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양한 해조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밥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oked Rice Containing Various Seaweed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3 no.3, 2020년, pp.388 - 394  

최영진 (제주한라대학교 호텔조리과) ,  김수민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서경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현정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임상빈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오명철 (제주국제대학교 식품외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merging interest in healthy eating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rice mixed with various types of grains. Cooked rice was prepared with five different seaweeds,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fulvellum, Enteromorpha compressa, Undaria pinnatifida, and Gracilaria verrucosa, and th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해조류의 항산화 특성은 많은 연구들에 의해 증명되었으나, 해조류를 첨가한 밥에 관한 항산화 특성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조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백미밥, 보리밥, 잡곡밥을 제조하고 이들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해조류가 첨가된 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의 식용 자원으로서의 이용 현황은 어떠한가? , 2011). 해조류 중 김, 미역, 다시마, 청각, 파래, 톳 등은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유용 식용자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건제품, 염장품 및 조미품 등으로 직접 이용하거나 또는 다른 식품의 부재료로 첨가되어 이용되고 있다(Ahn et al., 2010).
해조류 5종과 그를 첨가한 실험에서, 어떤 해조첨가밥이 높은 항산화 능력을 가지는가? 79%로 전체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는 톳이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고 해조류를 첨가한 밥에서는 톳, 모자반, 파래를 첨가한 보리밥이 가장 탁월한 항산화 능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높은 해조류인 톳, 미역 및 모자반 등을 첨가하여 해조첨가밥을 제조할 경우 백미보다는 보리나 잡곡에 혼합할 경우 건강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 이에 관련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해조류에 특징은 무엇인가?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쌀도 밥쌀용 쌀소비는 감소하고 건조밥, 통조림밥, 레토르트밥, 냉장밥 및 냉동밥 등 간편식 밥이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Park, 2016). 해조류는 바다에 서식하는 조류(sea algae)로 채소와 유사하게 수분함량이 높고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은 낮으며 그에 비해 식이섬유, 수용성 점질 다당류 및 다양한 종류의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SM, Hong YK, kwon GS and Sohn HY. 2010.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J Life Sci 20, 1640-1647. https://doi.org/10.5352/JLS.2010.20.11.1640. 

  2. Ahn SM, Hong YK, kwon GS and Sohn HY. 2011.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J Life Sci 21, 576-583. https://doi.org/10.5352/JLS.2011.21.4.576. 

  3. D’Orazid N, Gemeollo E, Gammone MA, Girolamo M, Ficoneri C and Riccioni G. 2012. Fucoxantin: A treasure from the sea. Mar Drugs 10, 604-616. https://doi.org/10.3390/md10030604. 

  4. Hong WS.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home meal replacement in relation to the consumption trends. Food Sci Ind 50, 2-32. 

  5. Jung KI, Bang HJ, Boo HJ and Choi YJ. 2019.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dduk added with Enteromorpha intestinalis powder. J Life Sci 29, 588-595. https://doi.org/10.5352/JLS.2019.29.5.588. 

  6. Jung KJ and Lee S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uring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53-1459. https://doi.org/10.3746/jkfn.2011.40.10.1453. 

  7. Kim BM, Jun JY, Park YB and Jeong IH.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097-1101. 

  8. Kim DH, Kim SJ and Kim MR. 2019.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ulose konjac jelly added with Enteromorpha prolifer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8, 967-976. https://doi.org/10.3746/jkfn.2019.48.9.967. 

  9. Kim HJ, Kim SI and Han YS. 2008.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sea tangle yogurt on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9-67. 

  10. Kim HJ, Lee JH, Lee BW, Lee YY, Lee BK, Jeon YH, Ko JY and Woo KS. 2018.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cooked along with various mixed grains and by follow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31, 653-667. https://doi.org/10.9799/ksfan.2018.31.5.653. 

  11. Kim JH, Song HS and Yang JY.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with fermented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J Food Hyg Saf 27, 473-478. https://doi.org/10.13103/JFHS.2012.27.4.473. 

