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 환경에서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
Key Factors Influenc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149 - 156  

김병수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사용자들의 이용과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자기 표현, 관계 형성, 정보 검색을 SNS의 주요 사용 욕구로 정의하였다. 이 사용 욕구들은 사용자 만족, 주관적 행복, 정보 게시 행동을 통해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페이스북 사용자 199명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자기 표현과 정보 검색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관계 형성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용자 만족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직접적으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행복은 정보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정보 게시 행동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 증진의 핵심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대한 학문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ey factors affect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NS. Based on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self-presentation, relationship formation and information searching were identified as the main needs of SNS usage. These needs were expected to influence 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이 정보 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독서, 운동, 영화 등 취미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오프라인 모임을 만들어 주기적으로 소셜 모임을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6-8].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SNS 서비스에 대한 사용 욕구와 정보 게시 행태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는 주관적 행복 수준이 높으면 부담 없이 친구들과 SNS로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행복이 SNS 사용으로 외로움이나 질투보다는 온라인 관계 친밀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다양한 연령과 지역의 패널을 확보하고 있는 온라인 설문 업체에 의뢰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패널들에게 SNS 관련 설문 메일을 보냈고, 페이스북 사용 경험이 있는 패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세 가지 욕구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이 정보 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미치는 동적인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관계 친밀도의 선행 요인들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용자들이 SNS 사용을 통한 욕구 충족이 주관적 행복이나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SNS가 사람들 간 관계 단절을 야기하는지 관계 친밀도를 증가시키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사용자들의 이용과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자기 표현, 관계 형성, 정보 검색이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11] 연구에서는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서도 SNS의 세 가지 사용 욕구들이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Ifinedo[1] 연구에서도 SNS 의 정보 검색 기능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함으로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SNS를 통한 정보 검색이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을 증진하는데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 여러 SNS 연구에서는 SNS는 기존 지인들과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온라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 형성이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SNS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를 증진하고 강화할 수 있다면, 삶에 대한 행복감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SNS에 대한 만족도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20].
  •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SNS 사용 욕구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자기 표현, 관계 형성, 정보 검색을 주요 SNS 사용 욕구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과 충족 이론을 기반으로 세 가지 욕구가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 만족과 주관적 행복이 정보 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미치는 동적인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SNS 사용자들의 온라인 관계 친밀도의 선행 요인들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가설 설정

  • H1a: 자기 표현은 사용자 만족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1b: 자기 표현은 주관적 행복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2a: 관계 형성은 사용자 만족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2b: 관계 형성은 주관적 행복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3a: 정보 검색은 사용자 만족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3b: 정보 검색은 주관적 행복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4a: 사용자 만족은 정보 게시 행동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4b: 사용자 만족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5a: 주관적 행복은 정보 게시 행동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5b: 주관적 행복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6: 정보 게시 행동은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양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SNS 지속 사용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용과 충족 이론(use and gratification theory)을 기반으로 SNS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혜택들이나 해결할 수 있는 욕구들을 고려하고 있다 [1,6,10]. 이용과 충족 이론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욕구 충족을 위해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선택함을 가정한다 [6,10].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 욕구로 세 가지를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무엇인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s)는 사람들이 계정을 만들어 다른 사용자들과 소통하거나 글 또는 사진을 게시하는 서비스이다[1]. WIFI, 5G 등 모바일 네트워크의 발달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나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다양한 컨텐츠들을 즐길 수가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2].
사용자 만족은 정보 게시 행동과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사용자 만족은 정보 게시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온라인 관계 친밀도를 형성하는 핵심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가 특정 욕구를 만족시켜주면 온라인 상에서 지인들과의 친밀도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삶에 대해 만족하고 행복하다고 느낄수록 SNS의 게시량이나 게시횟수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삶에 대해 만족하고 행복하다고 느낄수록 SNS의 게시량이나 게시횟수가 증가할 것이다. 이는 주관적 행복 수준이 높으면 부담 없이 친구들과 SNS로 소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행복이 SNS 사용으로 외로움이나 질투보다는 온라인 관계 친밀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P. Ifinedo. (2016). Applying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social influence processes to understand students' pervasive adoption of social networking sites: Perspectives from the America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6, 192-206. 

  2. H. H. Shin & K. R. Kim. (2017).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usage according to morphological evolution of SNS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use of Facebook and Instagra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161-168. 

  3. J. Min & B. Kim. (2015). How are people enticed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despite privacy concerns in social network sites? The calculus between benefit and cost.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6(4), 839-857. 

