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LoS ONE 학술지 게재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 논문의 계량적 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n PLoS ONE Articles Published by Authors Affiliated with Korean Institution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2, 2020년, pp.47 - 69  

심원식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안병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박성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현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표적인 오픈액세스 학술지 중에서 범학문적인 성격을 가진 PLoS ONE에 게재된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들의 출판 활동에 대한 계량적인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메가학술지인 PLoS ONE에 국내 연구자들은 2006년부터 2019년의 기간 동안 약 6,500여 개의 연구논문을 게재하였고 이는 국가 기준으로는 전세계 11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국내 기관 소속 저자들의 PLoS ONE 논문은 대부분 의생명 공학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는 PLoS ONE에 대한 논문 게재가 감소하고 Scientific Reports, BMJ Open 등과 같은 경쟁 메가학술지로의 이동이 감지된다. 이러한 변화는 논문심사 기간의 지연, 영향력 지수 감소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PLoS ONE에 10건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국내 교신저자의 전반적인 연구 업적을 보면 오픈액세스 출판 비중이 약 30% 수준으로 나타나 오픈액세스에 대한 수용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연구자별로 최대 50% 이상의 편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PLoS ONE에서 제공하는 이용지표 중에서 저장수는 열람수, 인용수와의 상관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오는 반면 공유수는 열람수, 인용수 그리고 저장수와 상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국내 연구자들의 오픈액세스 출판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형식의 후속연구를 통해 오픈액세스 출판 배경, 심사과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집, 분석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rovides a quantitative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PLoS ONE, a multidisciplinary open access journal, by authors affiliated with Korean institutions. Korean authors published more than 6,500 research ariticles in the mega journal between 2006 and 2019. Korea is ranked 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PLoSONE의 논문시스템에서 추출한 논문정보, 저자 정보 및 이용지표를 기반으로 국내 기관 저자들의 논문 게재 현황, 출판 기간, 주제 영역 및 이용지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LoS ONE 논문 상위 게재 저자들을 대상으로 오픈액세스 출판 경향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 한편, 국내 연구자들의 제출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메가학술지의 특징 중 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출 논문의 전체 규모, 출판소요기간, 투고 논문의 주제별 영역 분포를 확인하고, Altmetrics의 제공이 메가학술지의 특징 중 하나라는 점을 고려하여, PLoS ONE의 이용지표와 관련한 국내연구자들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신저자를 중심으로 하는 핵심 저자 계층을 선별하여 이들의 학술지 유형별 학술 논문의 투고 경향과 경쟁 메가학술지로의 이동 여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은 전체 오픈액세스 학술지 시장에 비해 PLoS ONE이 차지하는 규모가 크지는 않기 때문에 국내 연구자들의 전반적인 오픈액세스 투고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메가학술지가 급성장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 학술연구자의 메가학술지와 관련한 오픈액세스 활동에 대한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2003년도에 설립된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 출판사의 학술지에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연구자 논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연간 1만개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는 메가학술지인 PLoS ONE에 게재된 국내 저자 논문의 추이 및 관련 지표를 분석하고자 한다.
  • Shopovski & Marolov(2017)의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를 ESJ(European Scientific Journal)에 논문을 게재한 저자로 한정하고 연구자가 메가 학술지에 투고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주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메가학술지의 존재를 인지하고 투고까지 이어지는 데 동료 연구자의 추천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 이중 10건 이상의 논문에서 교신저자로 등록된 교신 저자 총 20명을 대상으로 소속기관, 성명, 이메일 정보를 토대로 한국연구재단이 운영하는 한국연구자정보(Korean Researcher Information, KRI)를 통한 연구자 논문실적을 비교 대조하였고, 이중 식별 가능한 저자 총 17명의 논문실적을 통합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이러한 국내기관소속의 연구자가 아닌 한국어 성명의 연구자선별의 이유는 한국인 연구자의 국내 혹은 국외의 연구실적에 대한 정보가 비교적 정확하게 등록되어 있는 KRI의 업적 정보를 활용하기 위함에 있고, 이를 통해 핵심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LoS ONE 및 다른 메가학술지의 투고행태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오픈 사이언스정책 등으로 학술커뮤니케이션에 상당한 변화가 초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으로 여전히 성과중심의 학술활동 관리가 우선시되는 현 상황은 매우 우려스럽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자들의 오픈액세스 참여에 대한 데이터 기반의 구체적인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를 촉진시키고자 한다.
  • <그림 2> PLoS ONE의 연도별 IF 추이

    이에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학술지로서 대표적인 메가학술지라고 볼 수 있는 PLoS ONE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국내 연구자의 논문 제출 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PLoS ONE의 선정 이유는 PLoS ONE이 다른 메가학술지에 비해 메가학술지의 주요 특징들을 가장 잘 대변하고 있고 있으며, 가장 긴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논문 규모와 제출행태 등과 관련한 시계열적 분석이 용이하다는 점, 성장기와 하락기가 분명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출판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국내 연구자의 투고 경향과의 비교가 용이하다는 점에 있다.

