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형 직화식 커피 로스터 이용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a Small Directly Fired Coffee Roaster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30 no.2, 2020년, pp.236 - 248  

유다은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전공) ,  김승원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generated during coffee roasting and to study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s. Methods: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levels were investigated based on various factors to understand the emissio...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커피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입자의 발생 농도 및 입경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는 실시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로스팅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발생 수준과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요인에 따른 농도 차이 확인 및 배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향후 작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노출평가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로스팅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각 요인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차이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로스팅 시 발생하는미세먼지의 배출 특성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농도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커피 로스팅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농도를 평가하기 위해 로스팅 작업 시 발생 수준 및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농도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로스팅 작업 시 미세먼지의 발생 수준과 발생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생두의 원산지, 로스팅 레벨, 투입량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생두의 원산지마다 크기, 수분함량, 조밀도 등이 다르며 이에 따라 로스팅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도 존재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생두의 선정 방법은 우리나라에서 생두(아라비카 품종) 수입량이 가장 많은 국가1위부터 5위까지를 선택하여 해당 국가에서 재배하는여러 생두 중 한 가지를 선정하였다(Food InformationStatistics System, 2017).
  • 세 번째 조건은 생두의 투입량으로 투입한 생두의 양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의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투입량은 로스터의 적정 용량(200 g)을넘지 않도록 100 g, 150 g, 200 g으로 선정하였다.
  • 1단계에서 8단계로 갈수록 원두의 색상이 진해지며,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로스팅 레벨별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의 차이가 존재할것이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란 무엇인가? 커피는 배합, 로스팅, 분쇄, 추출과정을 통해 얻어지 며, 그중 로스팅 단계는 생두에 열을 가하여 생두 조직 을 최대한 팽창시킴으로써 생두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맛과 향을 표현해내는 것이다(Jeon, 2001; Nam et al., 2009).
로스팅 진행시보다 종료후의 PM10 질량농도가 높아지는 것의 원인은 무엇인가? 5의 질량농도가 조리 종료 후 15분 동안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한 연구결과와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그 이유는 원두를 배출할 때 많은 양의생두가 한꺼번에 배출되어 공기 중으로 확산되며, 조리종료 후에도 상당 기간 실내공간에서 부유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커피 제조과정 중 클리닝, 이물질 제거, 로 스팅, 냉각, 인스턴트 커피 건조 작업의 문제점은? , 2009). 커피 제조과정 중 클리닝, 이물질 제거, 로 스팅, 냉각, 인스턴트 커피 건조 작업은 입자상 물질, 휘 발성유기화합물, 유기산 및 연소 생성물과 같은 유해물 질의 발생원이다. 그중 커피 로스팅은 일반적으로 천연 가스를 이용하여 연소하기 때문에 일산화탄소 및 이산 화탄소 배출 또한 예상된다(EPA,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guilar PR, Michelson AP, Isakow WND. Obliterative bronchiolitis. Transplantation 2016; 100: 272-283, https://doi.org/10.1097/TP.0000000000000892 

  2. Baik HJ, Ko YS. Studies on the aroma components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6; 28(1):15-18 (Korean) 

  3. Balasubramanian R, Lee SS. Characteristics of indoor aerosols in residential homes in urban locations: a case study in Singapore. J Air Waste Manage 2007; 57: 981-990, https://doi.org/10.3155/1047-3289.57.8.981 

  4. Brook RD, Rajagopalan S, Pope III CA, Brook JR, Bhatnager A, et al.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10; 121: 2331-2378, https://doi.org/10.1161/CIR.0b013e3181dbece1 

  5. Buonanno G, Morawska L, Stablie L. Particle emission factors during cooking activities. Atmos Environ 2009; 43: 3235-3242,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9.03.044 

  6. Dennekamp M, Howarth S, Dick CAJ, Cherrie JW, Donaldson K, et al.. Ultrafine particles and nitrogen oxides generated by gas and electric cooking. Occup Environ Med 2001; 58: 511-516, https://doi.org/10.1136/oem.58.8.511 

  7.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mission factor documentation for AP-42 Section 9.13.2. Coffee Roasting Final Report. 1995. https://www3.epa.gov/ttnchie1/ap42/ch09/final/c9s13-2.pdf [accessed 22 March 2019]. 

  8.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M2.5 Objectives and history. region 4: laboratory and field operations-PM2.5. 2008. 

  9. Fluckiger B, Seifert M, Koller T, Monm C. Air quality measurements in a model kitchen using gas and electric stoves. Proceedings of Healthy Buildings 2000; 1: 567-72. 

  10.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16 processed food segment market status - coffee market. [Accessed 2019 August 12]; Available form: URL:https://www.atfis.or.kr/article/M001050000/view.do?articleId2511&boardId3&page7&searchKey&searchString&searchCategory 

  11. Gong SY, Bae HJ, Hong SP, Park HY. A study on the health impact and management policy of PM2.5 in Korea. Seou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 p. 3-5 (Korean) 

  12. Hussein T, Glytsos T, Ondracek J, Dohanyosova P, Zdimal V, et al. Particle size characterization and emission rates during indoor activities in a house. Atmos Environ 2006; 40: 4285-4307,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6.03.053 

  13. International Agency for Reasearch on Cancer. IARC: Outdoor air pollution a leading environmental cause of cancer deaths. 2013. Press release No.221, https://www.iarc.fr/wp-content/uploads/2018/07/pr221_E.pdf [accessed 9 December 2019]. 

  14.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trade statistics tables: world coffee consumption. 2019. http://www.ico.org/trade_statistics.asp?sectionStatistics [accessed 9 July 2019]. 