  4. 10 Instagram Stats Every Marketer Should Know in 2020, https://www.oberlo.com/blog/ instagram-stats-every-marketer-should-know 

  5. KISDI (2020). KISDI STAT Report 20-01 2019, Korea Media Panel Study. http://m.kisdi.re.kr/mobile/repo/stat_view.m?key114669&selectPage 

  6. C. M. Chiu, H. L. Cheung, H. Y. Huang & C. F. Chen. (2013). Exploring individuals' subjective well-being and loyalty towards social network sites from the perspective of network externalities: The Facebook cas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3(3), 539-552. 

  7. K. Ishii. (2017). Online communication with strong tie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Japa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6, 129-137. 

  8. J. L. Wang, L. A. Jackson, J. Gaskin & H. Z. Wang. (2014).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ing Site (SNS) use on college students' friendship and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7, 229-236. 

  9. O. Korhan & M. Ersoy. (2016). Usability and functionality factors of the social network site application users from the perspective of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Quality & Quantity, 50, 1799-1816. 

  10. A. Malik, A. Dhir & M. Nieminen. (2016). Uses and gratifications of digital photo sharing on Facebook. Telematics and Informatics, 33(1), 129-138. 

  11. J. Y. Kim, M. Chung & K. M. Ahn. (2014). Why people u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 Korea: The mediating role of self-disclosure on subjective well-being. Information Development, 30(2), 276-287. 

  12. R. Lin & S. Utz. (2017). Self-disclosure on SNS: Do disclosure intimacy and narrativity influence interpersonal closeness and social attra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0, 426-436. 

  13. N. Park, B. Jin & S. A. A. Jin. (2011).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relational intimacy in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1947-1983. 

  14. A. Meier & S. Schafer. (2018). The positive side of social comparison on social network sites: How envy can drive inspiration on Instagram.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1(7), 411-417. 

  15. B. S. Kim & D. K. Kim. (2015). A study on antecedents of SNS user's addiction in the age of convergence: The role of SNS habi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161-168. 

  16. S. H. Lee. (2014). The relation of addiction and sustainable use of social media ser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273-280. 

  17. T. Dienlin, P. K. Masur & S. Trepte. (2017). Reinforcement or displacement? The reciprocity of FTF, IM, and SNS communication and their effects o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2(2), 71-87. 

  18. S. Lee, Y. Choi & H. Lee. (2019). The 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epression by gender: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ident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comparis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8), 205-215. 

  19. C. J. B. Neira & B. L. Barber. (2014). Social networking site use: Linked to adolescents' soci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depressed mood.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6(1), 56-64. 

  20. H. S. Chiang. (2013). Continuous usage of social networking sites -The effect of innovation and gratification attributes. Online Information Review, 37(6), 851-871. 

  21. Y. C. Ku, R. Chen & H. Zhang. (2013). Why do users continue using social networking sites? An exploratory study of members in the United States and Taiwan. Information & Management, 50(7), 571-581. 

  22. J. Min. (2016). Personal information concerns and provision in social network sites: Interplay between secure preservation and true present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7(1), 26-42 

  23. B. Kim & D. Kim. (2019). Antecedents of users' intentions to giv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ivacy-related information in social med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1), 127-136. 

  24. S. Grasmuck, J. Martin & S. Zhao. (2009). Ethno-racial identity displays on Facebook.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5(1), 158-188. 

  25. J. Phua, S. V. Jin & J. J. Kim. (2017). Uses and gratifications of social networking sites for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A comparison of Facebook, Twitter, Instagram, and Snapcha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2, 115-122. 

  26. H. Jin, G. Li, S. T. Park & J. Zhu. (2017). The eff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in wireless mobile SNS: Using SEM analysis.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s, 93, 81-96. 

  27. A. Al-Rawi. (2019). Gatekeeping fake news discourses on mainstream media versus social media.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7(6), 687-704. 

  28. R. E. Anderson. (1973). Consumer dissatisfaction: The effect of disconfirmed expectancy on perceived product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 38-44. 

  29. P. K. Hellier, G. M. Geursen, R. A. Carr & J. A. Rickard. (2003).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A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7(11-12), 1762-1800. 

  30. S. J. Yoon (2014). Does social capital affect SNS usage? A look at the role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ident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1, 295-303. 

  31. J. F. Hair, M. S. Sarstedt, C. M. Ringle & J. A. Mena. (2012). An assessment of the use of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rketing research.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40(3), 414-433. 

  32.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val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33.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 W. C. Black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5th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