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한 구상나무 피해실태 및 가해 의심종 구명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Damaged Korean Fir(Abies koreana) Caused by Rodents and Identifying Suspected Species in Seseokpyeongjeon Area of Jiri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3, 2020년, pp.198 - 206  

박홍철 (국립공원연구원) ,  김혜리 (국립공원연구원) ,  김지영 (국립공원연구원) ,  김현호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 ,  허덕경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 ,  이호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한 수목피해실태를 조사하고, 피해목 주변에서 확인된 설치류 배설물 분석을 통하여 가해 의심종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해목 조사는 대상지 내 탐방로를 중심으로 접근과 육안관찰이 가능한 지역에 한해 수종에 관계없이 실시하였으며, 가해 의심종 확인을 위해 피해목 주변 설치류 배설물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 Cyt-b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설치류에 의한 피해목은 총 52개체로 모두 구상나무로 확인되었으며, 구상나무가 높은 밀도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곳에서 집중되어 있었다. 수고 1.5m 이상 구상나무가 40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39개체는 피해 입은 가지부만 고사한 것으로 나타나 수목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고 1.5m 미만 구상나무는 12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7개체는 완전히 고사한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어린 구상나무가 피해를 입을 경우 고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설물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결과 구상나무를 가해한 종은 대륙밭쥐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mage caused by rodents in the area around Seseokpyeongjeon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identify suspected perpetrating species by analyzing rodent excrement found near the damaged trees. Damaged trees were surveyed regardless of species of tre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 조사된 피해목(구상나무)의 이빨자국[Figure 2]와 대륙밭쥐(2018년 9월 25일, 속리산국립공원에서 수집된 사체)의 이빨크기[Figure 6]이 유사한 크기인 점도 보조적 판단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단, 대륙밭쥐가 구상나무를 갉아먹는 모습을 직접 관찰한 것이 아닌 피해목 주변 배설물 분석을 통해 확인된 종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가해 의심종으로 표현하였다. 가해 의심종으로 추정되는 대륙밭쥐는 등줄쥐(Apodeums agrarius),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ums Peninsulae)와 함께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3대 우점 설치류로 알려져 있으며(Lee et al.
  • 최초로 피해수목이 확인된 시기는 2018년 봄이며, 같은 해 9월 피해목 전수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이듬해인 2019년 4월 추가 조사를 수행하여, 추가 가해 유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해목의 피해부위에 남아있는 이빨자국[Figure 2]으로 볼 때 중·대형 동물이 아닌 소형 설치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해목 주변에서 확인된 배설물 역시 설치류의 것으로 확인 되었다.
  • 그러나 피해목의 종류와 개체수, 피해범위, 가해 설치류에 대한 종 정보 등 파악되지 않은 정보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 한 수목피해 실태를 전수조사하고, 피해목 주변에서 확인된 설 치류 배설물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가해 의심종을 확인함으로 써, 향후 아고산대에 위치한 구상나무군락 보호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와 사례연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상나무는 왜 중요한가? , 2016). 특히 구상나무는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멸종위기등급(EN: Endangered)으로 분류(Kim et al., 2011)하고 있어, 한반도 내 구상나무개체군 유지와 보전의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Binkley et al., 1994; Kong, 1999; Shin et al.
구상나무는 주로 어디에서 자생하는가? 구상나무는 중생대 백악기 시대에 아시아를 중심으로 출현 (Kong, 2006)하였으며,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속리산, 금원산, 영축산, 백운산 그리고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한반도 고유종 이다. 구상나무를 포함한 우리나라 아고산대 상록침엽수군락은 경관과 식생이 분포하는 수직적 공간범위가 좁아 생물자원의 분포 특이성 및 가치 등에 있어 중요하다(Kong, 2000; Noh, 2017).
설치류에 의한 수목피해 현상이 일어난 원인은? 또한 고해발고도에 위치한 아고산대에서도 설치류가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어(Johannesen and Mauritzen, 1999), 해발고도 1,500m 안팎에 위치한 지리 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원에서도 설치류의 서식과 섭식활동을 배제할 수 없다. 해당 사례는 먹이활동 혹은 이갈이 목적으로 수목을 가해한 것으로 판단되며, 해당 공원관리청의 실태파악 및 대응방안 모색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피해목의 종류와 개체수, 피해범위, 가해 설치류에 대한 종 정보 등 파악되지 않은 정보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inkley, D., Y.W. Son and Z.S. Kim(1994) Impacts of air pollution on forests: A summary of current situations. Journal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83(2): 229-238. 

  2. Bucyanayandi, J.D., J.M. Bergeron, J. Soucie, D.W. Thomas and Y. Jean(1992) Differences in nutritional quality between herbaceous plants and bark of conifers as winter food for the vole Microtus pennsylvanicus. Journal of Applied Ecology 29(2): 371-377. 

  3. Cho, M.G., J.M. Chung, T.W. Kim, C.Y. Kim, I. Noh and H.S. Mon(2015)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 on Seseok in Mt. Jiri.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6(4): 379-3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rawford, R.M.(1989) Studies in plant survival: Ecological case stories of plant adaptation adversit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306pp. 

  5. Heroldova, M.(2002) Food selection of Microtus agrestis in airpollution affected clearings in the Beskydy Mts, Czech Republic. Folia Zoologica 51(1): 83-91. 

  6. Heroldova, M., J. Bryja, E. Janova, J. Suchomel and M. Homolka (2012) Rodent damage to natural and replanted mountain forest regeneration.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2: 1-6. 

