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에서 머신러닝을 활용한 행동로그의 학업성취 예측 모형 탐색
Exploration of Predictive Model for Learning Achievement of Behavior Log Using Machine Learning in Video-based Learning Environment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23 no.2, 2020년, pp.53 - 64  

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  김다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공학과) ,  조일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영상 강의 중심의 온라인 학습 형태가 보편화 되고 지속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한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도 학습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변화, 발전하고 있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교육 효과성 측정을 위해 학습자 로그 데이터가 대두되었으며, 학습자 맞춤형 학습 처방을 위해 로그 데이터의 다양한 분석 방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 행동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기법에 따른 학업성취 예측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동영상 탐색과 코멘트 작성과 같은 상호작용 행동, 학습자 주도적 학습 행동이 학업성취를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동영상 학습 환경 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line learning forms centered on video lectures become more common and constantly increasing, the video-based learning environment applying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s also changing and developing to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Learner's log data has emerged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피험자 내 설계(within-subject design)로 1인 당 150건 이상의 개별 학습자 데이터로 머신러닝 연구가 가능하도록 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출결 및 시험 성적 데이터 중심의 연구에서 학습 과정 중 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업성취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학습자 행동 데이터는 동영상 학습 상황에서의 학습자 행동 및 매체 사용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플립러닝, 블렌디드 러닝과 같은 동영상을 활용하는 학습 환경에 대한 예측에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동영상 학습 플레이어는 소셜 클 라우딩을 통한 동영상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양방향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동영상 기반 학습[36][37]을 기술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계 및 개발되었다[38]. 학습자는 본 동영상 학습 플레이어를 통해 기본 영상 제어와 코멘트, 북마크, URL 링크 첨부 기능 등을 활용하여 학습 활동을 기록할 수 있고, 목록화된 형태로 열람할 수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출결 및 시험 성적 데이터 중심의 연구에서 학습 과정 중 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업성취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학습자 행동 데이터는 동영상 학습 상황에서의 학습자 행동 및 매체 사용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플립러닝, 블렌디드 러닝과 같은 동영상을 활용하는 학습 환경에 대한 예측에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 특히 머신러닝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 행동을 분석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인지적, 행동적 과정에 따라 발생하는 행동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고, 머신러닝 기법에 따라 학습자 행동 로그가 학업성취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통해서는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공통적 행동 요인을 도출하고 실제 동영상 학습 환경 설계에서의 적용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 학습 상황에서의 학습자들의 지각과 인지적 과정에 따라 발생하는 학습 행동에 대한 결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동영상 기반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들의 지각된 어포던스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시험 결과를 동영상 학습의 결과로서 학업성취를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인지적, 행동적 과정에 따라 발생하는 행동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고, 머신러닝 기법에 따라 학습자 행동 로그가 학업성취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통해서는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공통적 행동 요인을 도출하고 실제 동영상 학습 환경 설계에서의 적용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이 가능한 동영상 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인지적, 행동적 과정을 표상하는 지각된 어포던스에 대한 지표로 행동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행동로그가 학업성취를 예측하는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행동이 무엇인지 탐색함으로써 동영상 학습 환경 설계 및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행동로그를 산출 및 수집하고, 기술통계와 머신러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영상 기반 학습이란 무엇인가? 동영상 기반 학습은 동영상을 활용한 학습으로, 교육맥락에서의 동영상은 문자와 그림, 소리 등의 시청각 자료를 통합하여, 단일 문자나 정적인 그림만 제공함으로 인해 내용 표현에 어려움이 있는 부분까지 전달해 주는 매체를 의미한다[21]. 이는 학습자의 집중과 몰입을 유발하고 인지적 실재감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 매체라고 할 수 있다[22][21].
현대 교육환경에서 머신러닝 기법이 교육 연구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유는? 온라인 학습과 웹 기반 학습자 관리 시스템이 보편화된 현대 교육환경에서 머신러닝 기법은 교육 연구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학습자의 디지털 로그 파일이 빅데이터로 수집되기에 전통적인 통계기법으로는 분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소수의 변수만을 이용한 모형 설정뿐만 아니라, 새로운 변수를 탐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머신러닝 기법은 학습분석학 연구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35].
행동로그 데이터가 유망한 자원으로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수집할 수 있는 학습자 데이터는 학습자 행동로그, 맥락, 제스처, 표정, 생리심리반응과 같은 생체 데이터 등 매우 다양하다[30]. 행동로그 데이터는 학습자의 클릭, 재생, 글쓰기와 같은 행동을 그대로 나타내는 데이터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분리되어 직접 관찰하기 힘든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 행동 양상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유망한 자원으로 여겨진다[31]. 학습자와 학습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행동은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과 의도성을 내포하며, 특정 행동에 따른 로그 데이터는 환경에 대한 행위유발성을 표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산업통상자원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9). 2018년 이러닝 산업 실태조사. 세종:산업통상자원부. 

  2. 조일현.김정현 (2013). 학습분석학을 활용한 e-러닝 학업성과 추정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 시점 규명. 교육공학연구, 29(2), 285-306. 

  3. Zorrilla, M. E., Menasalvas, E., Marin, D., Mora, E., & Segovia, J. (2005). Web Usage Mining Project for Improving Web-Based Learning Sites. In Web Mining Workshop. Cataluna (pp.1-22). 

  4. Romero, C., & Ventura, S. (2010). Educational data mining: A Review of The State-of-the-art.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40(6), 601-618. 

