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nxious Attachment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Self-Absorp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255 - 263  

김은영 (경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이지은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애착불안이 우울을 완전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Hazan과 Shaver의 주장을 근거로 애착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국내외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재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고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애착불안이 지각단계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자기몰입이라는 비-적응적인 지각과정을 통해 우울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과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과 인지적인 매개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의 여러 가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과의 상관관계와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notion that anxious attachment may not explain depression fully, there has been abundant studies investigating the mediating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was no previous stud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bso...

Keyword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우리는 정신적인 ‘과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 중 애착불안을 형성한 대학생들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표상을 가지게 되어 우울에 취약하게 됨을 살펴보았다.
  • 실제로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성인 애착 불안이 자신의 표상이 긍정적인 애착회피보다 대학생의 우울감과 더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11-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 성인애착 중 자신과 타인의 표상이 부정적이고, 상대적으로 우울에 더 취약한 애착불안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지금까지 우리는 정신적인 ‘과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 중 애착불안을 형성한 대학생들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표상을 가지게 되어 우울에 취약하게 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애착불안이 부적응적인 인지적 대처 양식 (자기몰입)을 예측하고 강화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불안정 애착 이외에도 우울의 생성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으로 인지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 하지만 사고과정이 아닌 지각과정의 특질인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애착불안과 우울간의 관계의 맥락에서 따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애착불안이 높은 성인이 부정적인 자기표상에 몰두하는 지각과정의 특성을 감안하고 그러한 인지적 특성이 우울을 높이는 중요한 잠재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기존의 주장 [24-27]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비적응적인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부적응적인 사고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각과정의 특질인 자기몰입[24]이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봄으로써 애착불안을 가진 성인이 어떻게 인지적인 경직성을 가지게 되어 우울에취약하게 되는지에 대한 과정을 더욱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애착불안이 높은 성인이 부정적인 자기표상에 몰두하는 지각과정의 특성을 감안하고 그러한 인지적 특성이 우울을 높이는 중요한 잠재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기존의 주장 [24-27]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비적응적인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부적응적인 사고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각과정의 특질인 자기몰입[24]이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봄으로써 애착불안을 가진 성인이 어떻게 인지적인 경직성을 가지게 되어 우울에취약하게 되는지에 대한 과정을 더욱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의 가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둘째, 높은 성인 애착불안을 가진 대학생은 높은 수준의 자기몰입을 보고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 발병률이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인 애착불안과 자기몰입, 우울변인들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성인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매개효과 여부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 본 연구 결과가 갖는 함의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련한 부분에 시사되는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인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를 살펴봤을 뿐만 아니라 성인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인 자기몰입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로 대학생의 우울 증가폭이 그 어느 연령층보다 높기 때문에 대학생의 우울을 예방하고, 선제적으로 개입하며 시기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울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가설 설정

  • 첫째, 높은 성인 애착불안을 가진 대학생은 높은 수준의 우울을 경험할 것이다.
  • 셋째, 자기몰입은 성인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연구된 애착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애착불안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결과들도 있지만 애착불안이 우울을 완전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Hazan과 Shaver[28]의 주장을 시작으로 애착불안과 우울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국내외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지금까지 진행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부적응적인 완벽주의[29], 정서조절전략[30]. 경험적 회피[14], 비관성[31], 반추[15,18], 자기용서[32]. 공동의존성[33]등의 요인들이 성인불안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실질적으로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없지만 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몰입과 연관성을 가진 인지적 요인인 비적응적 반추[15]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를 통하여 자기몰입이 애착불안과 우울을 매개할 것 이라는 것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대학생에게 불안정한 애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취업 스트레스 외에도 입시 중심의 계획된 환경에 익숙해져서 자신과 외부세계에 대해 숙고해볼 시간이 없었던 한국 청소년들은 대학생이 되어서 자신에 대한 정체성, 대인관계, 직업관 등을 스스로 재정립해나가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5]. 이런 시기에는 어린 시절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대학생의 경우 부정적인 내적 작동 모형으로 인해 대인관계나 학업에서 쉽게 좌절감과 무력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우울한 감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6]. 불안정애착은 크게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두 가지 차원으로 나뉘는데, 기존연구에 따르면 이중 애착불안이 불안,중독, 우울 등과 같은 정신병리와 관련이 깊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7-10].
자기몰입이란 무엇인가? Ingram[21]은 자기초점주의의 메타분석 연구에서 적응적인 자기초점주의와 비적응적인 자기초점주의를 구분하였는데 후자를 자기몰입으로 명명하였다. 자기몰입이란 자신의 내적인 면 중 부정적인 일부분에 지나치게 몰두하여 외부세계나 자신의 내적인 다른 부분으로 주의를 돌리는데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 심리적인 경직성을 말한다. 애착불안의 특성이 부정적인 감정을 반추하고 극대화시켜 반응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애착불안을 가진 성인은 비적응적인 자기초점주의인 자기몰입에 취약해지기 쉬울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2020). National Disease Statistics 

