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각협력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산림부문 협력 전략
Cooperation Strategies Using Triangular Cooperation for Central Asia in the Forest Sector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2, 2020년, pp.223 - 230  

최은호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임수정 (전북대학교 산림환경과학과) ,  김은희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ODA 사업 규모 확대와 다변화 전략에 따라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중앙아시아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산림분야의 경우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녹화경험에 관심을 표하며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 특히 중앙아시아가 직면한 환경이슈인 아랄해 고갈과 광범위한 황폐화의 해결은 지역협력이 전제되어야 하며 다자협력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기존 양자협력의 한계, 특히 남남협력의 한계를 신흥 공여국이나 다자협력기구가 참여하여 보완하면서 삼각협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데, 삼각협력의 기본 개념을 적용하는 데 있어 중앙아시아는 매우 적합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우리나라는 신흥공여국인 카자흐스탄, 제2차 중점협력국인 우즈베키스탄과의 우호적인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이들 국가와 함께 상호보완적인 지역협력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삼각협력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의 지역협력 전략을 다음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주민 정주권 보장을 위한 피복 및 방풍림 조성사업, 둘째, 주민소득 증진사업, 마지막으로 아랄해 황폐지 확대 방지를 위한 협력 사업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ntral Asia has great growth potential for cooperation as the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gram expands and diversifies. In the case of the forest sector, Korea's successful greening experience has attracted interest from countries in Central Asia. In particular, the depletion of...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는 신흥공여국인 카자흐스탄, 중점협력국인 우즈베키스탄과의 우호적인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협력 파트너인 주축국과 수원국을 입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인 삼각협력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의 구체적인 협력전략을 제시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산림부문 협력 수요를 분석하고 지역 내 환경부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삼각협력을 활용한 3개 사업을 제안하였다. 각각의 사업은 삼각협력의 기본 개념을 재해석하여 파트너인 주축국과 수원국을 명확하게 설정하여 향후 우리나라와 중앙아시아의 협력방향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축국과 최종 수원국의 선정, 협력 가능분야와 지원방식을 분석하여 삼각협력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축국 선정 시에는 한국과 주축국 간 양자 MOU 체결 등 제도적 협력기반을 보유하였는지의 여부, 한국과 주축국 간의 사업경험이 있는지 여부, 신흥 공여국으로서의 사회ㆍ경제ㆍ기술적 입지(재원분담 능력, 기술전파 역량 등), 주축국과 최종 수원국 간의 연대의식, 지속적인 교류 및 협력 가능성, 사용언어와 지리적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자협력 체계를 활용한 지역협력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불어 삼각협력 사업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 사업완료 후그린벨트의 길이는 약 70 ㎞, 너비는 약 200∼1,000 m로조성된다. 아랄해 인근 건조지의 염사 제거를 통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된 토양기반을 마련하여 토지생산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FAS 관계자는 프로젝트의 사업타당성 조사가 완료된 상태이며 아랄해 복원에관심 있는 다른 공여기관과 국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언급하였다(Kang et al.
  • , 2017). 우리나라 역시 단기의 소규모 프로젝트보다는 지속성과 규모의 효율성을바탕으로 아랄해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 중앙아시아 각 국가의 현안이 다르지만 중앙아시아 황폐지 중립이라는 커다란 목표 하위에서 각 국가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사업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경우 황폐지 방지 사업에 직접적으로 참여시키기 보다는 국가 현안을 우선 고려하고, 사업의이행이 곧 중앙아시아 황폐지 중립으로 귀결될 수 있는 수원림 조성사업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DA에서 국제협력의 특징은? 모기지(subprime mortage) 사태로 시작된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무상원조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가 더욱 가속화되었다. 국제협력은 각 공여국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요인에 따라 수원국가의 지속적 무상원조의 흐름에 큰 영향을 준다(Ko, 2009). 이에 국제사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또한 ODA 사업의 양적인 성장보다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사업 효과성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의 시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는 1987년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이 조성되고 양허성 차관을 개발도상국에 제공하면서 시작되었다. 2010년 경제개발협력기구의 개발원조위원회(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DAC)에 가입하면서 한국의 ODA 사업은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아랄해 고갈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 어떻게 해결해야하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아시아 5개국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바는 아랄해 문제는 묵과할 수 없는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이며 아랄해 주변의 광범위한 황폐화는 다수의 소규모 프로젝트 보다는 규모가 큰 한 개의 프로그램 안에서 효과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소규모 프로젝트만으로 중앙아시아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규모의 효율성’을 누릴 수 있도록 협력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ltenburg, T. and Jochen, W. 2007. Trilater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New Donors". Briefing Paper 5. German Development Institute. Bonn, Germany. 

  2. An, J.A., Chang, H.N., Kim, J.S., Han, S.H. and Son, Y.H. 2018. Strategies and Plan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Tajikistan in the Forest Sector.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3): 263-271. 

  3. Choi, E.H., Lim, S.J. and Park, H. 2018. Demands for Forest Development in Kyrgyzstan and Tajikista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ategies of Rep.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7(3): 294-304. 

  4. Choi, E.H., Lim, S.J., Park, H., Lee, H.S. and Kim, J.H. 2017. Demand for development of forest sector in Central Asia and Korea's Cooperation Strateg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Seoul, Korea. 

  5.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2012. Transition Indicators data. http://www.ebrd.com/what-we-do/economic-research-and-data/data/forecasts-macro-data-transition-indicaotrs.html 

  6. Jeong, H. 2014. Studies on Strategic Plans for Introducing Triangular Cooperation to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System.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RC). Seoul, Korea. 

  7. Jeong, H. and Yeom, Y.S. 2015.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s ODA Using Triangular Cooperation,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OPC). Seoul, Korea. 

  8. Kang, H.S., Bang, M., Park, J.H., Yegezhanov, K. and Yelemessov, M. 2017. International Workshop on Land Degradati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Central Asia. Workshop Proceedings. Northeast Asian Forest Forum (NEAFF). Kyzylorda, Kazakhstan. 

  9. Kim, T.E. 2009. Successful Case and Implication of South-South and Triangular Development: Focusing on Workshop of Aid Effectiveness of UNDP South-South and Triangular Development. Jou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009(1): 153-164. 

  10. Ko, M.R. 2009. Implication on trend and policy of south- south and triangular development. Jou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009(1): 143-152. 

  11. Mehta, P.S. and Nanda, N. 2005. Trilateral Development Cooperation: An Emerging Trend. Briefing Paper 1. Centre for International Trade, Economics and Environment. Jaipur, India. 

  12. ODA Korea. 2015. The 2nd general plan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