠식을 초래하고, 개인적으로는 1인 고독사, 빈곤 등을 겪게 된다(이명진 등, 2014; Ravnera et al., 2014; 김유경 등, 2015).
Fukunaga, R, Nakagawa, Y. Koyama, A. Jujise, N, Ikeda, M. (2012). Living alone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in Japan. Psychogeriatrics, 12(3), 179-185.
Gaymu, J, Springer, S. (2010).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Europeans living alone: a gender and cross-country analysis. Ageing and Society, 30(7), 1153-1175.
OECD. (2018). family database homepage, www.oecd.org/els/family/database.htm. retrieved on 2018. 10. 22.
Ravanera, Z. Rajulton, F. and Beaujot, R. (2014). Trajectories to living alone at mid-life in Canada: A comparison by gender and over time. Working paper, Princeton University.
Yeung, W. and Cheung, A. (2015). Living alone: One-person households in Asia. Demographic Research, 32(40), 1099-11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