  15. Jeon GS. Coffee Roasting by Jeon GS. Seoul: Ivy Line. 2013 (Korean) 

  16. Jin YH, Ryu JW.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coffee through mediating customer satisfaction on revisit intentions -focused on college students who have used coffee houses. J Food Serv Manage 2012;15(4):321-342 (Korean) 

  17. Jo HJ, Park SW, Lee HI, Lee SW. Health effects caused by particulate matter and guidelines for health care. Public Health Weekly Report, PHWR. 2018; 11(15): 458-462 (Korean) 

  18. Kearney J, Wallace L, MacNeil M, Xu X, VanRyswyk K, et al. Residential indoor and outdoor ultrafine particles in Windsor, Ontario. Atoms Environ 2011; 45: 7583-7593, https://doi.org/10.1016/j.atmosenv.2010.11.002 

  19. Keil C, Kassa H, Brown A, Kumie A, Tefera W. Inhalation exposures to particulate matter and carbon monoxide during Ethiopian coffee ceremonies in Addis Ababa: a pilot study. J Environ Public Hlth, 2010, https://doi.org/10.1155/2010/213960 

  20. Kim SE, Jong Kim JH, Lee SW, Lee MJ. A study of roasting conditions on benzo[a]pyrene content in coffee 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1): 134-138 (Korean) 

  21. Kim SH, Kim JS.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attributes of brewed coffee as affected by roasting conditions.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7; 23(5):1-11 (Korean) 

  22. Kim SM, Lee IH, Lee KB, Kim JS, Kwon MH. Diameters analyses of fine particles emitted when mackerels cooked.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7; 33(4): 361-369 (Korean) 

  23. Korea Customs Service. Coffee imports, annually record high. [Registered on 2017.06.05.] [Accessed 2019 August 5]; Available from: URL:https://www.customs.go.kr/kcs/na/ntt/selectNttList.do?mi2891&bbsId1362 

  24. Kwon WT, Lee WS.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pollutants in the cooking chamber.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6; 22(8): 149-156 (Korean) 

  25. Lee BJ, Park SS. Evaluati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from online light scattering dust monitors using gravimetric and Beta-ray absorption method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9; 35(3): 357-369 (Korean) 

  26. Lee JB, Kim HJ, Jung K, Kim S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under-fired charbroiling cooking process using the hood method. J Env Hlth Sci 2009; 35(4):315-321 (Korean) 

  27. Lee KT. A study on attribute differences in selection of coffee specialty hoses as per community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of Korea, Seoul. 2012. 

  28. Lee MG, Jeong MJ, Kang MJ.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particulate matter(PM2.5) emission on cooking condition. JCCT 2017; 4(1):325-329 (Korean) 

  29. Lee YG.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multi-unit housing-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asures of fine dust (PM10, PM2.5) generated during kitchen cooking in multi-unit housing. Air Cleaning Technology 2016; 29(1): 19-31 (Korean) 

  30. Lim JH, Jang YG, Choi SJ, Kim PS, Han YH, et al. Air pollutant emission measurement of coffee roaster. Proceedings of Meeting of KOSAE, Daegu. 2017. p. 168 (Korean) 

  31. Massey D, Kulshrestha A, Masih J, Taneja A. Seasonal trends of PM10, PM5.0, PM2.5 & PM10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of residential homes located in northcentral India. Build and Environment. 2012; 47: 223-231, https://doi.org/10.1016/j.buildenv.2011.07.018 

  32. Nam HJ, Seo IW, Shin HS. Influence of roasting conditions o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contents in ground coffee 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9; 41(4):362-368 (Korean) 

  33. Yoon EJ, Kang MJ, Kim JJ, Juu HW, Kim SW. Changes of Airborne Hazard Concentrations during Coffee Bean Roasting.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Fall Conference. 2018. (Korean) 

  34. Wallace L, Ott W. Personal exposure to ultrafine particles. J Exp Sci Environ Epid 2011; 21: 20-30, https://doi.org/10.1038/jes.2009.59 

  35. Wallace L, Wang F, Howard-Reed C, Persily A. Contribution of gas and electric stoves to residential ultrafine particles concentrations between 2 and 64nm: size distributions and emission and coagulation rate. Environ Sci Technol 2008; 42(23): 8641-8647, https://doi.org/10.1021/es801402v 

  36. Wan PM, Wu LC, To SGN, Chan TC, Chao CYH. Ultrafine particles, and PM2.5 generated from cooking in homes. Atmos Environ 2011; 34: 6141-48, https://doi.org/10.1016/j.atmosenv.2011.08.036 

  37. Wang L, Xiang Z, Stevanovic S, Ristovski Z, Salimi F, et al. Role of chinese cooking emissions on ambient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Sci Total Environ 2017; 589: 173-181,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7.02.124 

  38. Wheeler AJ, Wallace LA, Kearney J, Van RR, You H, et al. Personal,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of fine and ultrafine particles using continuous monitors in multiple residences. Aerosol Sci Technol 2010; 45: 1078-1089, https://doi.org/10.1080/02786826.2011.580798 

  39. Woo IH, Park MY. Coffee & Barista. Seoul; Gyomoon Press.; 2014. (Korean) 

  40. World Health Organization. Air quality guidelines for Europe, second ed. WHO regional publication, Europe series. 2000. No.91. 

  41. Zhang Q, Gangupomu RH, Ramirez D, Zhu Y. Measurement of ultrfine particles and other air pollutants emitted by cooking activities. Environ Res Public Hlth 2010; 7: 1744-1759, https://doi.org/10.3390/ijerph7041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