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교육 대상 아동 가족지원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mily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367 - 374  

김기룡 (중부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 아동 부모의 가족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봄으로써 가족지원 서비스의 우선순위 설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국의 특수교육 대상 아동 부모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9개의 가족지원 서비스 항목 모두 중요도는 높게 평정되었으나 실행도는 낮게 평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 결과 신체적·물질적 안녕 지원 및 장애 관련 지원 관련 가족지원 서비스는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는 낮은 서비스로 평가되었고, 가족 지원 서비스에 있어 우선순위로 제시되어야 할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 상호작용 지원 또는 정서적 안녕 지원 영역에 해당되는 가족지원 서비스는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어 과잉 노력을 지양해야 하는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대상 아동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을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ioritiza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s by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amily support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20 parents of chi...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아동 부모가 인식하는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가족지원 서비스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대상 아동 부모 220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수준을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 J. Seo. (2004). The Study on the Current Resource Condition and Service Needs of Social Support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EBD.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3(2), 57-82. 

  2. H. W. Lee, W. Y. Kang & S. B. Lee. (1999). A Characteristic Relationships Study of 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of Parent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2(1), 99-117. 

  3.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Manual Pediatric.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4. Turnbull, A. P. & Turnbull, III, H. R. (1997).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A special pertnership (3rd ed.). CB: OH Merrill. 

  5. E. R. Baek, K. R. Kim, Y. J. Yoo, M. H. Lee & B. C. Choi. (2010). Family Suppor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Paju: Yangseowon. 

  6. B. I. Lee. (2019).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s Related to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Special Needs-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in Korea(2007-2018) and USA(2004-2018) -.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9(2), 1-33. 

  7. K. R. Kim, M. H. Lee & K. S. Kang. (2016). Current Status of Use and Satisfaction with Family Support Service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5(4), 205-229. 

  8. National Council of the Family Support Cent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2019). Annual Report. Unpublished Document. 

  9. B. H. Lee & S. H. Lee. (2018). The Role and Operation of Municipal and County Support Center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Persons. Health & Welfare, 20(4), 7-27. DOI : 10.23948/kshw.2018.12.20.4.7 

  10. Y. R. Lee & N. J. Kim. (2016). A study on the factors of convergent caring competency for promotion of caregivers' wellness of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479-487. DOI : 10.14400/JDC.2016.14.2.479 

  11. S. S. Kim. (2019).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 for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2), 155-164. DOI : 10.22156/CS4SMB.2019.9.2.155 

  12. K. S. Kang. (2016). Study On The Difficult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ognition Of The Quality Of Life And Needs For The Servi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Support Services. The Journal of Inculsive Education, 11(2), 217-247. DOI : 10.26592/ksie.2016.11.2.217 

  13. Y. S. Eo, C. Y. Yoon & Y. H. Kim. (2009). Needs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ral Disorders, 25(2), 197-214. 

  14. S. C. Kim & S. S. Shim. (2011). A Study on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nd Needs of Family Support Services along Disabled Child's Developmental Cours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4, 77-108. 

  15. Minstery of Welfare and Health. (2020). The Guide Book of the Welfare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ejong: the author. 

  16. Hoffan, L., Marquis, J., Poston, D., Summers, A. & Turnbull, P. (2006). Assessing family outcomes: Psychometric evaluation of Beach Center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Journal of Maarriage and Family, 6(4), 1069-1083. DOI: 10.1111/j.1741-3737.2006.00314.x 

  17. B. C. Choi, Y. J. Yoo, S. K. Lim & Y. K. Cho. (2014). Survey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es and the Family. Seoul: Korean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18. J. H. Kim, K. R. Kim & J. B. Kang. (2015). A Study on Supporting Status and Improvement of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ral Disorders, 31(2), 251-281. 

  19. K. R. Kim & S. S. Kim. (2015). Human Rights Viol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Research, 14(2), 57-79. 

  20. Ministry of Education. (2019). Holding the 17th Ministerial Meeting on Social Relations to Realize the 17th Inclusive Country Strengthening Support for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Considering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Needs, Press release (2019. 12. 13.). http://www.moe.go.kr 

  21. J. K. Seo, C. Jae & Y. Y. Choi. (2016). The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 Protection and Advocacy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Korea: Focused on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relevant Discussion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2, 141-165. DOI : 10.22779/kadw.2016.32.32.1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