  • 본 연구는 2003년도에 설립된 PLoS(Public Library of Science) 출판사의 학술지에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연구자 논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연간 1만개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는 메가학술지인 PLoS ONE에 게재된 국내 저자 논문의 추이 및 관련 지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표적인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참여 형태와 수준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국내 연구자들의 제출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메가학술지의 특징 중 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출 논문의 전체 규모, 출판소요기간, 투고 논문의 주제별 영역 분포를 확인하고, Altmetrics의 제공이 메가학술지의 특징 중 하나라는 점을 고려하여, PLoS ONE의 이용지표와 관련한 국내연구자들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신저자를 중심으로 하는 핵심 저자 계층을 선별하여 이들의 학술지 유형별 학술 논문의 투고 경향과 경쟁 메가학술지로의 이동 여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Kwak, S., & Shin, J. (2008).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open access repository.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9(4), 67-96. http://dx.doi.org/10.1633/JIM.2008.39.4.067 

  2. Kim, G. (2014). A proposal for the acceptance and processes of open access in Korean socie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111-131.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3.111 

  3. Kim, G., & Joung, K.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pen access in Korean scholarly journals: Focused on KCI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3), 251-267. http://dx.doi.org/10.3743/KOSIM.2017.34.3.251 

  4. Kim, W. (2019). Development plan for Korean open access publishing and utilization platform.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9(11), 95-108. 

  5. Kim, H. (2018). Survey on perception of Korean researchers regarding open access publishing.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inter Conference, 2018(2), 183-189. 

  6. Min, Y., & Cha, M. (2017). A study on the open access policy of scholarly journals publishing research papers funded by Korean gover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155-176. http://dx.doi.org/10.3743/KOSIM.2017.34.1.155 

  7. Shin, E. (2014). A study on APC subsidy policies to Encourage OA publis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249-270.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3.249 

  8. Shin, E. (2015). OECD open science discussion trends and issues. Trend and Issues (STEPI), (22), 1-21. 

  9. Ahn, H. (2010). Open access and the confrontation of copyright law: Focusing on the discussion in Germany. Copyright Quarterly, 23(4), 24-41. 

  10. Lee, G. (2009). Open access in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journal and article management systme (JAMS). Proceedings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2009, 37-46. 

  11. Joung, K. (2008). What is the strarting point of discussions for the open access of Korean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365-382.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3.365 

  12. Joung, K. (2010). A study on the open access policy to public funded research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1), 207-227. http://dx.doi.org/10.3743/KOSIM.2010.27.1.207 

  13. Joung, K. (2017). A study on Korean researchers’ attitute toward open acess publishig. Proceedings of the Korean Biblia Socei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7(4), 33-53. 

  14. Cho, S. (2007). Need for open access repository for domestic research promotion. Doseogwanmunhwa, 48(8), 38-44. 

  15. Cho, J. (2020). Analysis of open access status of domestic author’s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Based on highly cited paper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4(1), 325-341. 

  16. Cha, M. (2019). Legal and policy reform for open access of publications derived from public research fund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9(11), 9-44. 

  17. Chae, J. (2019). A study on the issues of open access and copyright. Law Review, 60(1), 319-359. http://10.35275/pnulaw.2019.60.1.011 

  18. Choi, S., & Choi, S. (2010). A study on the service features for next generation open access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89-107. http://10.3743/KOSIM.2010.27.4.089 

  19. Choi, J., & Cho, H. (2005). The recent trends of open access movements and the ways to help the cause by academic stakehold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307-326. http://10.3743/KOSIM.2005.22.3.307 

  20. Hwang, H., Kim, H., & Choi, S. (2004).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y based on open acces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1), 91-116. 

