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 관련 변인
Factors Related to Techno-str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2, 2020년, pp.177 - 188  

엄우용 (계명대학교) ,  이희명 (북삼초등학교) ,  이성아 (금오공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관련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 관련 변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TPACK의 정도와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은 테크노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플립드러닝 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테크노스트레스, TPACK,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으로 구성된 연구도구를 활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 검정,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도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과부하, 테크노복잡성은 높다. 둘째, 교사의 경력, 선도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TPACK,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의 지각 정도에 차이가 있다. 셋째, TK, TCK, TPACK 그리고 교사효능감의 교육 지원과 학교 환경 지원의 테크놀로지 어포던스는 테크노스트레스와 정적인 관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lated variables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have been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echn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수업을 운영하는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초등 교사의 경력, 선도학교 여부에 따라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수업을 운영하는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초등 교사의 경력, 선도학교 여부에 따라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TPACK, 교사효능감, 그리고 학교 환경 지원과 테크노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 구체적으로 초등 교사의 경력, 선도학교 여부에 따라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TPACK, 교사효능감, 그리고 학교 환경 지원과 테크노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관련 변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초등 교사의 개인 변인인 근무 경력, 선도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TPACK,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을 살펴보고, 변인간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관련 변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초등 교사의 개인 변인인 근무 경력, 선도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TPACK,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을 살펴보고, 변인간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을 선정할 때에는 관련 분야의 대표성, 전문적 지식과 능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12][26].
  •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제 플립드러닝 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테크노스트레스란? 테크노스트레스는 Technology와 Stress의 합성어이다. 테크노스트레스는 개인이나 조직이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할 때 발생한다[4].
플립드러닝 수업 사례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교수-학습용 테크놀로지 발달의 결합으로 최근 초등교육에서 플립드러닝(flipped leaning) 수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6][35]. 플립드러닝에서 교사는 학습자에게 동영상 등의 사전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활용하여 교실 이외의 환경에서 학습한 후 교실 수업에서 사전에 학습한 정보 및 지식, 기능을 확장하는 활동을 한다[7].
교사가 테크노스트레스를 받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교사가 테크노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1][17][28]. 첫째, 테크놀로지 수업에 필요한 자료 설치 및 사용법 설명에 소요하는 시간이 많아 실제 수업 진행 시간이 부족할 때이다. 둘째, 수업 중에 발생하는 기술적인 오류 발생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다. 셋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수업을 하는 데 필요한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이 부족하다. 넷째, 동료교사나 학교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다섯째, 테크놀로지 수업 운영에 대한 학교의 지원이 부족하다. 여섯째, 교사에게 수업 이외에 주어지는 많은 업무량이다. 즉, TPACK, 학교의 지원 여부가 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l-Fudail, M., & Mellar, H. (2008). Investigating teacher stress when using technology. Computers & Education, 51(3), 1104-1110. 

  2. Archambault, L., & Cripper, K. (2009). Examining TPACK among K-12 online distance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9(1), 71-88. 

  3. Ayyagari, R., Grover, V., & Purvis, R. (2011). Technostress: Technological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MIS Quarterly, 35(4), 831-858. 

  4. Brod, C. (1982). Managing technostress: Optimizing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y. Personnel Journal, 61(1), 753-757. 

  5. Baek, Y., Jung, J., & Kim, B. (2008). What makes teachers use of technology in the classroom?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facilitation of technology with a Korean sample. Computers & Education, 50(1), 224-234. 

  6. Chae, K., & Kim, T. (2017). The effect of a STEAM-based elementary mobile algorithm class for flipped learning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4), 463-474. 

  7. Cuban, L. (2001). Oversold and underused.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8. Eom, W. (2014). What is a flipped classroom? Journal of Seoul Science Education, 12, 28-31. 

  9. Eom, W., Lee, H., & Lee, S. (2017). Analysis on the intention of acceptance and practical use in flipped learning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3(3), 549-578. 

