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단검사분야의 임상병리사 인력산정에 관한 연구
Calculation of Human Resources for Medical Technologist in Diagnostic Testing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2 no.2, 2020년, pp.158 - 163  

양병선 (진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임용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윤식 (동강대학교 임상병리과) ,  오연숙 (충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배도희 (경상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최세묵 (진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대가치점수제도의 운영 및 개정연구의 합리적인 개선방안과 의료기사 업무 행위의 근거를 도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7개 기관의 규모를 분석한 결과, 상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평균 5명, 임상병리사는 평균 53명으로 전문의 1명당 10.6명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영역점수 평균은 18점, 기관별 합계점수의 평균은 78점이었다. 등급 및 가산율(%)은 2~3등급과 질가산율은 2~3%으로 큰 편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병리 검사 및 생리기능검사를 제외한 건강보험청구 평균 진단검사건수는 9,618,062건에 상대가치점수 총합의 5%는 4,378,146점이었다. 자료포락분석(DEA)분석결과 임상병리사의 적정인력은 상대가치 점수 49,974점당 1명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임상병리사의 적정인력은 상대가치 점수 총합 5만점당 1명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며, 인력의 생산성 제고 및 보건 의료 자원의 균형 배분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and presents reasonabl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operation and revision of the relative value scoring system, and the basis for performance of a medical technologist. Seven hospital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nd included 5 resident laboratory medicine specialists and 53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2003년부터 시작된 상대가치점수 개발 연구의 제약 점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연구를 통해 상대가치점수제도의 운영 및 개정연구의 합리적인 개선방안과 의료기사 업무 행위의 근거를 도출하여 상대가치점수 구조 개편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상대가치점수와 임상병리사 행위의 인과관계를 제시하고 임상병리사의 질관리 행위에 대한 상대가치점수 가산율및 인력산정을 위한 표준안을 제시하여 상대가치 근거자료 검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보건 의료인력의 생산성 제고 및 자원의 균형 배분을 위한 상대가치점수 가산율 및 인력산정을 위한 표준안을 제시하여 상대가치 근거자료 검증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산함수 접근법이란 무엇인가? 적정소요 인력을 산정하는 다양한 방법 가운데 실증적 방법 으로 널리 활용되는 생산함수 접근법이란 투입 요소의 적정 배합을 통해서 동일한 투입량으로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의료 서비 스를 얻을 수 있는가 또는 보다 적은 투입량으로 동일한 양의 의료서비스를 어떻게 생산할 수 있는가 라는 문제에 대한 해결점을 찾는 경제학적 접근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각 분야별 인력의 생산성을 파악함으로써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의료 인력을 재편성하거나 배출되는 의료 인력의 전공별 적정 배치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의 효율성 평가는 어떻게 하나?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의 효율성 평가는 경제의 기본원 칙에서 출발한다. 투입된 자본에 비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하였는가 또는 동일한 산출물을 얻기 위하여 비용을 얼마만큼 최소화하였는가에 의해 평가되어진다[3].
국민건강보험제도을 처음 도입하고 정착시킬 때 발생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국민건강보험제도를 도입하고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다양한 수가체계와 항목 간의 수가 불균형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1994년 의료보장개혁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미국의 Medicare 적용 상대가치점수체계 즉, 자원기준 의료행위 상대가치(Resource-Based Relative Value Scale, RBRVS)를 도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siao WC, Braun P, Becker ER, Thomas SR. The resource based relative value scale.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physician payment system. JAMA. 1987;258:799-802. https://doi.org/10.1001/jama.1987.03400060075033 

  2. Kim HJ, Shon MS, Cho WH, Park EC, Cheon BY, Lee SH, et al. An overview of Korean resource based relative scale. Korean J Health Policy Adm. 1995;5:202-212. 

  3. Banker, RD, Charnes A. Cooper WW. Some models for the estimation of technical and scale 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 Sci. 1984;30:1031-114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4.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Daejeon University Institute of Medical Management.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proper needs of military medical assistant personnel. Seoul: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1 Aug. p1-124. Report No. NONB1201426590. 

  5. Choi YC, Hong JH. Applying DEA technique to estimation of the optimal number of traffic policemen in police station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010;14:355-376. https://doi.org/10.18397/kcgr.2010.14.2.355 

  6. Park BS, Lee YK, Kim YS. Efficiency evaluation of general hospitals using DEA. Jour. of KoCon.a. 2009;9:299-312. https://doi.org/10.5392/JKCA.2009.9.4.299 

  7. Reinhardt UA. Production function for physician services. Rev Econ Stat. 1972;54:55-66. https://doi.org/10.2307/1927495 

  8. Evans RG, Parish EMA, Sully F. Medical productivity, scale effects and demand generation. Can J Econ. 1973;6:376-393. https://doi.org/10.2307/133969 

  9. Ham US. Economies of scale and scope in hospital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8;18:21-42. 

  10. Kim YH, Cho WH, An DH, Park SW, Jung WJ. Medical care environment and the productivity change in Korean tertiary hospitals. Korean J Hosp Manag. 2005;10:5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