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General Hospital Nurses' Intention to Remain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7 no.2, 2020년, pp.103 - 111  

김순이 (군산의료원) ,  박영례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resilience, and intention to remain, as well 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tention to remain.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Jeollabuk...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극복력 및 재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인력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극복력 및 재직의도의 정도와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극복력 및 재직의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와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를 통해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극복력, 간호직 만족도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간호사들을 위해 병원조직 차원에서는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을 통해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고, 간호사들의 극복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지하며, 간호사 스스로 자신의 직업에 대해 긍지를 갖도록 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한다면 재직의도는 향상될 것이다. 이로 인해 간호사 개인의 직무 만족 향상과 조직의 유효성이 증가될 것이며, 병원 조직의 효율적인 인력관리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질 높은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극복력, 간호직 만족도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본 연구의 주의점은? 본 연구는 지방 소재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우리나라 전체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결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이를 일반화하는데 주의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다각적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근무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하고 Cho 등(2011)이 한국어판으로 번역,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Korea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K-PES-NWI)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병원 운영의 간호사 참여 9문항,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9문항, 간호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 4문항,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 4문항,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 관계 3문항으로 총 5개의 하위영역 2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재직의도란? 재직의도는 간호사가 새로운 다른 직업을 찾고자 하는 것을 멈추거나 현재의 간호직에 남아있고자 하는 의도를 말하는 것으로(Cowin, 2002), 임상현장의 다양한 분야에서는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갖춘 수준 높은 간호사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는 숙련된 간호 인력들이 장기간 재직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인력관리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Lake, E. T., & Cheney, T. (2008). Effects of hospital care environment on patient mortality and nurse out com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5), 223-229. https://doi.org/10.1097/01.NNA.0000312773.42352.d7 

  2. Armstrong-Stassen, M., Freeman, M., Cameron, S., & Rajacic, D. (2015). Nurse managers' role in older nurses' intention to stay. Journal of Health Organization and Management, 29(1), 55-74. https://doi.org/10.1108/JHOM-02-2013-0028 

  3. Cho, E., Choi, M., Kim, E. Y., Yoo, I. Y., & Lee, N. J. (2011).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325-332.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25 

  4. Cho, O. S. (2016).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teamwork and autonomy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Choi, S. O., & Kim, J. (2013).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42-152.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42 

  6. Christmas, K. (2008).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26(5), 316-318. 

  7. Cohen, J., Stuenkel, D., & Nguyen, Q. (2009). Providing a healthy work environment for nurses: The influence on retention.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4(4), 308-315. https://doi.org/10.1097/NCQ.0b013e3181a4699a 

  8. Connor, K. M., & Davidson, J. R.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18(2), 76-82. https://doi.org/10.1002/da.10113 

  9. Cowin, L. (2002). The effects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2(5), 283-291. https://doi.org/10.1097/00005110-200205000-00008 

  10. Duddle, M., & Boughton, M. (2009).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Nursing Workplace Relational Environment Scale (NWR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6), 902-909.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368.x 

  11. Engeda, E. H., Birhanu, A. M., & Alene, K. A. (2014). Intent to stay in the nursing profession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nurses working in amhara regional state referral hospitals, Ethiopia. BMC Nursing, 13, n/a-24. https://doi.org/10.1186/1472-6955-13-24 

  12. Han, M. S. (2016). Effects of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on retention intention in clinical research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13. Hayes, L. J., O'Brien-Pallas, L., Duffield, C., Shamian, J., Buchan, J., Hughes, F., et al. (2012).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an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7), 887-905.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1.10.001 

  14. Im, S. B., Lee, M. Y., & Kim, S. Y. (2015). Nurs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ocial support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1), 1-9.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1 

  15. Kang, J. S., & Lim, J. Y. (2015).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The Journal of th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1), 263-273.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263 

  16. Kim, J. K., Kim, M. J., Kim, S. Y., Yu, M., & Lee, K. A. (2014). Effects of general hospital nurses'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 69-81.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69 

  17. Kim, N. R. (2016). The effect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n intent to stay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8. Kim, S. H., & Park, S. H. (2016).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4), 2257-2269. 

  19.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February 19). 2015 Annual report: Hospital nurse staffing status survey. Retrieved October 17, 2019, from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bo_tableboard1&page4 

  20. Kwon, K. J., Ko, K. H., Kim, K. W., & Kim, J. A. (2010).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3), 229-239.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3.229 

  21.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22. Lee, E. H., Cho, K. S., & Son, H. M. (2014). A study of hospital nurse's intention to keep nursing job.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 15-27. https://doi.org/10.22650/JKCNR.2014.20.1.15 

  23. Lee, Y. S., Park, S. H., & Kim, J. K. (2014).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fairness, motivati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stay of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596-60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96 

  24. Lin, S. Y., Chiang, H. Y., & Chen, I. L. (2011). Comparing nurses' intent to leave or stay: Differences of practice environment perceptions. Nursing & Health Sciences, 13(4), 463-467. https://doi.org/10.1111/j.1442-2018.2011.00640.x 

  25. Park, M. M., & Park, J. W. (2016). Development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1), 32-41. https://doi.org/10.7739/jkafn.2016.23.1.32 

  26. Tourangeau, A. E., & Cranley, L. A. (2006). Nursing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determina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4), 497-50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3934.x 

  27. Tourangeau, A. E., Cummings, G., Cranley, L. A., Ferron, E. M., & Harvey, S. (2012). Determinants of hospital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22-32.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190.x 

  28. Van Bogaert, P., Meulemans, H., Clarke, S., Vermeyen, K., & Van de Heyning, P. (2009). Hospital nurse practice environment, burnout, job outcome and quality of care: Tes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0), 2175-218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082.x 

  29. Wang, L., Tao, H., Ellenbecker, C. H., & Liu, X. (2012). Job satisfaction, occup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among Chinese nurse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3), 539-54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1.05755.x 

  30. Warshawsky, N. E., & Havens, D. S. (2011). Global use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Nursing Research, 60(1), 17-31. https://doi.org/10.1097/NNR.0b013e3181ffa79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