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 감정노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motional Coaching Program for Clinical Nurses on Resilience,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3, 2020년, pp.419 - 430  

류경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aching program for hospital nurses.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participants included 60 nurses (3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ho worked at a gene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감정노동과 회복탄력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간호사에게 적용하여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은 간호사에게 자기감정인식, 타인감정인식, 공감과 경청 및 수용, 긍정적 정서를 통해 감정을 조절하고 회복탄력성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사에게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가 개발한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간호사 대상의 감정노동과 회복탄력성 혹은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나 타 변인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7]가 진행되고 있을 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감정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 상황 및 직무특성을 고려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사 감정 관리 및 인력 유지관리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은 자기감정인식, 타인감정인식, 공감과 경청 및 수용, 긍정적 정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간호사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긍정적 정서를 향상시켜 관계가 증진되면 결국, 감정노동과 회복탄력성 및 자기효능감에 도움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 1) 가설 1.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감정노동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가설 2.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회복탄력성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그리고 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은 감정인식, 공감과 경청 및 수용, 긍정적 정서를 통해 효과를 볼 수 있다[4-7,9]. 감정코칭은 간호사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잘 관리하게 되어 긍정적 정서 강화를 증진 시킬 것으로 가정하였다[11-14]. 본 연구에서의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은 자기감정인식, 타인감정인식, 공감과 경청 및 수용, 긍정적 정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이란? 간호사는 업무 특성상 상황에 대한 신속·정확한 수행과 빠른 대처를 해야 할 뿐 아니라 동료 및 타 보건의료인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하며, 환자와 보호자에게는 친절한 간호사 모습을 제공해야 하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감정노동에 자주 직면하게 된다[1]. 감정노동이란 말투나 표정, 몸짓 등의 드러나는 감정표현을 직무의 한 부분으로 연기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통제하는 일을 수반하는 노동이다[1]. 감정노동의 구성요소는 표현행위와 내면행위, 또는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이 요구되는 주의성, 감정표현의 다양성 및 감정부조화 등으로 구체적으로 제시되기도 한다[2].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은? 1) 가설 1.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감정노동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 가설1-1.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표면화 감정노동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가설1-2.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내면화 감정노동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가설1-3.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조절행위 감정노동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가설 2.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회복탄력성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가설 3. 간호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자기효능감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회복탄력성이란? 간호사 관련 감정노동의 선행연구를 보면, 여러 연구에서 간호사의 감정노동 관리를 위해서 회복탄력성[5], 자기효능감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4,6,7]. 회복탄력성이란 개인이 직면한 역경에 적응하고 오히려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의 심리 사회적 특성을 의미한다[8]. 감정노동으로 인해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간호사에게 회복탄력성의 증진은 중요하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ochschild AR.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p. 89-136. 

  2.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https://doi.org/10.2307/259161 

  3. Nam HR, Lee JY. Development of emotional labor measurement tool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3):221-233.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221 

  4. Yang YK.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23-43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23 

  5. Oh DN.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burnout, and resilience of nurses.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Basic Sciences. 2015;23(1):57-69. 

  6. Kang M, Kwon M, Youn S. Self-efficacy,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labor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66-273. https://doi.org/10.5807/kjohn.2012.21.3.266 

  7. Kim JH, Park YS.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n psychosocial stres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1):111-121.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111 

  8. Connor KM, Davidson JRT.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2003;18(2):76-82. https://doi.org/10.1002/da.10113 

  9. Choi M, Kim M.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4):373-383.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4.373 

  10.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1. Son YH, Kim PH. The effects of emotion coaching program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5;24(2):249-264. https://doi.org/10.17643/KJCE.2015.24.2.14 

  12. Kim HE, Lee HJ. The effect of emotion coa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12):625-632.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625 

  13. Kim H, Ahn C, Ahn Y. The effect of teacher training using emotion coaching on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10):215-229. 

  14. Jeon KS, Ko EK. Effect of the peer emotion coaching program on the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recognizing,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6):691-705.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691 

  15. Gottman JM. What am I feeling? 1st Engl. Ed. Jung CW, translator. Goyang: Human Love; c2007. p. 1-69. 

  16. Respizzi S, Covelli E. The emotional coaching mode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to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decisions in physical and sports rehabilitation. Joints. 2015;3(4):191-200. https://doi.org/10.11138/jts/2015.3.4.191 

  1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1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p. 1-66. 

  19. Park MM, Park JW. Development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1):32-41. https://doi.org/10.7739/jkafn.2016.23.1.32 

  20. Hong ES. The effect of leadership coaching mediated by self efficacy on job-related performance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dissertation].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9. p. 1-126. 

  21. Sussman SY.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1. p. 1-564. 

  22. Kim CD, Kim HS, Shin EJ, Lee SH, Choi H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ducation program. Seoul: Hakjisa; 2011. p. 1-397. 

  23. Andela M, Truchot D.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The moderating role of team reflexivity and re-evaluation. Stress and Health. 2017;33(3):179-189. https://doi.org/10.1002/smi.2695 

  24. Grandey AA.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3;46(1):86-96. https://doi.org/10.5465/30040678 

  25. Mealer M, Conrad D, Evans J, Jooste K, Solyntjes J, Rothbaum B, et al.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a resilience training program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4;23(6):e97-e105. 

  26. Foureur M, Besley K, Burton G, Yu N, Crisp J. Enhancing the resilience of nurses and midwives: Pilot of a mindfulness-based program for increased health, sense of coherence and decrease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Contemporary Nurse. 2013;45(1):114-125. https://doi.org/10.5172/conu.2013.45.1.114 

  27. Sood A, Prasad K, Schroeder D, Varkey P. Stress management and resilience training among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11;26(8):858-861. https://doi.org/10.1007/s11606-011-1640-x 

  28. Delgado C, Upton D, Ranse K, Furness T, Foster K. Nurses' resilience and the emotional labour of nursing work: An integrative review of empir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7;70:71-88.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7.02.008 

  29. Zapf D.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002;12(2):237-268. https://doi.org/10.1016/S1053-4822(02)0004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