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 분석
Analysis of Media Literacy Content Reflecte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2, 2020년, pp.99 - 115  

심재영 (부일중학교) ,  최새은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 교과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기술·가정 2' 교과서 12종의 학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 목표'를 선택한 후, 빈도 및 내용 분석 및 세 번의 협의를 통해 미디어 자료의 분포와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 목표'의 반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종 교과서의 전체 학습자료 중 미디어자료를 이용한 학습자료는 39.6%를 차지하였고 출판사별로 미디어자료를 이용한 학습자료의 빈도와 비중에서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서는 '인쇄' 68.3%, '영상' 16.7%, '디지털' 13.5%로 분포하였고, 단방향 미디어의 사용은 86.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출판사별로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가 반영된 학습자료의 빈도와 비중에서 차이가 있었고 총체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학습내용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학습자료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 중 '의미 이해와 전달'은 58.8%로 가장 많이 반영된 수행목표였지만 미디어를 통한 쌍방향 소통은 부재하였다. 이러한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를 수정하여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의미 이해와 자기표현', '소통과 사회참여', '책임있는 미디어 이용', '감상과 향유', '미디어 기술 활용', '정보 검색과 선택', '창작과 제작', '비판적 이해와 평가'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의 가정 수업에서 가정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를 학습요소로 반영하여 가정과 교육에서 융합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is purpose, 12 kinds = types of learning materials for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2' textbooks were analyzed. After selecting 'Media Literacy Performanc...

주제어

참고문헌 (28)

  1. Ahn, J. I. (2010). Key issues of social network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media literacy. Journal of Women's Studies, 25, 91-112. 

  2. Buckingham, D. (2004).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S. J. Gi & A. M. Kim, Trans.). Seoul: jNBook.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3. Cho, N. M. (2018). A study on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ritical cognition and self-expression abil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6), 195-215. 

  4. Hobbs, R. (2016). Literacy: Understanding media and how they work. What Society Needs from Media in the Age of Digital Communication, 21, 131-160. 

  5. Hong, Y. J., & Kim, Y. E. (2013). 미디어 리터러시 국내 외 동향 및 정책방향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and policy directions for media literacy]. KOCCA Focus, 67, 1-27. 

  6. Hwang, C. S., & Park, J. S. (2014).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과 21세기 핵심역량 연구서 2014-08 [Youth media use and 21st century core competency study 2014-08]. Korea Press Foundation. 

  7. Jenkins, H., & Deuze, M. (2008). Editorial: Convergence culture. Converge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to New Media Technologies, 14(1), 5-12. doi:10.1177/1354856507084415. 

  8. Jeon, G. R. (2015).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Understanding media literacy]. Seoul: CommunicationBooks. 

  9. Jeong, H. S., & Kim, A. M. (2017). 현장 교.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인식 조사 [Investigating media literacy awareness of field teachers and lecturers]. Retrieved from https://dadoc.or.kr/2521 

  10. Jeong, H. S., Kim, A. M., Park, Y. S., Jeon, G. R., Lee, J. S., & Noh, J. Y. (2016). Media literacy as 21st century key competence: Systematizing media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211-238. doi:10.22251/jlcci.2016.16.11.211 

  11. Jeong, H. S., Park, Y. S., Jeon, G. R., Park, H. C., Lee, J. S., Noh, J. Y., & Lee, H. S. (2015). 미디어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실수업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improve classroom instruction to improve media literacy]. Ministry of Education, 2015-12. 

  12. Kim, S. H.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media liter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Y. E. (2009).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Media literacy in the digital age]. Seoul: CommunicationBooks. 

  14. Korea Press Foundation. (2016). 2016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 조사분석 2016-01 [2016 teenage media use survey: Survey analysis 2016-01], Seoul: Author. 

  15. Laster, J. F. (2008). Nurturing critical literacy through prac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50(4), 261-271. 

  16. Leadbeater, C. (2009). We-think: Mass innovation, not mass production. (S. H. Lee, Trans.). Paju: 21st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17. Lee, D. H. (2017, March 29). Z세대는 TV대신 유튜브를 본다 [Generation Z sees YouTube instead of TV]. Digitaldaily. Retrieved from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54364 

  18. Lee, M. K., Seo, J. Y., Lee, K. H., Cho, S. M., Kim, K. C., Yu, C. W.,...Yoon, K. J. (2018). A Study on content curriculum mapping of Korea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RRC 2018-12). Sejo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9. Min, Y. (2011).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Internet use and digital divide: Focusing on access, literacy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48(1), 150-187. 

  20. NAMLE (n.d.). Media literacy defined. Retrieved from https://namle.net/publications/media-literacy-definitions/ 

  21. Ofcom (2008, December, 19). Review of Ofcom's media literacy programme 2004-08. Retrieved from https://www.ofcom.org.uk/research-and-data/media-literacy-research/adults/review0408 

  22. Potter, W. J. (2016). Media literacy. (D. H. Kim & Y. G. Im, Trans.). Seoul: SOTO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23. Schmidt, H. (2012). Media literacy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 Journal of Effective Teaching, 12(1), 64-77. 

  24. Shim, S. M. (2003). A study on the ststus and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which is accepted into Korean education: Within in the secondary school Korean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25. Sugaya, A. (2001). Media literacy. (H. R. An & M. L. An, Trans.). Seoul: Communication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26. UNESCO (n.d.).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Retrieved from http://www.unesco.org/new/en/communication-and-information/media-development/media-literacy/mil-as-composite-concept/ 

  27. Yang, J. A. (2017). "미디어교육"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Public awareness survey on "media education"] Media Issue, 3(9). Retrieved from http://www.kpf.or.kr/site/kpf/research/selectMediaPdsView.do?seq574253 

  28. Yoo, T. M., & Lee, S. H. (2010). Practical problem orient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Seongnam: Book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