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 K 광역시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Depression Factor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sidents : Focusing on K-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319 - 329  

이형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종선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부정적인 정신건강상의 문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고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 1,920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분석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절반이 넘는 51.1%가 우울 증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가구주 성별, 연령, 일인가구, 사회보장급여 수급이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연령제곱과 경제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사회공동체 변인 중에는 이웃에 대한 생각과 이웃참여의사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건강상태 변인 중 신체적 건강 어려움과 정신적 건강 어려움이 우울에 정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개입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nk that affects depression, a negative mental health problem for permanent rented apartment tenants, and to provide policy and practical support for reducing depression at the community level. To this end, 1,920 household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전수 조사를 통해 인구학적 특성, 생활공동체 요인, 신체적·정신적건강상태 및 약물복용 어려움 등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전수 조사를 통해 인구학적 특성, 생활공동체 요인, 신체적·정신적건강상태 및 약물복용 어려움 등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K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1인가구 비율이 2012년 40%에서 2017년 65% 지속적으로 증가[19]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일인가구와 다인 가구 차이에 따른 우울 영향요인도 주요한 분석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부정적인 정신건강상의 문제인 우울정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고리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 내 전수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 프로빗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1과 0으로 이루어진 질적변수일 경우 표준정규분포 함수를 우도함수로 사용하여 우도를 최대화하는 방법으로 모수를 추정한다(Maximum log-likelihood estimation; MLE). 본 연구에서는 우울여부를 4회 실시한 결과로 영향요인을 살펴볼 것이다. 프로빗 추정량은 각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 유무와 영향의 방향에 대한 정보만 제시한다.
  • 연구에 사용할 자료는 K광역시 A구청에서 관내 영구 임대아파트 입주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한 「영구임대아파트 생활실태조사」자료이다. 본 조사는 영구아파트 주민들의 생활욕구와 지원이 부족한 영역을 찾아 이를 적극 구 행정에 반영하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책임자가 연구 및 조사계획, 설문교육, 공청회 발표 등의 진행을 맡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부정적인 정신건강상의 문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고리를 파악하기 위한 학문적인 기초자료를 생성하고, 이러한 경험적 결과를 통해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 도입에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삶의 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1인가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는 점은 본 연구가 지니는 차별성이라 하겠다.
  • 또한 Table 6에서 사회보장급여 수급여부와 생활공동체 참여의사의 우울에 대한 영향이 직접효과는 없고 건강상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만 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사회보장급여 수급여부와 생활공동체 참여의사에 따라 우울확률 궤적을 추적해 보았다. 이때 연속형 변수인 생활공동체는 중앙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Table 6에 제시된 프로빗 추정결과는 우울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 유무와 영향의 방향에 관한 정보만 제시하므로 선형 방정식과 같은 한계효과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사후분석으로 델타 계산법(delta method)을 사용하여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우울에 대한 한계효과(APE)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Y. Kim & C. I. Park. (2012).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 Satisfaction in Public Rental Housing. SOCIAL SCIENCE RESEARCH, 28(2), 79-99.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880857 

  2. J. Y. Park. (2018). A Study on the Living Experience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sidents. Doctoral dissertation. Dong Eui University, Busan. 

  3. Cutler, M. & Glaeser, L. (1997). Are Ghettos good or bad?. Q. J. Econ, 112(3), 827-872. https://www.jstor.org/stable/2951257 

  4. Charles, Z. (2003). The Dynamics of Racial Residential Segregation. Annu. Rev. Social, 29, 167-207. DOI : 10.1146/annurev.soc.29.010202.100002 

  5. S. R. Lee. (2012). The Effects of the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on the Low Income Classes' Mental Health.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8(4), 277-302.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052157 

  6. S. K. Ha & J. N. Seo. (2006). Public Rental Housing and Social Exclusion. Housing Studies Review, 14(3), 159-181. UCI: G704-000825.2006.14.3.003 

  7. D. B. Sim. (2018). The Effects of Concentrated poverty engendered Residential Segregation on Depression-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8. Y. A. Choe. (2003). A Survey on the Depression, Self-esteem and Health Behavior of the Aged.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1, 27-47.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29445 

  9. S. J. Han & H. J. Jun. (2018). Mental Health among Public and Private Housing Resident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6(2), 313-341. UCI: I410-ECN-0102-2018-300-003975160 

  10. Goldsmith, F. et. al. (1998).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Mental Illnes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1, 211-225. DOI : 10.1016/S0149-7189(98)00012-3 

  11. Boardman, J. & Robert, S. (2000). Neighborhood Socio economic Status and Self-Efficacy. Sociological Perspectives, 43(1), 117-136. DOI : 10.2307/1389785 

  12. S. O. Kang. (2011). A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7, 23-44. http://db.koreascholar.com.libproxy.kwu.ac.kr/article.aspx?code272727 

  13. H. J. Lee. (2013). Longitudinal changes in depression in older adults: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1, 291-318. DOI : 10.21194/kjgsw..61.201309.291 

  14. Y. U. Cho & C. K. Han.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empt among Elderly Man Living Alon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4), 295-320. DOI : 10.15709/hswr.2014.34.4.295 

  15. Mullins, L. C. & Dugan, E. (1990).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family and friendship relations, on residents' loneliness in congregate housing. Gerontologist, 30(3), 377-384. DOI: 10.1093/geront/30.3.377 

  16. B. H. Lee. (2006).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of permanent resident residents: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M. Y. Choi. (2008).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neighborhoods and social capital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8, 25-46. UCI : G704-002139.2008.18..004 

  18. H. A. Kang. (2010). Poverty, Risky Environments of Disadvantageous Neighborhoods,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1(3), 327-348. DOI : 10.16999/kasws.2010.41.3.327 

  19. C. H. Song. (2017. 9. 15). Gwangju Permanent Rental Apartment surviving single-person households...40 $\rightarrow$ 65% in 5 years. News of goodchang. 

  20. Kohout, F. J., Berkman, L. F., Evans, D. A. & Cornoni-Huntley, J. (1993).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depression symptoms index. Journal of aging and health, 5(2), 179-193. DOI : 10.1177/089826439300500202 

  21.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DOI : 10.1177/014662167700100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