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6, 2020년, pp.59 - 69  

김수진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1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은 '철저히 준비 되지 않은 적용과 운영',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일방향 듣기', '편리함'이라는 4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학생들은 블렌디드 러닝에 대해 시·공간의 제약없는 반복학습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지만, 온라인 콘텐츠의 질적 수준, 시스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준비 등에 있어서 미흡함과 불만족스러움을 느끼고 있었다. 향후 간호학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적용을 위해 먼저 교과과정을 고려한 온·오프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설계를 기반으로 수준 높은 온라인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온라인 과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적, 행정적, 재정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활동을 가이드 해 줄 수 있는 온라인 지원체계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in which a focus group interview is applied to explore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blended learning. 21 students in the 4th grade of nursing department were divided into 4 groups to collect data through interviews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혼합학습인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은 대부분 e-learning과 관련된 것들로, ‘철저한 준비 없는 적용과 운영’,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일방향 듣기’, ‘편리함’의 4가지 주제와 10가지의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 또한 연구자의 방법적, 해석적, 절차적 오류를 줄이기 위해 질적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질적 연구 경험이 다수인 간호학 교수 1인의 점검을 받았다. 이를 통해 연구의 신빙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연구자가 특정 연구 주제에 대하여 그 집단의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를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소집단을 구성하는 연구방법이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렌디드 러닝의 의미는 무엇인가? 블렌디드 러닝은 학습효과의 향상을 위해 두가지 이상의 학습요소를 혼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는 서로 다른 학습방법의 통합, 학습도구의 통합 등으로 정의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러닝과 면대면 전통적 강의의 통합으로 정의된다[3]. 블렌디드 러닝은 강의실의 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혼합을 통해서 각 장점들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서 기존의 학습환경을 개선시키고, 교육의 효과성을 증진시킨다.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선정한 대상자는?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 21명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간호학생의 인식은 '철저히 준비 되지 않은 적용과 운영',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일방향 듣기', '편리함'이라는 4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는? 넓은 의미로는 서로 다른 학습방법의 통합, 학습도구의 통합 등으로 정의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러닝과 면대면 전통적 강의의 통합으로 정의된다[3]. 블렌디드 러닝은 강의실의 교육과 온라인 교육의 혼합을 통해서 각 장점들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서 기존의 학습환경을 개선시키고, 교육의 효과성을 증진시킨다. 그리고 대형 강의 보완, 반복학습 지원, 강의실 부족 해소, 해외 대학들과의 강의교류 및 학점교류 등에 용이 하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E. Lee. (2016). A Survey on T&I Trainers' Perspectives on Online & Blended Teaching and Learning. The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 17(1), 81-106. 

  2. H. L. Kwon, E. K. Moon & I. W. Park. (2015).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1(3), 333-359. DOI : 10.15833/KAFEIAM.21.3.333 

  3. Y. S. Kim. (2015). Analysis of Student Satisfaction Survey on Computer Practice Subject by Applying Blend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3), 372-284. DOI : 10.14352/jkaie.2015.19.3.373 

  4. D. I. Kim., H. J. Lee & J. Y. Son. (2005). Practical Solutions for Establishing Blended e-Learning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6(4), 97-123. 

  5. J. Y. Han & E. H. Lee. (2011). Learner's percep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e-learning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3(6), 69-76. 

  6. N. Y. Kim. (2016). Effects of Online Blended Learning-based Nursing Diagnosis Course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5), 2843-2855. 

  7. S. M. Kim. (2017).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Approac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330-338. DOI : 10.5392/JKCA.2017.17.12.330 

  8. J. Y. Han. (2013).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e-Learning Strategies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Blended e-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16-23. DOI : 10.5977/jkasne.2013.19.1.16 

  9. H. J. Lee & S. H. Lee. (2007). An investigation of professors' needs to activate blended e-learning system in a conven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4), 77-102. 

  10. E. H. Ji. (2019).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ing education in the technical and home economics class : focus group interview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cucation, Seoul. 

  11. B. N. Lim & J. Lee. (2007). Current Status of e-Learning Contents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2), 277-307. 

  12. B. N. Lim, J. H. Leem & I. S. Jung. (2003). Current status of cyber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quality control: the year of 2002.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3), 541-569. 

  13. D. H. Kim & W. J. Choi. (2003). The Development & Evaluation Research of Leadership Training Program Through Blend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9(4), 147-176. 

  14. J. H. Leem. (2007). Effects of Blending Type of Online-Offline and Reflective Activity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s in Higher Education Course Based on Blended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4), 49-76. 

  15. S. J. Kim. (2019). A Study o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411-419. DOI : 10.15207/JKCS.2019.10.7.411. 

  16. S. N. Lee.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15(3), 113-131. 

  17.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15176 

  18. Y. H. Kee., & H. K. Rho. (2005). A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course and on-line course in a university class. Korea Lifelong Education, 1(1), 63-79. 

  19. E. J. Lm. (2009).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1(1), 21-33. DOI : 10.24985/kjss.2009.20.4.8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