  2. S. J. Oh. (2019. 12.15). Young adults in 20s struggling with debts due to high living expanses and college registration fee.. 90,000 young adults suffer from depression Seoul Newspaper. p.10. 

  3. M. J. Kim & J. Y. Lee. (2019).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NS Belief in Emotional Express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6), 39-55. DOI:10.22251/jlcci.2019.19.16.39 

  4. M. H. Kim. (2019. 6. 6). Clinical Depression rate rapidly increased among young adults in 20s: 87% increase in past 6 years. The Korean Times. p.11 

  5. E. J. Sim, E. Y. Kim. B. S. Byun. M. J. Suk & H K. Choi. (2013). Psychology Workbook for 20s. Seoul:SSU Press. 

  6. G. C. Armsden & M. T. Grenberg.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DOI: 10.1007/bf02202939 

  7. M. Mikulincer, P. R. Shaver & D. Pereg. (2003). Attachment theory and affect regulation: The dynamics,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 sequences of attachment-related strategies. Motivation and Emotion, 27(2), 7-102. 

  8. J. R. Kim & E. H. Lee. (2007).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Insecure Attachments on Their Depression and the Behavior Problems in Their Children: The Mediating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Marital Conflic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19(2), 297-319. 

  9. J. Y. Lee & K. H. Lee. (2014). The Influence of Insecure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Distress on Relationship Addiction: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upport-seeking Emotion Regulation Sty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26(1), 65-95. 

  10. H. J. Choi & J. M. Kim. (2011).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Representation and Others Repres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 201-222. 

  11. B. L. Hankin, J. D. Kassel & J. R. Abela. (2005). Adult attachment dimensions and specificity of emotional distress symptoms: Prospective investigations of cognitive risk and interpersonal stress generation as mediating mechanism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1(1), 136-151. DOI: 10.1177/0146167204271324 

  12. F. G. Lopez & A. F.­Scheyd. (2008). Role balance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oderating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1(2), 133-146. DOI: 10.1002/j.2161-1882.2008.tb00030.x 

  13. M. Wei, D. W. Russell & R. A. Zakalik. (2005). Adult attachment, social self-efficacy, self-disclosure, loneliness, and subsequent depression for freshman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4), 602. DOI: 10.1037/0022-0167.52.4.602 

  14. E. Y. Kim & J. E. Lee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6(3), 345-358. DOI: 10.15703/kjc.16.3.201506.345 

  15. B. J. Kim & K. J. Oh. (2009). Exploration of Mediator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ve Mood in college students: Brooding and Emotion Suppression. The Korea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3), 357-375. DOI: 10.16983/kjsp.2009.6.3.357 

  16. H. J. Kim & J. Y. Lee.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nger expression o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Journal of Counseling, 12(3), 965-981. DOI: 10.15703/kjc.12.3.201106.965 

  17. J. Y. Lee & H. C. Choi. (2012). Hope As a Mediator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13(2), 819-838. DOI: doi.org/10.15703/kjc.13.2.201204.819 

  18. Y. K. Han & N. N. Shin. (2019).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 Sample of Under graduate Students: The Mediating Roles of Rumination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6, 91-110. DOI: 10.15284/kjhd.2019.26.1.91 

  19. H. Y. Hong & M. S. Lee.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ompassion. Korean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5(4), 101-113. 

