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중학교 가정교과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on School Space Design: Focusing on the Housing Life Area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4, 2020년, pp.81 - 101  

강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교과 주생활 영역에서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하여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을 주제로 한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총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실행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채점기준을 마련하고 학생용 평가 자료 8개, 교사용 평가 자료 2개, 총 9차시의 수업·평가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문항이 평균 3.6점~4점(4점 만점)으로 내용타당도와 내용구성이 적절하다고 검증받았다. 둘째, 학교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 과정중심평가, 관심 및 흥미 3가지 영역 모두 평균 4.12~4.27점(5점 만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설문 조사와 심층면접 결과를 종합해볼 때 프로그램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학생들은 제시한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 동료평가 및 교사의 피드백은 학습 과정 중에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이 일부 중학생들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연구 대상 및 평가의 영역, 학교 공간 디자인 수업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가정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론과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가정과 교육의 주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이 학교 공간 디자인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with the theme of school space design in the housing area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 order to achieve For thispurpose, a process-based evalu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me of school space design wa...

주제어

참고문헌 (23)

  1. Bum, S. H., & Chae, J. H. (2008). Rubric develop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focusing on experiment and practice method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3), 85-105. 

  2. Chung, H. Y. (2014). The educational meaning of 'school-space' and tasks for its forming. The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51(2), 151-161. 

  3. Han, H. S. (2010).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school remodeling project on affective doma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gbuk National University, Chugcheongbuk-do, Korea. 

  4. Heo, Y. S., Kim, N. E., Choi, M. J., Baek, M. K., Gwak, S. J., & Cho, J. S. (2013). Changes of housing in the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of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1), 95-118. 

  5. Hue, Y.-S., & Im, S.-B. (2010). A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case study on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fpe Architecture, 38(5), 1-11. 

  6. Kang, K.-S., & Kim, J.-H. (2013). A critical discussion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27(1), 1-27. 

  7. Kim, J. I., & Chae, J. H. (2009). Effect of instruction for the learner-involved development of analytical rubrics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unit of 'housi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1), 35-49. 

  8. Kim, K. N. (2018). A case study on music classes using process-centric evalu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M. J., & Noh, K. H. (2001). Gluten researches performance assessment study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Home Economics, 16, 95-121. 

  10. Kim, S. A., & Cho, J. S. (200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bi program for space desig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of high school.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4), 37-53. 

  1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과정중심평가 이렇게 하세요 [Process-based evaluation: Do it this way]. Chungbuk. Korea: Author. 

  12. Lee, G. B. (2015). Study on the changes of school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from the effect of school space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G. S., Yoo, T., & Yang, J. S. (2018). Development of process-centered performance task for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based on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4), 165-185. doi:10.19031/jkheea.2018.12.30.4.165 

  14. Lee, H. J., & Lee, H. J. (2007). Development of portfolio material and analysis of instruction effect-focusing on making short pan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1), 15-33. 

  15. Lee, J. A. (2000). The effect of portfolio assessment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food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6. Lee, M. J., & Cho, J. S. (2012).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residence and living environment' of home economics applied with portfolio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3), 225-239. 

  17. Lee, S. K., & Lee, H. J. (201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descriptive evaluation questionnaire on the clothing and textiles section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3), 69-90. 

  18. Min, S. N. (2010). A case study on the efficacy and method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the refurbishment of school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26(4), 171-189.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a). A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inform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Sejong: Author. Retrieved from http://ncic.re.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20. Ministry of Education (2015b).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Notification No. 2015-74). Sejong: Author. Retrieved from http://ncic.go.kr/mobile.dwn.ogf.inventoryList.do 

  21. Ministry of Education (2019). 2019학년도 중학교 학생 평가의 이해 [Understanding 2019 middle school student assessment]. Sejong: Author. 

  22. Park, J. Y. (2010).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의생활 영역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및 수행평가 도구 개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and performance evaluation tool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clothing life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family subjec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3. Yoo, Y. S. (2017). 교육과정-수업-평가를 일체화하는 과정중심평가 [Process-based evaluation that integrates curriculum-classes-assessments]. Seoul: Techville Educatio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