  5. 성한올.조일현 (2018).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행동 로그, 생리심리반응 및 시험불안을 통한 멀티모달 (Multimodal) 학업성취 예측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4(2), 287-308. 

  6. 강혜영.이장익.김성완 (2012). 스마트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0(2), 141-144. 

  7. 김성현 (2009).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 몰입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8. 박성익.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9. 이은환.이종연 (2013).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몰입,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573-603. 

  10. 김선영 (2016). 융합(STEAM)형 디자인 교육을 위한 행동유도성 학습환경 고찰-노먼의 인지적 어포던스 디자인 이론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5(5), 105-118. 

  11. Gibson, J. J. (1979).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Houghton Mifflin, New York. 

  12. Norman, D. A. (1988). The Psychology of Everyday Things. New York: Basic Books. 

  13.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14. Brinton, C. G., & Chiang, M. (2015, April). MOOC performance prediction via clickstream data and social learning networks. In 2015 IEEE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INFOCOM) (pp. 2299-2307). IEEE. 

  15. Yoo, J. E. (2018). TIMSS 2011 Student and Teacher Pre dictors for Mathematics Achievement Explored and Identified via Elastic Net. Frontiers in Psychology, 9, 317. Retrieved from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syg.2018.00317/full 

  16. Bzdok, D., Altman, N., & Krzywinski, M. (2018). Statistics Versus Machine Learning. Nature Methods, 15(4), 233-234. 

  17. 유진은 (2015). 랜덤 포레스트. 교육평가연구, 28(2), 427-448. 

  18. Cutler, D. R., Edwards, T. C., Beard, K. H., Cutler, A., Hess, K. T., Gibson, J., & Lawler, J. J. (2007). Random forests for classification in ecology. Ecology, 88, 2783-2792. 

  19. Strobl, C., Malley, J., & Tutz, G. (2009). An introduction to recursive partitioning: Rationale, app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bagging, and random forests. Psychological Methods, 14, 323-348. 

  20. Hastie, T., Tibshirani, R., & Friedman, J. H. (2009).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Data mining, inference, and prediction (2nd ed.). New York: Springer. 

  21. Mayer, R. E. (2009). Multimedia Learning (Vol. 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Retrieved from http://search.ebscohost.com/login.aspx?directtrue &dbe000xww&AN400712& langko&siteehost-live 

  22. Maniar, N., Bennett, E., Hand, S., & Allan, G. (2008). The Effect of Mobile Phone Screen Size on Video Based Learning. Journal of software,3(4), 51-61. 

  23. 김지현 (2019).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시각 행동에 의한 입체적 학습과정 분석 및 학습성과 예측모형 개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4. 임철일 (2001).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환경을 위한 설계 전략의 특성과 효과. 교육공학연구, 17(3), 53-83. 

  25. 고호경 (2016). 스마트 기기 활용 시니어 수학 앱 개발을 위한 어포던스 설계 전략. E-수학교육 논문집, 30(1), 85-99. 

  26. 박형주 (2012). 이러닝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교육적 사용성 증진을 위한 어포던스 설계 전략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7. 민병택 (2007). 스마트 공간 환경에 있어 어포던스 디자인의 요인과 구조.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8. 김성훈.김인수 (2013). 인지적 어포던스 기반의 인터랙티브 e-퍼블리싱 컨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25, 355-366. 

  29. 박성억 (2010).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디자인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3), 444-453. 

  30. Bower, M., & Hedberg, J. G. (2010). A Quantitative Multimodal Discourse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 Web-conferencing Environment-the Efficacy of Student-centred Learning Designs. Computers & education, 54(2), 462-478. 

  31. Black, E. W., Dawson, K., & Priem, J. (2008). Data for Free: Using LMS Activity Logs to Measure Community in Online Course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1(2), 65-70. 

  32. Mesgari, M., & Okoli, C. (2015). Ecological Approach to User Sensemaking of Technology. In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1-12. 

  33. Bzdok, D., Altman, N., & Krzywinski, M. (2018). Statistics Versus Machine Learning. Nature Methods, 15(4), 233-234. 

  34. Yoo, J. E., & Rho, M. (2018). Exploration of Predictors to Teacher Job Satisfaction Using TALIS 2013 Korea Data. Presented at the 19th ICER(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Seoul, South Korea. 

  35. 유진은 (2019). 기계학습: 대용량/패널자료와 학습분석 학 자료 분석으로의 활용. 교육공학연구, 35(2), 313-338. 

  36. Kleftodimos A., & Evangelidis G. (2016) An Interactive Video-Base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ing Learning Analytics: Insights Obtained from Analyzing Learner Activity Data. In State-of-the-Art and Future Directions of Smart Learning, 471-481. 

  37. Zhang, D., Zhou, L., Briggs, R. O., & Nunamaker Jr, J. F. (2006). Instructional video in e-learning: Assessing the impact of interactive video on learning effectiveness. Information & management, 43(1), 15-27. 

  38. 김다솜 (2019). 동영상 기반 학습 환경에서 지각된 어포던스를 통한 학업성취 예측모형 개발: 행동 로그와 안구 운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9. Altman, D. G. (1991). Practical Statistics for Medical Research. London: Chapman and Hall. 

  40. Archer, K. J., & Kimes, R. V. (2008). Empirical characterization of random forest variable importance measure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52(4), 2249-2260. 

  41. 조헌국 (2018). 머신 러닝을 활용한 이러닝 학습 환경에 서의 학습자 성취 예측 모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553-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