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색포도상구균을 포함한 식중독 미생물들에 대한 홍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Red Ginseng Against Major Food Poisoning Microorganisms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5 no.4, 2020년, pp.382 - 390  

곽이성 (한국인삼공사 R&D본부) ,  정명균 (한국인삼공사 R&D본부) ,  장경화 (한국인삼공사 R&D본부) ,  한민우 (한국인삼공사 R&D본부) ,  유병일 (한국인삼공사 R&D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 aureus, E. coli, C. albicans, A. niger 등 4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agar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홍삼(Panax ginseng C.A.Meyer)으로 부터 조제한 홍삼농축액, 조사포닌, 비수용성 분획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홍삼농축액 및 비수용성분획은 E. coli, C. albicans, A. niger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조사포닌도 고농도인 30%를 제외한 모든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 aureus는 Gram positive 세균으로서 화농성 식중독의 원인균이면서 동시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데, 홍삼농축액은 30% 농도에서 이 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조사포닌도 7.5%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홍삼으로부터 조제한 비수용성 분획도 10~200 mg/mL 농도로 실험한 결과 모든 분획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사포닌 및 홍삼농축액의 미생물 생육저해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미리 S. aureus를 접종한 0.85% 생리식염수에 농축액 및 조사포닌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35℃, 12시간 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홍삼농축액은 10% 이상의 농도에서, 조사포닌은 2% 이상의 농도에서 각각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농도에서도 생균수는 완전히 사멸되지 않아서 홍삼농축액 및 조사포닌의 S. aureus에 대한 생육억제작용은 살균작용이 아닌 정균 작용으로 추정되었다. 사포닌의 항균활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순수 분리된 ginsenoside 6종(PT saponin, PD saponin, ginsenoside-Rb2,-Rc,-Rd,-Rf,-Rg2)의 항균활성을 50~200 ㎍/mL의 농도에서 조사한 결과 모두 항균효과가 관찰되지 않아서 ginsenoside는 S. aureus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사포닌을 제외한 비사포닌 성분인 비수용성분획에 대해 상기의 4종 병원성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E. coli, C. albicans, A. niger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S. aureus에 대해서만 선택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 발현 비수용성분획 중 15% methanol분획(MF-1)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를 조사한 결과 0.625 mg/mL 이었다. MF-1 분획을 질량분석기(HPLC-MS)로 조사한 결과 주요한 활성성분은 분자량 179.55 및 187.55를 가지는 물질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gainst several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determined by agar diffusion metho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생약제제 등 천연물로부터 이 균에 대한 항균성 연구는 미미하였고2,3,13), 인삼사포닌을 포함한 인삼 및 홍삼성분과 미생물 생육과의 관련성 연구도 매우 미비한 수준이었다7,14,15). 본 실험에서는 식품부패성 미생물 평가 균주로 알려진 4종의 미생물에 대해 홍삼농축액, 홍삼사포닌, 홍삼 비수용 성분의 항균활성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추후 홍삼제품의 미생물 증식억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Total chromatogram patterns was objected by UPL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법적으로 고시된 홍삼의 여러 가지 기능성은 무엇인가? A. Meyer)은 그 약효가 예로부터 잘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 홍삼은 면역증진, 피로해소, 혈행개선, 기억력개선, 항산화기능, 여성갱년기증상 개선 등 여러가지 기능성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법적으로 고시된 바 있다5). 또한, 홍삼은 사포닌 이외에도 다당체, AFG(arginylfructosyl-glucose), 폴리페놀, 폴리아세틸렌, 말톨 등 다양한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다6,7).
Staphylococcus aureus로 인한 식중독 특징은 무엇인가? aureus는 Salmonella, Vibrio 등과 더불어 식중독 발생빈도가 높고, 식중독발병률은 2005년 이후로 약 13%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9) 지속적으로 식중독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8,10). 이 균은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 비강, 구강, 쓰레기, 하수, 분변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식품을 오염시킬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한번 오염되면 증식하여 독소를 생산하므로 가열 처리하여도 식중독이 예방되지 않는다. 한편 S.
생약자원중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품목은 무엇인가? 또한, 2,000년 이후 건강기능식품 및 일반 식품에서 생약제제에 대한 관심증가로 식품공전이 개정되면서 많은 생약제제들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허가되는 추세이다2-4). 생약자원 중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품목은 인삼, 당귀, 계피 등인데 이들 중 인삼은 그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으로 인해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 및 일본 등에서도 생약자원(herb) 중 그 사용량이 10위 안에 포함될 정도로 중요한 생약제제로 취급되고 있다2). 이러한 생약자원은 저장 및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한데 만약 부패성 미생물이 오염되면 이들이 유해한 물질을 생성하여 안전성 문제를 야기할 수 도 있으므로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wak, Y.S., Yang, J.W., Lee, K.S., Screening herb drug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 J. Food Hygiene, 8(3), 141-145 (1993). 

