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he Related Factors Influencing on Self-rated Health Level of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3, 2012년, pp.290 - 301  

이혜진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경 (창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미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석만 (창원대학교 사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of 836 midlife women ($51.0{\pm}4.0$ yrs) was undertaken by exclusively a face to face interview by well-trained interviewers guarantying data collection of higher quality. This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스스로 생각하고 있는 주관적 건강상태, 즉 여러 가지 특성을 반영하는 건강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로써의 총체적인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식습관 평가를 포함한 건강 관련 생활환경적 요인을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요인들과 함께 살펴보면서 이들 요인들이 여성의 중년기에서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식습관 평가를 포함한 건강 관련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요인들과 함께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 본 연구는 중년기여성의 식습관을 포함한,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요인들을 함께 살펴보면서 이들 요인들이 중년기 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미치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에 대한 개념을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를 기본으로 하고, 건강에 식생활 요소를 접목시키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는 이유는? 현재 우리 사회는 국민 소득의 증가로 생활수준과 영양섭취가 향상되고, 또한 공중위생수준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국민의 평균수명이 점차 증가되면서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다.
여성들이 겪는 육체적 · 정신적인 증상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은 그들이 느끼는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러한 여성의 시기는? 우리나라 총 인구 중 45세 이상의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18.78%에 달하며, 이들은 신체적인 건강 뿐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도 큰 변화를 겪으며 노화현상과 더불어 폐경을 경험하게 된다(Kim 2010).
우리나라 총 인구 중 45세 이상의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 총 인구 중 45세 이상의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18.78%에 달하며, 이들은 신체적인 건강 뿐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도 큰 변화를 겪으며 노화현상과 더불어 폐경을 경험하게 된다(Kim 2010). 이 시기의 여성들이 겪는 육체적 · 정신적인 증상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은 그들이 느끼는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DA reports (2001):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food fortification and dietary supplements. J Am Diet Assoc 101(1): 115-125 

  2. Appels A, Bosma H, Grabauskas V, Gostautas A, Strumans F (1996):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a Lithuanian and Dutch population. Soc Sci Med 42: 681-689 

  3. Baek SS (1998):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enopausal symptoms of midwife women between urban area. Korean J Women Health Nurs 4(3): 332-347 

  4. Bailis DS, Segall A, Chipperfield JG (2003): Two views of self-rated general health status. Soc Sci Med 56: 203-17 

  5. Bowling A (2001): Measuring Disease; 2nd edition. Open University. Buckingham.Philadelphia. pp.2-8 

  6. Chang HK, Han YB (2002): A study on the climacteric symptoms and dietary pattern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Home Economics Assoc 40(1): 125-134 

  7. Choi IR (2009): Anger expression type and mental health in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9(4): 602-612 

  8. Feeny D, Torrance GW, Furlong W, Goldsmith C (1995): Health utilities index mark 3: utility scores for 74 prevalent health states. Quality Life Res 4(5): 424 

  9. Fylkesnes K, Forde OH (1991): The tromoso study; predictors of self-evaluated health-Has society adopted the expanded health concept? Soc Sci Med 32(2): 141-146. 

  10. Gander J, Lee D, Sui X, Hbert JR, Hooker SP (2011): Self-rated health status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as predictors of mortality in men. Br J Sports Med 45(14): 1095-1100 

  11. Goodwin DK, Knol LL, Eddy JM, Fitzhugh EC, Kendrick OW, Donahue RE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the overall quality of dietary intake of US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6: 1450-1453. 

  12. Grant MD, Piotrowski ZH, Chappell R (1995): Self-related health and survival in the logitudinal study of aging, 1984-1986. J Clin Epidemiol 48(3): 375-387 

  13. Hilditch JR, Lewis J, Peter A, van Maris B, Ross A, Franssend E, Guyatt GH, Norton PG, Dunn E (1996): A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Maturities 24(3): 161-175 

  14. Idler EL, Benyamini Y (1997):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 Health Soc Behav 38: 21-37 

  15. Kim AK (2010): Yangsae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6(3): 297-306 

  16. Kim HC, Kim MR (2006): A study on health-functional foods intake pattern of consumer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Korean J Human Ecology 15(2): 341-352 

  17. Kim HJ (2001): Comparison of the level of marital intim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ess among middle-aged women. J Korean Soc Maternal & Child Health 5(1): 123-136 