  20. H. S. Im & H. Y. Hong. (2017). Th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Codependency - Korean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5(2), 31-42. 

  21. R. E. Ingram. (1990).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 156-176. 

  22. H. W. Kim & J. Y. Lee. (2018). Th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Emotion Dysregulation - Focusing on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Anger Suppression.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 34(2), 233-267. DOI: 10.16935/ejss.2018.34.2.008 

  23. A. R. Kim, J. M. Kim & K. A. Song. (2017).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Moder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7(4), 575-595. 

  24. S. J. Ryu & H. J. Cho. (2017). The Impact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umination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3), 339-350. 

  25. S. M. Ham & M. H. Hyun.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Blame Moderated by Ruminative Response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3(4), 225-235. DOI: 10.17547/kjsr.2015.23.4.225 

  26. R. E. Ingram & K. Wisnicki. (1999). Situational specificity of self-focused attention in dysphoric stat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3(6), 625-636. 

  27. I. H. Yi. (2008). Adaptive and Maladaptive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633-651. DOI: 10.15842/kjcp.2008.27.3.004 

  28. C. Hazan & P. Shaver.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3), 511-524. DOI: 10.4324/9781351153683-17 

  29. M. Wei, B. Mallinckrodt, D. W. Russell & W. T. Abraham. (2004). Maladaptive Perfectionism as a Mediator and Moderator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ve Moo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2), 201-212. DOI: 10.1037/0022-0167.51.2.201 

  30. G. A. Tasca, L. Szadkowski, V. Illing, A. Trinneer, R. Grenon, N. Demidenko & H. Bissada. (2009). Adult attachment, depression,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The mediating role of affect regulation strategi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7(6), 662-667. DOI: 10.1016/j.paid.2009.06.006 

  31. J. Y. Lee & S. M. Lim. (2006).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of the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and Pessimism.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7(4), 969-984. 

  32. J. R. Joeng & E. Y. Kim. (2019). The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of Self and Othe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31(4), 1187-1204. 

  33. H. S. Lim & H. Y. Hong. (2017). Th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Codependenc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15(2), 31-42. 

  34. J. Stevens. (1996).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1992. Hillsdale, NJ: Laurence Erlbaum. 

  35. R. C. Fraley, N. G. Waller & K. A. Brennan.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2), 350. DOI: 10.1037//0022-3514.78.2.350 

  36. S. H. Kim. (2004). Adaption of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Scale into Korea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Approach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7. L. S. Radloff.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38. K. K. Chon, S. C. Choi & B. C. Yang.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 - D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39. J. K. Kim & K. J. Cho. (2010). Sleep Quality as a Mediator Variable between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9(2), 355-370. 

  40. J. Y. Lee & S. M. Kwon. (2005). Development of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2), 451-464. 

  41.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42. E. Y. Kim & E. J. Kim. (2019).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5), 295-301. DOI: 10.14400 /JDC.2019.17.5.275 

  43. A. T. Beck. (1979).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ew York; Guilford press. 

  44. E. Park & J. M. Kim. (2017).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Moderation Effect of Reassurance Seeking. Journal of Psychology: Health, 22(3), 669-685. 

  45. J. H. Ok & E. J. Kim. (2015). The Effect of Negative Self-Concept and Self-Concept Clarity on Social Anxiety : Mediating Role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5(3), 619-637. 

  46. Y. J. Won & S. H. Cho. (2013). The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De-centering.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4(2), 173-19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