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자본이 실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Baby Boomers on Practical Well-Being Focused on the Modul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dent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1, 2021년, pp.345 - 353  

박승탁 (영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정체성과 실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대구시에 거주하는 노인복지관과 문화센터 이용중인 286명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자본의 신뢰(t=6.893, p<.05), 참여(t=5.157, p<.05), 네트워크(t=8.093, p<.05), 규범 및 호혜성(t=4.787, p<.05)은 실제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본의 신뢰가 실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정체성에 따른 조절효과(t=2.023, p<.05)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급속한 경제성장기 속에서 쌓은 사회적 유대와 가족 친척간의 돈독한 신뢰관계가 사회적 자본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심리와 작용하여 실제적 안녕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신뢰관계가 높고 심리적 정체성이 상위일수록 실제적 안녕감 또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은퇴 시점에서 사회적 역할의 상실과 활동 축소 등으로 심리적 정체성이 낮아질 경우 실제적 안녕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교류 프로그램과 단체 활동 및 봉사활동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대다수는 노후에 대한 실질적인 대비 부족으로 국가의 제도적 혜택마저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이들을 위한 국가 복지적 관점에서의 제도적 보완이 요구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identity and practical wellbeing for the Korean baby boom generation.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survey was carried out on baby boomers who use elderly welfare centers and cultural centers living in D City. The overall research r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의 실제적 안녕감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자본이 실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심리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신뢰, 참여 및 규범 및 호혜성을 사회자본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인으로 간주하고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자본이 실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호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이 같은 세대의 특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집단을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로 특정하여 이들의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정체성과 실제적 안녕 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더욱이 1년간 지속되는 코로나19로 IMF 이후 최대 위기를 맞는 세대로서 심리적 불안에 따른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자본이 실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신뢰, 참여, 네트워크, 규범 및 호혜성을 통한 교환이 활발할수록 실제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심리적 정체성에 조절 효과를 갖는지 이들 상호인과관계를 밝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가설 설정

  • 가설 1.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적 자본은 실제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STAT, 2018 Korea's social indicators, Daejeon : Kostat, 2019. 

  2. Y. G. Lee, S. I.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to the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Social Activities,"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vol. 20, no. 2, pp. 151-180, 2016. G704-000863.2016.20.2.006 

  3. Y. R. Lee, S. J. Lee, "Factors Influencing the Asset and the Income Poverty of the Elderly: Focusing on 'Baby Boomers' and 'Liberation and Korean War Gener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57, no. 2, pp. 111-157, 2018. 

  4. D. H. Cho, B. Choi, H. C. Jeong, Job Characteristics and Labour Policy Implications for Seoul, Seoul : Seoul Institute, 2015. I410-ECN-0101-2017-359-001379145 

  5.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Seoul :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020. 

  6. H. M. Kim, D. H. Kim,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on the Quality of Lifeby Baby Bommer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ion Science, vol. 54, no. 3, pp. 89-100, 2015. DOI : https://doi.org/10.15870/jsers.2015.12.54.4.89 

  7. E. H. Lee, K. J. Kim, S. R. Lee, H. J. You, K. W. Cha, Y. A. Lee, & J. Y. Le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ousehold Economic Structure between the Generation,"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11, no. 2, pp. 197-227, 2015. DOI : 10.15790/cope.2015.11.2.197 

  8. S. G. Lee,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73-86, 2014. DOI : https://doi.org/10.14400/JDC.2014.12.10.73 

  9. H. S. Jeong, S. W. Kim, S. H. An, "Generation and Multidimensional Inequality in Korea,"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63, pp. 337-369, 2014. DOI : https://doi.org/10.21194/kjgsw..63.201403.337 

  10. KOSTAT, 2017 Social Survey Results, Daejeon : KOSTAT, 2017. 

  11. G. S. Park, "Rethinking Generational Conflict in Contemporary Korea: The Search for Economic Dimensions,"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Korea University, vol. 12, no. 1, pp. 3-25, 2011. DOI : https://doi.org/10.22862/kjsr.2011.12.1.001 

  12. H. J. You, "Elderly People's Perception of the Caregiving Norms and Its Relations with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Conflict,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vol. 9, no. 1, pp. 107-130, 2000. 