  7. Hjalten, J., K. Danell and L. Ericson(2004) Hare and vole browsing preferences during winter. Acta Theriologica 49(1): 53-62. 

  8. Horikawa, M., I. Tsuyama, T. Mstsui, Y. Kominami and N. Tanaka (2009)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alpine habitat suitability of Japanese stone pine (Pinus pumila). Landscape Ecology 24: 115-128. 

  9. IPCC(2014)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Summary for policy makers. IPCC, Geneva, Switzerland, pp. 27-30. 

  10. IUCN(2008)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Gland, Switzerland, 155pp. 

  11.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ohannesen, E. and M. Mauritzen(1999) Habitat selection of greysided voles and bank voles in two subalpine populations in southern Norway. Annales Zoologici Fennici 36(4): 215-222. 

  13. Kaneko, Y., K. Nakata, T. Saitho, N.C. Stenseth and O.N., Bonrnstad (1998) The biology of the vole Clethrionomys rufocanus: A review. Researches on Population Ecology 40: 21-37. 

  14. Kang, S.J.(1984) Regeneration proces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7(4): 185-1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earse, M., R. Moir, A. Wilson, S. Stones-Havas, M. Cheung and S. Sturrock(2012) Geneious basic: An integrated and extendable desktop software platform for the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sequence data. Bioinformatics 28: 1647-1649. 

  16. Kim, C.H.(2012) Vegetation change and growing characteristics by altitude of Abies Koreana forest in Mt. Jiri national park: The case of trail in Georim valley-Sesuk shelter. Master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4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E.S.(1994) Decline of tree growth and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high altitude mountains.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Research Report. KOSEF 921-1500-0812. 8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G.T. and G.C. Choo(1999)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Abies koreana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70-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G.T., G.C. Choo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Mt. Halla-Abies koreana for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87(3): 366-3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Y.S., C.S. Chang, C.S. Chang and M. Gardner(2011) Abies korean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1. IUCN, Gland, Switzerland, 11pp. 

  21. Kocher, T.D., W.K. Thomas, A. Meyer, S.V. Edwards, S. Paabo, F.X. Villablanca and A.C. Wilson(1989) Dynamics of mitochondrial DNA evolution in animals: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with conserved prim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6: 6196-6200. 

  22. Koh, J.G., D.S. Kim, J.G. Kim and Y.J. Ko(2015) Growth dynamics of Korean Fir in Mt. Hallsan. Hallasan research report 14: 9-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ong, W.S.(1999) Global warming and alpine vegeta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2(6): 363-3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ong, W.S.(2000) Vegetational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9(5): 391-4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ong, W.S.(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 7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oo, K.A., W.K. Park and W.S. Kong(2001)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4(5): 28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KNPRI)(2019) Monitoring of ecosystem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National Park, Korea, 355pp. (in Korean) 

  28. Kwon, M.J.(2006) The causes of forest decline on Abies koreana stand in Mt. Halla. Master Dissertation, Univ. of Seoul, Seoul, 6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Lee, C.S. and H.J. Cho(1993)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Wilson Community in Mt. Gaya.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6(1): 75-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Lee, E.J., S.H. Son, S.J. Park, W.S. Lee and S.J. Rhim(2009) Difference in behavior patterns of 3 dominant species of small rodents caused by different habitat environment in forest ecosystem of South Korea. Pro. Kor. Soc. Env. Eco. Con. 19(1): 59-61. (in Korean) 

  31. Lee, E.J., W.S. Lee and S.J. Rhim(2008) Characteristics of small rodent populations in post-fire silvicultural management stands within pine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 1418-14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Lee, H.Y.(2013) The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y and population dynamics as climate condition changes in Mt. Seorak, Korea. Ph. D. Dissertation, Univ. of Dongguk, Seoul, 18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Lee, J.H.(2014) Systematic and conservation studies on Korean endemic Myodes regulus, based on DNA sequence analyses with three species of genus Myodes. Ph. 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6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Li, Y., L.M. Gao, R.C. Poudel, D.Z. Li and A. Forrest(2011) High universality of matK primers for barcoding gymnosperm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49(3): 169-175. 

  35.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and J.H. Shin(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5(6): 705-7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Nelson, S.(2012) Rat-feeding injury to plants in Hawaii. University of Hawaii, Hawaii, 10pp. 

  37. NIE(2014) Subalpine conifer forest communit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134pp. (in Korean) 

  38. Noh, I.(2017)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Master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10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Park, W.K. and J.W. Seo(1999) A dendroclimatic analysis on Abies koreana in Cheonwang-bong area of Mt. Chiri,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3(1): 25-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Shin, M.Y., S.Y. Chung, W.S. Han and D.K. Lee(2008) Effects of microclimatic of different site types on the growth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1): 9-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Song, K.M., J. Kim, Y.J. Kang, H.S. Choi, S.C. Jung, S.Y. Lee, J.H. Lee, J.G. Koh, J.G. Kim, K.H. Lee, Y.P. Hong, J.H. Lim and C.S. Kim(2016) Korea Fir Hallasan Mountain, why are they dy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ervice, Seoul, 13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Suchomel, J., L. Purchart, L. Cepelka and M. Heroldova(2016) Factors influencing vole bark damage intensity in managed mountain-forest plantations of Central Europe. Europe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5: 331-342. 

  43. Tobin, M.E.(1994) Polynesian rat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Hawaii, 5pp. 

  44. Witmer, G.W., N.P. Snow, L. Humberg and T. Salmon(2009) Vole problems, management options, and research needs in the United States. Proceedings of the 13th WDM Conference, pp. 235-2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