  12. Kim JM, Cho ML, Seo KE, Kim YS, Jung TD, Kim YH, Kim DB, Shin GH, Oh JW, Lee JS, Lee JH, Kim JY, Lee DW and Lee OH. 2015.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imil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172-1179. https://doi.org/10.3746/jkfn.2015.44.8.1172. 

  13. Kim SJ, Lee GS, Moh SH, Park JB, Auh CK, Chung YG, Ryu TK and Lee TK. 2013.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ix edible seaweeds. J Korea Aca Ind Co Soc 14, 3081-3088. https://doi.org/10.5762/KAIS.2013.14.6.3081. 

  14. Kim HS, Shin ES and Lyu ES. 2010. Optimization of cookies prepared with Hizikia fusiformis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 Sci 26, 627-635. 

  15. Kwak CS, Kim SA and Lee MS.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43-1150. https://doi.org/10.3746/jkfn.2005.34.8.1143. 

  16. Lee JA, Song JS and Yoon JY.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dried laver Porphyra tenera powder. Cul Sci Hos Res 23, 88-96. https://doi.org/10.20878/cshr.2017.23.7.010. 

  17. Lee JH, Kim HJ, Jee YH, Jeon YJ and Kim HJ. 2020. Antioxidant potential of Sagassum horneri ethanol extract against urban particulate matter-induced oxidation. Food Sci Biotechnol. https://doi.org/10.1007/s10068-019-00729-y. 

  18. Lee NH. 2014. Natural products chemistry. Shinilbooks Co. Ltd., Seoul, Korea, 10-18. 

  19.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AR, Kim MJ, Moon JH, Kang HM, Lee HD, Hong YG and Ahn DH. 2008. Effect of extracts from Sargassum siliquastrum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90-496. https://doi.org/10.3746/jkfn.2008.37.4.490. 

  20. Lee YJ, Lim SY, Kim WS and Kim YT. (2016).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barley gruel containing Hizikia fusiformis. Korean J Fish Aquat Sci 49, 310-316. https://doi.org/10.5657/KFAS.2016.0310. 

  21. Lee SY, Ahn JW, Hwang HJ and Lee SB. 2011. Seaweed biomass resources in Korea.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6, 267-276. https://doi.org/10.7841/ksbbj.2011.26.4.267. 

  22. Na HS, Kim JY, Park JS, Choi GC, Yang SI, Lee JH, Cho JY and Ma SJ. 2014. Characteristics of marine algae extracts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 method. Korean J Food Preserv 21, 62-68. https://doi.org/10.11002/kjfp.2014.21.1.62. 

  23. Oh YJ and Choi KS. 2006. Effects of steam-dried Hizikia fusiformis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wet noodles. Cul Sci Hos Res 12, 206-221. 

  24. Park JD. 2016. Study on processing properties of convenience rice product with different rice. Food Sci Ind 49, 71-82. 

  25. Park JH, Kang KC, BaekSB, Lee YH and Lee KS. 1991.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56-261. 

  26. Sohn HY, Kwon CS, Son KH, Kwon GS, Kwon YS, Ryu HY and Kum EJ. 2005.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brands of rice. J Korean Food Sci Nutr 34, 593-598. https://doi.org/10.3746/jkfn.2005.34.5.593. 

  27. Shin ES, Lee JH, Park KT, Ryu HS and Jang DH. 2004. Optimizing cooking condition of short grain rice containing seatangle pat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26-1734. https://doi.org/10.3746/jkfn.2004.33.10.1726. 

  28. Sung HM, Seo YS and Yang EJ. 2018.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obtained from Geranium thusbergii using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 1006-1013. 

  29. Woo KS, Kim HJ, K MJ, Sim EY, Ko JY, Lee CK and Jeon YH. 2017.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ith various mixed grains in Korea. Korean J Crop Sci 62, 352-360. https://doi.org/10.7740/kjcs.2017.62.4.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