  13. S. H. Nam, "Intergenerational Conflict and Integration in family,"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 10, no. 2, pp.1-15, 2004. G704-000654.2004.10.2.005 

  14. D. W. Kim,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residential life satisfaction : a case of Dangjin city, Ph.D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2013. 

  15. H. B. Park, H. C. Lee, "A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on Social Status, Happiness, and Political Efficacy: Cas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Conditions of Public Deliber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19, no. 3, pp. 871-902, 2007. G704-000253.2007.19.3.009 

  16. J. H. Kim,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Trajectories in Later Life,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 67, no. 3, pp. 181-201. 2015. DOI : https://doi.org/10.20970/kasw.2015.67.3.008 

  17. Lin, Nan.,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Contemporary Sociology, vol. 29, no. 6, pp. 785-796, 2000. DOI : https://doi.org/10.2307/2654086 

  18. J. H. Kim, "A Study of Social Capital for Sustainable Fishing community - Focused on the Case of Soraepogu fishing village Association,"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vol. 1, no. 31, pp. 53-79, 2019. DOI : https://doi.org/10.46331/jis.2019.08.31.53 

  19. J. K. Cha, T. G. Ryu,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between Social Group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n Society of Northeast Asian Studies, vol. 82, pp. 237-264, 2017. G704-001454.2017.22.1.015 

  20. W. M. Hwang, D. H. Kim, "The Study on Korean's lifestyles and its' Generational Identity: A Psychological Model of 'Generational Differences'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 18, no. 2, pp. 31-47, 2004. G704-000424.2004.18.2.003 

  21. Y. J. Lee, "Preparation Characterizations for old Age of the Baby Boom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5, pp. 253-261, 2013. DOI :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53 

  22. Y. S. You, "Factors Affecting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12, pp.738-747, 2013. DOI :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38 

  23. I. Kang,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Among the Baby Boom Cohort,"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6, no. 9, pp. 460-472, 2016. DOI :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460 

  24. M. O. Kwon, G. T. Le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Onlin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nline Network Servi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8, no. 5, pp. 1485-1503, 2015. G704-000789.2015.28.5.001 

  25. R. N. Byun, Y. S. Kim, T. S. Hyun, "A Comparative Study of Policies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Baby-boomer Retirees in Korea and Japa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4, pp. 315-344, 2011. DOI : https://doi.org/10.15709/hswr.2011.31.4.315 

  26. S. S. You, J. G. Lee, Y. J. Choi, "The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cebook: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Esteem by Self-Disclosure,"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 18, no. 2, pp. 117-150, 2017. DOI : https://doi.org/10.21074/kjlcap.2017.18.2.117 

  27. H. B. Park, H. C. Lee, "A Study on the Rationality of Organizational Evolution in Korean Local Enterpris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vol. 17, no. 3, pp. 709-728, 2005. G704-000253.2005.17.3.002 

  28. Y. J. Chang, Y. J. Kwon,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family, in school and subjective well-being adap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 12, no. 2, pp. 75-87, 2017. DOI : https://doi.org/10.21097/ksw.2017.05.12.2.75 

  29. M. R. Kim,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 Comparison by Age and Gender,"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1, pp. 145-161, 2012. G704-000573.2012.32.1.018 

  30. M. Y. Hwang, S. D. Jeong, J. H. Kim, "The Relationship Among Ageism, Self-Perception of Physiological & Psycho-social Aging, and Depressive Mood: Comparison between Male Babyboomer, Young-Old & Old-Old Generation Group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7, no. 1, pp. 65-103, 2018. DOI : https://doi.org/10.22257/kjp.2018.03.37.1.65 

  31. H. J. Choi, M. J. A. Kim, J. Y. Lee, M. J. B. Lee, "A Study on the Retirement Life Span of Korean Households,"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 5, no. 4, pp. 47-71, 2012. 

  32. S. D. Jeong, M. H. Seo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Age Group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2, no. 4, pp. 249-272, 2012. DOI : https://doi.org/10.15709/hswr.2012.32.4.249 

  33. G. W. Sung,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and Ego Integrity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 mediating model of social capital,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6. 

  34. D. H. Lim, A Study on the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on Death Anxiety among the Korean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actical Well-being, Ph.D dissertation, Nambu University,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