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로부터 혈전용해물질의 확인 및 특성 연구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Compound from Cornus officinalis S. et Z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4, 2020년, pp.237 - 244  

김준호 (상지대학교 정밀화학신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수유 열수추출물의 혈전용해활성을 탐색하고, 유기용매로 분획화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1.36 plasmin units/mL의 강한 혈전용해활성을 확인하였다. Amberlite IRA-400, Sephadex LH-20 column, active charcoal column과 재결정으로 정제한 혈전용해화합물을 HPLC로 분석 비교한 결과, 표준물질인 malic acid와 같은 retention time (RT)을 나타내고, LC/MS/MS 분석의 Negative mode 측정 시 m/z 133에서 같은 peak를 나타내어 정제한 화합물이 분자량 134 Da인 malic acid 임을 확인하였다. 정제한 화합물은 0.69 plasmin units/mL의 혈전용해활성을 보이고, 14.62%의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6.42%의 항산화 효과와 17.28%의 항당뇨 효과를 나타냈다. 분리한 화합물은 섬유소원의 Aα chain, Bβ chain과 반응하지 않았지만 γ chain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수유에서 분리한 혈전용해화합물은 혈관계 질환의 치료제 개발과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우수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fibrinolytic compound from Cornus officinalis. Cornus officinalis. Hot water extract was fractionated in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Assays for fibrinolytic activity indicated that only the ethyl ace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혈전용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산수유를 이용하여 혈전용해제와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산수유 열수추출물을 유기 용매로분획화하고,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제 후 HPLC와 LC/MS 분석을 통해 동정한 혈전용해화합물의 혈전용해활성, 트롬빈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항당뇨 효과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수유는 무엇인가?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는 산수유(Corni fructus)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Cornus officinalis)의 열매로 온화하며 떫고 신맛이 나며 씨는 독성이 있어 제거한 후 말려서 사용한다. 산수유의 약리효과로는 항암효과(Kim et al.
산수유의 약리효과로는 무엇이 있는가?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는 산수유(Corni fructus)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Cornus officinalis)의 열매로 온화하며 떫고 신맛이 나며 씨는 독성이 있어 제거한 후 말려서 사용한다. 산수유의 약리효과로는 항암효과(Kim et al., 2004), 항산화 효과(Park et al., 2012), 혈전용해 효과(Oh and Kim, 2006), 항균효과(Lee et al., 2006), 항당뇨 효과(Kim, 2005), 혈액내 cholesterol 감소효과(Joo and Jang, 1989) 등이 보고 되었으며, 성분으로는 gall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ursolic acid와 morroniside, loganin, sweroside와 같은 iridoid 배당체 등이 보고 되었으며(Kim, 1999), 산수유 내 gall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에 대한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03).
산수유나무의 열매인 산수유는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가? , 2012), 혈전용해 효과(Oh and Kim, 2006), 항균효과(Lee et al., 2006), 항당뇨 효과(Kim, 2005), 혈액내 cholesterol 감소효과(Joo and Jang, 1989) 등이 보고 되었으며, 성분으로는 gall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ursolic acid와 morroniside, loganin, sweroside와 같은 iridoid 배당체 등이 보고 되었으며(Kim, 1999), 산수유 내 gall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에 대한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0. 

  2. Daka, M.D. and C.P. Semba. 1995. Thrombolytic therapy in venous occlusive disease. J. Vasc. Interv. Radiol. 6:(suppl) 73-77. 

  3. Doljak, B., M. Stegnar, U. Urleb, S. Kreft, A. Umek, M. Ciglaric, B. Strukelj and T. Popovic. 2001. Screening for selective thrombin inhibitors in mushrooms. Blood Coagul. Fibrinolysis 12:123-128. 

  4. Haverkate, F. and D.W. Traas. 1974. Dose-response curves in the fibrin plate assay. Fibrinolytic activity of protease. Thromb. Haemost. 32:356-65. 

  5. John, R.P., K.M. Nampoothiri and A. Pandey. 2008. L(+)-Lactic acid recovery from cassava bagasse based fermented medium using anion exchange resins. Braz. Arch. Boil. Technol. 51(6):1241-1248. 

  6. Joo, H.K. and D.J. Jang. 1989. Effects of shanshuyu(Cornus officinalis Sieb) tea and market of rat. Korean J. Dietary Culture 4:257-264 (in Korean). 

  7. Kim, B.H., K.W. Park, J.Y. Kim, I.Y. Jeong, G.H. Yang, Y.S. Cho, S.T. Yee and K.I. Seo.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arcinogenic compound from Corni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001-1007 (in Korean). 

  8. Kim, J.H. 2012.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s. J. Exp. Biomed. Sci. 18(1):35-41 (in Korean). 

  9. Kim, J.H. and H.S. Oh. 2010.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Areca catechu L. J. Exp. Biomed. Sci. 16(4):271-277 (in Korean). 

  10. Kim, O.K. 2005.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Oil Chemists' Soc. 22:157-167 (in Korean). 

  11. Kim, Y.D., H.K. Kim and K.J. Kim. 2003.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Cornus officia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85-789 (in Korean). 

  12. Kim, Y.H. 1999. Isolation of constituents from the fruits Cornus officinalis. Siebold 14:287-292. 

  13. Kim, Y.J., C.K. Kim and Y.J. Kwon. 1997.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Perillae seme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8-43 (in Korean). 

  14. Lee, S.O., S.M. Han, H.M. Kim, S.K. Jeung, J.Y. Choi and I.J. Kang. 2006. Chemical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orni fruc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7):891-896 (in Korean). 

  15. Oh, H.S. and J.H. Kim. 2006.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Codonopsis lanceolate, Cornus officinalis S. et Z, and their mixtures. J. Exp. Biomed. Sci. 12(4):393-398 (in Korean). 

  16. Oh, H.S. and J.H. Kim. 2007.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hot water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e and some medicinal materials, and their mixture. Korean J. Commuity Living Sci. 18: 407-415 (in Korean). 

  17. Oh, H.S. and J.H. Kim. 2008.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Crataegi fructus. J. Exp. Biomed. Sci. 14:249-255 (in Korean). 

  18. Oh, H.S. and S.H. Min. 2017.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ies Chungkukjang according to the addition stage of Cornus officinalis, heat treatment and salt concentrati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7(6):600-609 (in Korean). 

  19. Park, E.B., H.S. Kim, S.Y. Shin, I.A. Ji, J.H. Kim, S.G. Kim and K.T. Chung.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Cornus officianalis extracts obtained by four different extraction techniques. J. Life Sci. 22:1507-1514 (in Korean). 

  20. Salagami, H., M. Kobayashi, C.H. Chien, H. Kanegae and M. Kavase. 2007. Selective toxicity and type of cell death induced by various natural and synthetic compound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Vivo 21:311-320. 

  21. So, G.S., S.R. Lee, S.H. Kim, C.W. Ha, Y.N. Park, S.H. Jang, J.P. Bak, H.J. Koo and E.H. Sohn. 2019.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Stevia rebaudiana flower extract. Korean J. Plant Res. 32(3):220-227. 

  22. Sohn, H.Y., Y.S. Kwon, Y.S. Kim, H.Y. Kwon, G.S. Kwon, K.J. Kim, C.S. Kwon and K.H. Son. 2004. Screening of thrombin inhibitors from medicinal and wild plants. Kor. J. Pharmacogn. 35(1):52-61 (in Korean). 

  23. Watanabe, J., J. Kawabata, H. Kurihara and R. Niki.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pha-glucosidase inhibitors from Tochu-cha (Eucommia ulmoid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177-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