  18. Kim HS, Yoon KH, Lee MJ, Seo BH (2005): Intake and awareness of the functional health food among housewives in Cheongju area. J Human Ecology 9(2): 179-196 

  19. Kim MY, Han SY, Jeong JH, Kim SH, Lee JK, Park ES, Zhang XH, Seo JS (2009): Effectiveness of nutrition-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of adul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4(2): 168-174 

  20. Koo NS, Park JY (2001): Health state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fmiddle-aged people in Daejon. Korean J Dietary Culture 16(2): 137-146 

  21. Kwak EK (2006): The middle life women's menopause knowledge, attitude, symptom and management.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pp.7-16 

  22. Lee JY (1987): A study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ed variables.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25(1): 105-119 

  23. Lee JY, Chae SK, Kim KD (2011): The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of health food consumers. Korean J Food Preserv 18(1): 103-110 

  24. Lee PS (2003): Correlational study among anger,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33(6): 856-864. 

  25. Lee YR, Kim MJ (2009): A transition of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of women aged in early adulthood.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3(2): 199-206 

  26. Lobo RA, Whitehead MI (2001): Is low-dose hormone replacement therapy for postmenopausal women efficacious and desirable? Climacteric 4(2): 110-119 

  27. Miilunpalo S, Vuori I, Pasanen M, Urponen H (1997): Self-rated health status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nd on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J Clin Epidemiol 50(5): 517-528 

  28. Mishra N, Mishra VN, Devanshi (2011): Exercise beyond menopause: dos and don'ts. J Midlife Health 2(2): 51-56 

  29. Nam BH, Lee SW (2003): Tes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SF-36 health survey. J Korean Soc Health Stat 28(2): 3-24 

  30. Oh YH, Bae HO, Kim YS (2006): A study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ffecting self-perceived health of older persons in Korea. J Korean Gerontol Soc 26(3): 461-476 

  31. Pakzard K, Boucher BA, Kreiger N, Cotterchio M (2007): The use of herbal and other non-vitamin, non-mineral supplements among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in Ontario. Can J Public Health 98(5): 383-388 

  32. Park GJ (1999): A structure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s University, pp.44-45, p.100 

  33. Park GJ, Lee KH (2002):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8(1): 69-84 

  34. Park HS, Lee YM, Cho GY (2002):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8(4): 521-528 

  35. Pyun JS, Kim MJ, Lee KH (2011): Climacteric and menopausal women's beliefs on daily meals and food supplements-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16(2): 239-252 

  36. Schleifer SJ, Keller SE, Meyerson AT, Raskin MJ, Davis L, Stein M (1984): Lymphocyte fanction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42: 129-133 

  37. Seidell JC, Bakx KC, Deurenberg P (1986): The relation between overweight and subjective health according to age, social class, slimming behavior and smoking habit s in Dutch adults. Am J Public Health 76(12): 1410-1415 

  38. Shin JM (2002): An analysis of intake of health foods and supplements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middle.old aged adults living in Seoul and Kyon-gi region.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23-42 

  39. Smith EL, Reddan W, Smith DE (1981): Physical activity and calcium modalties for bone mineral increase in aged women. Medicine & Science Sports & Exer 13(1): 60-64 

  40. Song AR (2005): Health factors related to management of menopause among climacteric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1(1): 12-19 

  41. Sowers M, Zheng H, Tomey K, Karvonen-Gutierrex C, Jannausch M, Li X, Yosef M, Symons J (2007): Changes in body composition in women over six years at midlife: ovarian and chronological aging. J Clin Endocrinol Metab 92(3): 895-901 

  42. Statistics Canada (2012): Indicators of well-being in Canada. In: human resources and skills development Canada. Available from http://www4.hrsdc.gc.ca/c.4nt. 2nt@-eng.jsp?cid14 [cited 2012 March 10] 

  43. Svedberg P, Bardage C, Sandin S, Pedersen NL (2006): A prospective study of health, life-style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 Eur J epidemiol 21: 767-776 

  44. Ware JE (1976): Scales for measuring general health perceptions. Health Serv Res 11(4): 396-415 

  45. Ware JE (1987):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J Chronic Disease 40(6): 473-480 

  46. Ware JE, Sherboume C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Medical Care 30(6): 473-483 

  47. Yang JH (2002): A study on health behavior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J Korean Acad Nurs 32(5): 694-705 

  48. Yoo YJ, Hong WS, Youn SJ, Choi YS (2002): The experience of health food usage for adul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 136-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