  10. Ertmet, P. A. (2005). Teacher pedagogical beliefs: The final frontier in our quest for technology integra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3(4), 25-40. 

  11. Fives, H. (2003). Exploring the relationships of teachers' efficacy, knowledge and pedagogical beliefs: A multimethod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MD. 

  12. Go, J. (2006).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career services in univers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Guskey, T. R., & Passaro, P. D. (1994). Teacher 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dimens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3), 627-643. 

  14. Hsu, S., & Kuan, P. Y. (2013). The impact of multilevel factors on technology integration: The case of Taiwanese grade 1-9 teachers and school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1(1), 25-50. 

  15. Huang, Y. (1999). Teacher efficac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eacher efficacy of secondary occupational foodservice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16. Jeong, Y., & Seo, J. (2015). Development of the flipped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smart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2), 175-186. 

  17. Joo, Y., Lim, K., & Kim, H. (2016). The effects of secondary teachers’ technostress on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in South Korea. Computers & Education, 95, 114-122. 

  18. Kwak, Y., Lee, S., Kang, H., Shin, Y., & Lee, S. (2019). Qualitative inquiry of features of science education leading school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8(3), 317-330. 

  19. Kim, C., Kim, M., Lee, C., Spector, M., & DeMeester, K. (2013). Teacher beliefs and technology integr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9, 76-85. 

  20. Kim, S., Lee, Y., Hong, J., Koo, D., & Park, J. (2019). Recognition of SW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cused on the SW leading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6), 591-598. 

  21. Kiraz, E., & Odmir, D.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ideologies and technology acceptance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9(2), 152-165. 

  22. Knezek, J., & Christensen, R. (2008).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ttitudes and competencie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J. Voogt & J. Kneze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pp 321-332). New York: Springer. 

  23. Ko, Y., & Shin, W. (2020). The importance of school for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22(1), 21-42. 

  24. Lam, S., Cheng, R., & Choy, H. (2010). School support and teacher motivation to implement project-based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20(6), 487-497. 

  25. Lee, H., & Min, C. (2016). A study of Secondary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the flipped classroom. Secondary English Education, 9(3), 99-122. 

  26. Lee, S., & Eom, W. (2019). Development of learner evaluation instrument for an action learning based university clas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1), 69-105. 

  27. Lee, S., Lee, H., & Eom, W. (2018). Design principle of learning spaces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Focus on affordance. In Proceeding of the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Media in Education (pp. 83-88), Cheongju, Korea. 

  28. Lim, B. (2012). Needs on digital textbook and its implications on the policy mak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2), 317-346. 

  29.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30. Pamuk, S. (2012). Understanding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y use through TPACK framework. Compute Assisted Learning, 28(5), 425-439. 

  31. Park, T., & Cha, H. (2015). Investigation of teachers’ awareness of flipped classroom of explore its educational feasi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1), 81-97. 

  32. Shin, W. (2011).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CT instru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7(2), 239-260. 

  33. Shin, W. (2015). Teachers' use of technolog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Technology, Pedagogy and Education, 24(4), 461-476. 

  34.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5(2), 4-14. 

  35. Son, E.., Park, J., Im, I., Lim, Y., & Hong, S. (2015). Impact of flipped learning applied at a class on learning motivation of collage students. The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6(2), 97-117. 

  36. Song, Y. (2012).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teachers' digital textbook experience: overcoming the crisis of innov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37. Tarafdar, M., Tu, Q., Ragu-Nathan, B. S., & Ragu-Nathan, T. S. (2007). The impact of technostress in role stress and productivity.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4(1), 301-328. 

  38. Tondeur, J., Braak, J, Ertmer, P. A., & Ottenbreit-Leftwich, A. (2017).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beliefs and technology use in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evidenc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5(3), 555-575. 

  39.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783-805. 

  40. Weil, M. M., & Rosen, L. D. (2007). A conversation with technostress authors. Retrieved April 1, 2019, from https://www.scribd.com/doc/138410041/A-Conversation-With-TechnoStress-Authors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