  2. Lee, S.Y., Use and perspective views of oriental herbs in food industry. Food Ind. Nutr., 5(3), 21-26 (2000). 

  3. Lee, J.M., Lee S.H., Kim H.M.,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inal food. Food Ind. Nutr., 5(1), 50-56 (2000). 

  4. Korea Food Industry Association, 2016. Korea Food Standard Codex, Kyungsungmunhwa Press, Seoul, Korea, pp. 325-330. 

  5. Korea Food Drug and Administration, 2012. Functional Food Codex. Seoul, Korea. pp. 50-53. 

  6. In, G., Ahn, N.G., Bae, B.S., Lee M.W., Park, H.W., Jang, K.H., Cho B.G., Han, C.K., Park, C.K., Kwak, Y.S., In situ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induced by steaming between fresh ginseng, steamed ginseng and red ginseng. J. Ginseng Res., 41, 361-369 (2017). 

  7. Park, E.H., Jeong G.Y., Distribution of enterotoxin type 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stool samples. Rep. Busan inst. Health & Environ., 14, 28-43 (2004).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valence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antimicrobial resistant organisms in communit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mong the elderly in long-term-care facilities. Final Report (2003). 

  9. Hyun, S.H., Kim, E.S., Lee, S.M., Kyung, J.S., Lee, S.M., Lee, J.W., Kim, M.R., Hong, J.T., Kim, Y.S., Comparative study on immune-enhancing effects of red ginseng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1), 1665-1673 (2014). 

  10. Lee, J.Y., Wang, H.J., Shin, D.B., Cho, Y.S., Antibiotic resistance and bacterial film formation by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1), 96-104 (2013). 

  11. Kim, M.R., Woo, S.E., Shin, S.O., Hong, S.M., Yang, S.Y.,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atophic dermatitis. J. Soc. Cosmet. Sci., Korea, 32(2), 93-97 (2006). 

  12. Kim, A.N., Cho, J.I., Son, N.R., Choi, W.S., Yoon, S.H., Shu, S.H., Kwak, H.S., Joo, I.S.,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describing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pyeonyuk marketed. J. Food Hyg. Saf., 32(3), 206-210 (2017). 

  13. Park, Y.O., Lim, H.S.,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Sasa borealis) leaves fraction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2), 1745-1752 (2010). 

  14. Lee, S.M, Bae B.S., Park, H.W., Ahn, N.G., Cho, B.G., Cho, Y.L., Kwak, Y.S., Characteriza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Meyer): history, preparation method and chemical composition. J. Ginseng Res., 39, 384-391 (2015). 

  15. Kwak, Y.S., Lee, J.T., Yeo, W.H., An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and inhibition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its growth. J. Food Hyg. Saf., 17(1), 26-30 (2002). 

  16. Kim, S.K., Kwak, Y.S., Kim, S.W., Hwang, S.Y., Ko, Y.S., Yoo, C.M., Improve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 J. Ginseng Res., 22(3), 155-160 (1998). 

  17. Beach, F.W., Davenport, R.R., Methods in Microbiology. Vol. 4, Academic Press London and New York, pp. 153 (1971). 

  18. Nam, K.Y., 1996. The latest Korean ginseng (Component and Efficacy). The Korean ginseng research institute, Chunil Publishing Company, Daejeon, Korea, pp. 25-31. 

  19. Ko, M.S., Yang, J.B.,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5, 568-575 (2008). 

  20. Kang, Y.H., 2014. Life Science Dictionary, Yeocho Press, Seoul, Korea, pp.150. 

  21. Park, C.K., Kwak, Y.S., Hong, S.K, Lee, H.S., Hwang, M.S., Won, J.Y., Han, G.H., Inhibitor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growth of Citrobact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J. Ginseng Res., 32(3), 270-274 (2008). 

  22. Ha, T.M., Jeon, D.Y., Im, H.C., Yoon, Y.H., Shin, M.Y., Yoon, K.B., Kim, J.B.,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against Vibrio vulnificus. J. Food Hyg. Saf., 32(2), 163-169 (2017). 

  23. Bae, E.A., Han, M.J., Baek, N.I., Kim, D.H., In vitro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panaxatriol isolated from ginseng. Arch. Pharm Res., 24(4), 297-299 (2001). 

  24. Matsunaga, H., Kanano, M., Yamamoto, H., Fujito, H., Mori, M., Takata, K., Studies on the panaxytriol of Panax ginseng C.A. Meyer, isolation, determination and antitumor activity. Chem. Pharm. Bull., 37(5), 1279-12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