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도의 불면환자를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Liuwei Dihuang decoction)과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Huanglian Jiedu Decoction) 병용 투여 및 배수혈 전침치료로 호전시킨 1례 : 증례보고
A Patient with Moderate Insomnia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Yukmijihwang-tang (Liuwei Dihuang tang), Hwangryunhaedok-tang (Huanglian Jiedu tang), and Electroacupuncture: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3, 2020년, pp.494 - 501  

노민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이지현 (목동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전형선 (목동동신한방병원 침구과) ,  한양희 (목동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  김현호 (목동동신한방병원 침구과) ,  임정태 (목동동신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somnia is a common condition that causes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function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Insomnia is experienced by more than one-third of the population of the world. Although sleeping pills are currently used as therapeutic a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30 mm 규격의 일회용 stainless steel을 사용하였다. 뜸 및 부항치료는 두통, 경추통 및 견배통에 대하여 통증 완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Fig. 2).
  •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증례는 외래치료 기반으로 불면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 4주 동안의 六味地黃湯 과립제(한풍제약) 合 黃連解毒湯 과립 제(한풍제약)와 전침치료를 활용하였으며 수면 다이어리,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 ISI(Insomnia Severity Index, 불면증 심각도 지수)와 수면시간 및 환자의 관점으로 평가하였으며 한 달이라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호전을 보여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면을 치료하기 위한 표준치료법 중 약물치료의 특징은? 불면을 치료하기 위한 표준치료법으로는 비약물치료와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면제의 대부분은 단기복용에 대한 치료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장기복용 시의 효과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작용의 위험이 크며 장기간 약물 치료의 위험성 보고는 더 늘어나고 있다. 비약물치료의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CBT-I)가 미국과 유럽의 수면의학회 지침 상 강력히 권고되는 치료로 자극조절, 수면 제한, 이완 요법, 역설적 의도, 수면 위생 교육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한다.
불면을 치료하기 위한 표준치료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불면을 치료하기 위한 표준치료법으로는 비약물치료와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면제의 대부분은 단기복용에 대한 치료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장기복용 시의 효과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작용의 위험이 크며 장기간 약물 치료의 위험성 보고는 더 늘어나고 있다.
CBT-I의 한계점은? 비약물치료의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insomnia, CBT-I)가 미국과 유럽의 수면의학회 지침 상 강력히 권고되는 치료로 자극조절, 수면 제한, 이완 요법, 역설적 의도, 수면 위생 교육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한다. CBT-I는 약물보다 효과가 느리고, 주기적으로 치료자를 만나서 진행되므로 환자의 노력이 필요하며 시간과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탈락율이 높다는 한계점이 있다4. 이에 한약5,6, 침7, 기공8 등의 한의치료도 불면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 2013. 

  2. Son JS, Kim ES, Bae IS, Jung SH. A Case Report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an Insomnia Patient Taking Zolpidem.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6;37(5):750-4. 

  3. Kim GY, Park JI, Ko H, Kim KT, Shin SM. A Case Report of an Insomnia Patient Treated with Gamiguibi-tang.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6;37(5):822-30. 

  4. Kim SJ. Recent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somnia Disorder. J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20;59(1):2-12. 

  5. Fan X, Su Z, Nie S, Yang J, Zhang X, Tan D,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Chinese herbal medicine Long Dan Xie Gan Tang in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ine (Baltimore). 2020;99(11):e19410. doi:10.1097/MD.0000000000019410 

  6. Chen F, Chen G, Chen Z, Zhang Z, Zhang P, Luo D, et al. Guizhi Gancao Longgu Muli decoction for insomnia: 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Medicine (Baltimore). 2020; 99(9):e19198. doi:10.1097/MD.0000000000019198 

  7. Hayhoe S. Insomnia: can acupuncture help? Pain Manag 2017;7(1):49-57. doi:10.2217/pmt-2016-0025 

  8. Lee MS, Hong SS, Lim HJ, Kim HJ, Woo WH, Moon SR. Retrospective Survey on Therapeutic Efficacy of Qigong in Korea. Am J Chin Med 2003;31(05):809-15. doi:10.1142/S0192415X03001442 

  9. Hong SM, Hwang MW. Three Case Study of Primary Insomnia Patient Diagnosed with Cold - related Diarrhea Accompanied by Abdominal Pain. J Sasang Constitut Med 2016;28(4):350-60. doi:10.7730/JSCM.2016.28.4.350 

  10. Kim DH, Lee YC, Kim BK. A Case Report of Chronic Insomnia Diagnosed Blood Stasis.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7;28(2):137-43. 

  11.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of Clinical Neurology 2014;10(3):210-5. doi:10.3988/jcn.2014.10.3.210 

  12. Chu MK, Im HJ, Ju YS, Kim JY, Kim YJ, Yu KH,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Korean Headache Impact Test-6 (HIT-6).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9;27(1):1-6. 

  13. Smelt AF, Assendelft WJ, Terwee CB, Ferrari MD, Blom JW. What is a clinically relevant change on the HIT-6 questionnaire? An estimation in a primary-care population of migraine patients. Cephalalgia 2014;34(1):29-36. 

  14. Yoon JC, Jung IC, Lee SR. The treatment of insomnia through stabilit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Journal of Haehwa Medicine 2009;18(2):141-5. 

  15. Huang ST, Chen GY, Lo HM, Lin JG, Lee YS, Kuo CD. Increase in the vagal modulation by acupuncture at neiguan point in the healthy subjects.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05;33(01):157-64. 

  16. Hsu CC, Weng CS, Liu TS, Tsai YS, Chang YH. Effects of electrical acupuncture on acupoint BL15 evaluated in terms of heart rate variability, pulse rate variability and skin conductance response.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06;34(01):23-36. 

  17. Hsu CC, Weng CS, Sun MF, Shyu LY, Hu WC, Chang YH. Evaluation of scalp and auricular acupuncture on EEG, HRV, and PRV. The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07;35(02):219-30. 

  18. Chang HH, Yi PL, Cheng CH, Lu CY, Hsiao YT, Tsai YF, et al. Biphasic effects of baicalin, an active constituen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in the spontaneous sleep-wake regulatio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1;135(2):359-68. 

  19. Kuratsune H, Umigai N, Takeno R, Kajimoto Y, Nakano T. Effect of crocetin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on sleep: a pilot study. Phytomedicine 2010;17(11):8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