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개방형 및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 역설의 차이
Difference of Privacy Paradox on Open and Closed SNS 원문보기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7 no.1 = no.102, 2020년, pp.72 - 91  

신일순 (Inha University)

초록

공개된 프로필을 기반으로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개방형 SNS와 미리 소통할 지인의 범위를 제한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에 덜 취약한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 역설 현상이 다르게 관측될 수 있다는 개연성에 기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SNS를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구분하고, 어떠한 SNS 활동에서 프라이버시 역설이 성립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사용 여부의 경우, 전체적인 SNS 활동에서는 프라이버시 역설이 성립하지만, 개방형 및 폐쇄형 SNS에 따라 다른 결론이 도출되었다. 특히, 침해에 더 취약한 개방형 SNS에서는 프라이버시 염려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들이 합리적이고 바람직하게 SNS 활동을 감소키는 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SNS 사용 강도의 경우, (i) 헤비 유저가 라이트 유저에 비해 프라이버시 침해의 개연성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여 프라이버시 염려의 증가에 따라 사용 강도를 감소하는 식의 합리적인 반응을 하며, 또한 (ii) 이러한 경향이 개인정보 침해에 취약한 개방형 SNS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SNS 활동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프라이버시 역설의 존재를 주장하는 것은 일종의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를 범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lassified SNS into open and closed types, and empirically examined in which SNS activity the privacy paradox holds. The idea comes from the argument that privacy paradox may be observed differently in the open SNS, which is more vulnerable to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u...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21)

  1. Acquisti, A., Brandimarte, L. & Loewenstein, G. (2015). "Privacy and human behavior in the age of information." Science, 347(6221), 509-514. 

  2. Blundell, R., Bozioet, A. & Laroques, G. (2013). "Extensive and Intensive Margins of Labour Supply: Work and Working Hours in the US, the UK and France." Fiscal Studies, 34(1), 1-29. 

  3. Boyd, D. & Hargittai, E. (2010). "Facebook privacy settings: Who cares?." First Monday, 15(8). https://firstmonday.org/ojs/index.php/fm/article/view/3086/2589&saU&ved0CDIQFjAGOB5qFQoTCIrz- (Retrieved on January 13, 2020). 

  4. Brecht, F., Fabian, B., Kunz, S. & Mueller, S. (2011). "Are You Willing to Wait Longer for Internet Privacy?." Proceedings of ECIS 2011, Paper 236. 

  5. Choi, H., Lee, M. & Lee, H. (2019). "Is There a Privacy Paradox in the Online Purchasing Context?: The Study on the Effects of Privacy Concern and Online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7(5), 1-13. 

  6. Debatin, B., Lovejoy, J., Horn, A. & Hughes, B. (2009). "Facebook and online privacy: Attitudes, behavior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5(1), 83-108. 

  7. Greene, W.(2002), "The Bias of the Fixed Effects Estimator in Nonlinear Models." NYU Working Paper EC-02-05. https://ssrn.com/abstract1292651 (Retrieved on January 13, 2020). 

  8. Jang, S. & Kim, S. (2014). "Evaluation study about the utilization of applications which provide closed-type social network service - Focusing on 'Naver Band' and 'Kakao Group'." Journal of Digital Design, 14(1), 377-386. 

  9. Kim, J. & Kim, S. (2013). "Privacy Protection Behavior of Online User : Based on Privacy Paradox Perspective."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3(1), 41-64. 

  10. Kim, J. & Kim, S. (2015). "A Study on Privacy Paradox from the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Informatization Policy, 22(3), 16-35. 

  11. Kokolakis, S. (2017). "Privacy attitudes and privacy behaviour: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on the privacy paradox phenomenon." Computers & Security, 64, 122-134. 

  12. Lee. H. & Lee. S. (2009).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Information Privacy: Aimed at Draw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Information Privacy-related Studies." Informatization Policy, 16(2), 3-26. 

  13. Min, I. & Choi, P. (2009). Stata Panel Data Analysis. Seoul: Jiphil Media 

  14. Min, J. & Kim, B. (2015). How are people enticed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despite privacy concerns in social network sites? The calculus between benefit and cost."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6(4), 839-857. 

  15. Park, H. & Kim, S. (2009). "An Empirical Study of SNS Users' Switching Intention Toward Closed SNS." Information Systems Review, 16(3), 135-160. 

  16. Park, J. & Lee, S. (2007). "Path Analysis of User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Information Privacy."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5(1), 281-307. 

  17. Shin, I. & Kim, H. (2018). "Privacy Concerns and SNS Activities: Focusing on the Validity and Explanations of the Existence of a Privacy Paradox." Korean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25(2), 33-67. 

  18. Wooldridge, J. M. (2010).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2nd edition. MIT Press: Cambridge. 

  19. Yao, M. & Zhang, J. (2008). "Predicting user concerns about online privacy in Hongkong." CyberPsychology & Behavior, 11(6), 779-781. 

  20. Yao, M., Rice, R. & Wallis, K. (2007). "Predicting user concerns about online privac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5), 710-722. 

  21. Youn, S. & Hall, K. (2008). "Gender and online privacy among teens: Risk perception, privacy concerns, and protection behavior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6), 763-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