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을이용한 서울시 교통약자 생활권 분석에 따른 저상버스 확대 제안
A Proposal for expansion of the low-floor bus based on analysis of living area for the handicapped mobility people in Seoul Using R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7 no.6, 2017년, pp.195 - 201  

윤상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정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전광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6년 현재, 총 교통이용 인구대비 교통약자의 비율은 24.8%이다. 이러한 교통약자들의 주요 이동수단은 '도보(33.5%)'를 제외하고 '버스(25.6%)'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수단인 저상버스를 2015년 기준 30%까지 확대 하였지만 교통약자들의 이동편의 증진 만족도는 2%밖에 증가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17년까지 전체 버스 중 저상버스의 비율을 55%까지 확대 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사실상 저상버스의 비율을 늘리는 것은 단순히 표면적인 해결책일 뿐이며 한정된 예산에 의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과 다양한 데이터 조작 및 시각화 기능을 가진 R을 이용하여 서울시 교통약자의 생활권과 생활 패턴을 파악하고 저상버스의 확장 우선 지역과 확장 배차시간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f 2016, the total traffic usage of handicapped people were 24.8%. Buses (25.6%) have the highest rate of travel, with the exception of "walking (33.5%)" as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se handicapped people. Therefor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expanded the low-floor bus, wh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선 연구들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편의 증진 정책을 제안한다. 데이터 분석 언어인 R을 사용한 데이터 분석기법으로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도출했으며 타 연구에서 분석할 수 없었던 특별교통수단에 대한 데이터까지 초점을 맞춰 분석했다.
  • 앞으로 서울시는 2017년까지 시내버스의 55%를 저상버스로 교체하겠다고 발표했으나 단순히 저상버스의 비율을 늘리는 것은 표면적인 해결일 뿐 근본적인 원인 해결이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과 다양한 데이터 조작 및 시각화 기능을 가진 R을 사용하여 서울시 교통약자의 생활권과 생활패턴을 파악하고 저상버스의 우선 확장 지역과 우선 배차 시간을 제안한다.
  • 사회적 약자인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 증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많은 법률과 계획들이 중앙정부를 비롯한 여러 단체들에서 제정, 수립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본적인 원인의 해결로 교통약자의 설치률 대비 이용만족도가 낮은 저상버스의 이용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통계분석과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언어 R을 사용하여 실제 교통약자의 생활권과 이동패턴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서울시의 저상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약자들의 주요 이동수단은? 현재 서울의 교통이용 인구대비 교통약자의 비율은 24.8%이며 이런 교통약자들의 주요 이동수단은 ‘도보 (33.5%)’를 제외하고 ‘버스(25.6%)’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때문에 서울시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 증진 하고자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2015년 기준 전체 시내버스의 30.
현재 서울의 교통이용 인구대비 교통약자의 비율은 어떠한가? 현재 서울의 교통이용 인구대비 교통약자의 비율은 24.8%이며 이런 교통약자들의 주요 이동수단은 ‘도보 (33.5%)’를 제외하고 ‘버스(25.
서울시에서 저상버스를 운행하는 노선의 데이터를 시계열 분석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알 수 있는 사실은? 시간대별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여 분석한 결과 07시~09시, 14시~17시에 저상버스 운행 노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장 보완되어야 할 시간대는 8시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Jaehoon Sul, Yeonsik Shin, Inkee Park (2004), Improvement Measures in the Welfare Transportation Services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and Elderly People, 

  2. Shinhae Lee, (2009), A Study on the Transportation Policy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Satisfaction Level 

  3. Doohee Nam, (2011), Design of Information System For Assisted Liv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Webcasting, Internet and Telecommunication VOL. 11 No. 2 

  4. Open data, Seoul Metropolitan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main/ 

  5. Open data, Seoul Open Data Plaza, http://data.seoul.go.kr/ 

  6. Minsoo Soe, (2014), R for Practical Data Analys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