  21. Ahmadi, A. (2018). Contribution of Indian scientists in PLOS ONE: A scientometric analysis. COLLNET Journal of Scientometrics and Information Management, 12(2), 183-196. https://doi.org/10.1080/09737766.2018.1433101 

  22. Bjork B. C. (2018a). Evolution of the scholarly mega-journal, 2006-2017. PeerJ, 6, e4357. https://doi.org/10.7717/peerj.4357 

  23. Bjork, B. C. (2015). Have the "mega-journals" reached the limits to growth? PeerJ. https://doi.org/10.7717/peerj.981 

  24. Bjork, B. C. (2018b). Publishing speed and acceptance rates of open access megajournals. Online Information Review, vol. 42. https://doi.org/10.1108/OIR-04-2018-0151 

  25. Burns, C. S. (2015). Characteristics of a megajournal: A bibliometric case study.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3(2), 16-30. https://doi.org/10.1633/JISTaP.2015.3.2.2 

  26. DOAJ. (2020). Retrieved from http://doaj.org 

  27. Domnina, T. N. (2016). A megajournal as a new type of scientific publication.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Processing, 43(4), 241-250. https://doi.org/10.3103/S0147688216040079 

  28. Johnson, R., Watkinson, A., & Mabe, M. (2018, October). The STM report: An overview of scientific and scholarly publishing. (2018 STM Fifth Edition). Hagu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Technical and Medical Publisher. 

  29. Jovan, S., & Dejan. M. (2017). Why Academics Choose to Publish in a Mega-Journal. Journal of Education and Learning, 6(4), Retrieved from https://ssrn.com/abstract3032253 

  30. Lazaroiu, G. C. (2017). Do mega-journals constitute the future of scholarly communi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49, 1047-1050. 

  31. Nature, Journal Metrics (2020). Retrieved from https://www.nature.com/nature-research/about/journal-metrics 

  32. OASPA (2020). Retrived from https://oaspa.org/membership/members/ 

  33. OECD (2015, October). Making open science a reality.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Policy Papers, 25). Paris: OECD Publishing. 

  34. Piwowar, H., Priem, J., & Orr, R. (2019). The future of OA: A large-scale analysis projecting open access publication and readership. BioRxiv, 795310. https://doi.org/10.1101/795310 

  35. Plan S (2020). Retrieved from http://www.coalition-s.org 

  36. PLOS (n.d.). Retrieved from https://plos.org 

  37. PLoS ONE (n.d.) Retrieved from https://journals.plos.org/plosone 

  38. PLoS ONE, Journal Informaion (n.d.). Retrieved from https://journals.PLoS.org/PLoSone/s/journal-information 

  39. Science Europe. (2019). Retrieved from https://www.scienceeurope.org/our-priorities/open-access 

  40. Shin, E. J. (2017). Can the growth of mega-journals affect authors' choice of journal? Serials Review, 43(2), 137-146. https://10.1080/00987913.2017.1313092 

  41. Shopovski, J., & Marolov, D. (2017). Why academics choose to publish in a mega-journal. Journal of Education and Learning, 6(4).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3032253 

  42. Solomon, D. J. (2014). A survey of authors publishing in four mega journals. PeerJ. https://doi.org/10.7717/peerj.365 

  43. Spezi, V., Wakeling, S., Pinfield, S., Fry, J., Creaser, C., & Willett, P. (2018), "Let the community decide"? The vision and reality of soundness-only peer review in open-access mega-journals, Journal of Documentation, 74(1), 137-161. https://doi.org/10.1108/JD-06-2017-0092 

  44. Swan, A. (2010). The open access citation advantage: Studies and results to date. University of Southhampton Institutional Repository. Retrieved from https://eprints.soton.ac.uk/268516/ 

  45. Wakeling, S., Spezi, V., Fry, J., Creaser, C., Pinfield, S., & Willett, P. (2019). Academic communities: The role of journals and open-access mega-journals in scholarly communication. Journal of Documentation, 75(1), 120-139. https://doi.org/10.1108/JD-05-2018-0067 

  46. Wakeling, S., Willett, P., Creaser, C., Fry, J., Pinfield, S., & Spezi, V. (2016). Open-access mega-journals: A bibliometric profile. PLoS ONE 11(11): e016535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65359 

  47. Wang, X., Liu, C., Mao, W., & Fang, Z. (2015). The open access advantage considering citation, article usage and social media attention. Scientometrics, 103(2), 555-564. http://dx.doi.org/10.1007/s11192-015-1589-3 

  48. Yan, S., Rousseau, R., & Huang, S. (2016). Contributions of chinese authors in PLOS ON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7(3), 543-549. https://doi.org/10.1002/asi.234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