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준현용 기록관리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연방레코드센터의 기록 이관과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Semicurrent Records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A Focus on Records Transfer and Appraisal in the Federal Records Center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0 no.3, 2020년, pp.139 - 160  

조애란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양동민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윤은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준현용 기록은 업무에서 자주 참고하지 않아 별도의 장소에 기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기록이다. 준현용 기록관리 단계는 처리과의 기록물이 처음으로 모이는 시점이면서 현용기록과 비현용기록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체계적인 기록관리를 위해서 준현용 단계의 기록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한국은 많은 기록관리 인프라가 조성되었지만 여전히 기록관리환경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미국의 준현용 기록관리체계를 고찰하고 한국의 준현용 기록관리체계와 다른 특징은 무엇이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연방 기록관리체계를 연구 범위로 선정하였으며 기록처분일정, 이관, 평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연구의 데이터는 기록관리법과 유관기관에서 편찬한 지침, 기록관리담당자와의 서면 질의를 통해 얻었다. 연구 결과, 기록 생산기관과 준현용 기록관리기관과의 관계성, 이관측면에서의 신기술 도입, 기록보존의 민영화, 소극적 평가주체로서의 연방레코드센터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micurrent records are documents that are stored and managed in a separate section because they are infrequently referred to in work. The semicurrent records management stage is when records from the processing department a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serving as a bridge between the current and...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산된 기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생산된 기록의 획득은 기록의 업무 활용성, 이용가능성, 최종적으로는 영구기록의 확보에 이르기까지 기록관리의 전면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생산된 기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용 기록관리 단계에 대한 꼼꼼한 관리⋅감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곧 준현용 기록관리 단계가 치밀하고 체계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준현용 기록관리 단계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고 여러 가지 개선 방안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해준 연구는? 지금까지 준현용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는 주로 중앙행정 기관 및 지자체, 산하기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공공기록물법 개정 이전, 준현용 기록을 다루는 자료관에 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어, 2000년대 초중반 자료관 제도의 역할과 특징에 관한 연구(방효순, 2003), 자료관 기록물평가와 개선방안 및 기관 사례 연구(이미화, 2006) 등의 연구가 행해졌으며, 법이 개정되어 자료관이 기록관으로 명칭이 바뀐 이후에도 현용⋅준현용 단계의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곽정, 2007)와 준현용 기록 관리 표준화에 대한 연구(설문원, 2009) 등에 의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위의 연구들로 인해 준현용 기록관리 단계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었으며, 여러 가지 개선 방안이 제시되기도 했다.
준현용 기록이란? 준현용 기록은 업무에서 자주 참고하지 않아 별도의 장소에 기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기록이다. 준현용 기록관리 단계는 처리과의 기록물이 처음으로 모이는 시점이면서 현용기록과 비현용기록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ang, Da-Yeon & Kim, Sang Hyun (2020). A study on the importance priority of expected Effect Factors in the Introduction of Cloud Computing Service. Jou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 564-570. 

  2. Kwag, Jeong (2007). Metadata for records management in the current and semi-current stag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6, 3-37. 

  3.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5). Management and Disposition of the Federal Government Records.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4.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8).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te Paper 2018. Dae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5. Kim, Cho-Hyun (2007). A study on the combined service of public records: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cloud compu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Archival Science Myoungji University. 

  6. Bang, Hyo-Soon (2003). A Study on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 Center(Jaryokwa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 187-205. 

  7. Seo, Eun-Gyoung (2005). A Comparative Study on Appraisal Policies of National Archives of UK, USA, Canada, and Australia.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6(4), 1-22. 

  8. Seol, Moon-Won (2006). Redesigning Retention Schedules for Accurate Documentation of Government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 199-219. 

  9. Seol, Moon-Won (2009). An Evaluation of the Standard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355-377. 

  10. Seol, Moon-Won & Lee, Seung-eok (2020). Major Issues and Tasks of Restructuring Public Records Appraisal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1), 47-67. http://dx.doi.org/10.14404/JKSARM.2020.20.1.047 

  11. Yu, Young-Moon (2019).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entral Government's Cloud System Adop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9(3), 247-270. 

  12. Lee, Mi-Hwa (2006). A Study on Records Center's Appraisal of Records and Improvement: Focused on Organization A's Exam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13. Lee, Sang-Min (2000). The principles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he foundation of E-Government. Archives, 13, 119-144. 

  14. Lee, Sang-Min (2001). The Selections and Appraisal of Archival Records. Archives, 14, 87-119. 

  15. Lee, Young-Nam (2005). Reorganization and Chracteristic of the National Administrative Structure on Korea 1950s and Early 1960s (1957-1963). Unpublished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 History. 

  16. Lee, Won kyu (1998). The theory of public records scheduling: in comparison with foreign records management cases. Archives, 11, 77-107. 

  17. Choi, Jae-Hee (2014). A Survey on Archival Appraisal System and Practice in Korea as Well as Its Modif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4), 153-175.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4.153 

  18. Hyun, Moon-Soo (201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to Appraise Records of Central or Federal Governments in Britain, the USA, Canada, and Austral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9(4), 175-209. http://dx.doi.org/10.14404/JKSARM.2019.19.4.175 

  19. James M. O'Tool (1990). Understand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0. Randall C. Jimerson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Chicago: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21. Ave Point, Inc. (2018). Best Practices Guide: Records Management for the Digital Era. 

  22. BRIDG (2014) ERA Updates: Traning and the Annual Move of Permanent Records to NARA. 

  23. FRC (2009). ARCIS USER MANUAL. 

  24. FRC (2011). ARCIS USER ADMINISTRATION. 

  25. FRC (2012). ARCIS REOCRDS TRANSFERS USER'S MANUAL. 

  26. FRC (2014). ARCIS Training Workbook. 

  27. FRC (2020). Federal Records Center Toolkit. 

  28. NARA (2003). Appraisal Policy of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9. NARA (2013). ERA AGENCY USER MANUAL. 

  30. NARA (2018). 2018-2022 Strategic Plan. 

  31. NARA (2020). The General Records Schedules (Transmittal No.31). 

  32. 한국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33. 한국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34. 한국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35. 미국 국립기록관리청법(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s). 

  36. 미국 국립기록관리청장과 총무청장관에 의한 기록물관리법(Records Management by The Archivist of the United States and by the Administratior of General Services). 

  37. 미국 연방기관의 기록물관리법(Records Management by Federal Agencies). 

  38. 미국 기록물처분법(Disposal of Records). 

  39. 미국 미 연방규정집(Code of Federal Regulations) 36: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s 

  40. NAK 4:2012(v2.1) 기록관리기준표 작성 및 관리절차. 

  41. NAK 5-1:2014(v2.2) 기록물평가.폐기절차-제1부: 기록관용. 

  42. NAK 10:2012(v1.1) 기록관표준운영절차: 일반. 

  43. NAK 11-1:2011(v1.1) 기록관 및 특수기록관 시설.환경표준. 

  44. NAK 16-1:2012(v1.1) 기록물공개관리업무-제1부: 기록물생산부서 및 기록관. 

  45. MeriTalk, 2020.02.05. 새 클라우드 플랫폼을 찾고 있는 미국 국립기록관리청. 검색일자: 2020. 06. 11. https://www.meritalk.com/articles/nara-seeking-new-cloud-platform-for-records-management/ 

  46. Records Nations, 2019.08.16. 하이브리드 기록관리 솔루션. 검색일자: 2020. 06. 16. https://www.recordnations.com/2016/07/hybrid -records-management-solu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