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회화식 고지도를 통해 본 평양성의 인문경관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stic Landscape in Pyongyang Castle through Pictorial Map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20년, pp.14 - 30  

김미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후기 회화식 고지도가 제작 당시 선조들이 인지했던 장소명이 표기된 개념도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평양성(平壤城)의 회화식 고지도 다섯 점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고도(古都), 상업 도시, 풍류 도시라는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평양성의 인문경관 특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평양성의 역사적 정통성은 제례·종교시설이 대표하였는데, 국가의 시조와 관련된 '단군전(檀君殿)'과 '기자궁(箕子宮)', 고구려 유적인 '문무정(文武井)', 그리고 '사직단(社㮨壇)', '평양강단(平壤江壇)' 등 국가 제사를 지내던 곳, 교육과 제례 기능을 담당한 향교와 서원, 불교 사찰과 도교 시설들, '용신당(龍神堂)', '산신당(山神堂)', '제신단(諸神壇)'과 같은 민간신앙 공간이 포함되었다. 소중화(小中華) 의식과 기자 존숭 풍조로 평양성의 상징이 된 기자 관련 시설이 평양성 전체 영역에 분포된 반면, 북성에는 고구려 동명왕 관련 시설, 대동강 변에는 기복신앙 공간이 분포한다. 둘째, 평안도 경제 중심도시 평양의 상업 경관은 물류·교통시설로 드러났는데, 운수 기능을 담당한 대동강에 '양명포(揚命浦)', '청룡포(靑龍浦)', '왜성진(倭城津)' 등 포구와 주요 교통로를 연결하는 '영제교(永濟橋)', '강동교(江東橋)' 등 많은 다리가 있었다. 외성 영역에 물류 운반과 관리에 편리하도록 '정전도로'가 펼쳐지고, 주요 성문의 도로변과 감영 근처에 평양부 관할 읍의 이름이 붙여진 많은 창고들이 분포하였다. 또한 위계를 가진 도로로 질서정연하게 구획된 시가지와 평양성 주요 진입 도로변에 조성된 버드나무의 '북장림(北長林)'과 느릅나무가 포함된 혼합림으로 구성된 '십리장림(十里長林)'이 만든 선형 경관이 특징적이었다. 셋째, 풍류 도시는 위락시설의 분포로 가시화되었다. 내성에 인접한 대동강변은 성 안쪽으로 연결되는 운하와 축대를 쌓은 접안시설, 화물선이 정박한 포구 등 인공경관 특성을 보이지만, 자연스러운 하안을 가진 북성 주변은 '부벽루(浮碧樓)', '을밀대(乙密臺)', '최승대(最勝臺)', '함벽정(涵碧亭)' 등 다수의 누·정·대와 '청류벽(淸流壁)', '장방호(長房壺)'라는 바위글씨가 있었다. 대동강이 보이지 않는 내성에는 '오순정(五詢亭)'과 '벽월지(壁月池)', '사창(司倉)' 인근 반월지, 방지 내 섬에 조성된 '애련당(愛蓮堂)'이 수경관을 연출하고, 중성 서쪽 성곽에는 실용적 목적으로 지당들이 배치되었으며, 기자와 관련된 버드나무 식생 경관이 반복되었다. 또한 칠성문(七星門) 부근에 입지한 기생들의 장지 '선연동(嬋娟洞)'은 문인들의 시제로 사용되며 평양성의 풍류 이미지를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pictorial map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conceptual diagrams with the place names perceived by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ir production. In this regard, targeting on five pictorial maps, the humanistic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which had cult...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3)

  1. Kim. M. H. and Hong. H. S. (2011). Utility and Care Patterns of Lotus Shown in Classic Poetries and Proses, Paint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4): 1-13. 

  2. Lim. E. J. and So. H. S. (2014). Landscape Gardening Culture in Late Joseon Dynasty Depicted in ‘Ahoi-do' Painting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3): 46-57. 

  3. Kang. I. A. and Rho. J. H.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Landscape of Fortress of Jeonju District in Represented on th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6(2): 1-10. 

  4. Ahn. G. B. (1998).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aterfront Landscape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ounty-wide Maps. Research Bulletin. 57(2): 197-206. 

  5. Kim. S. H. (2016). The Painting-style Map and Painting in Late Joseon Period. Art History & Cutural Heritages. 5(-): 111-133. 

  6. Jeon. J. H. (2008). Spatial Perception and Consciousness Represented in Provincial Map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0(2): 112-126. 

  7.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8. Kim. J. T. (2016). Features of Old Maps of Pyongyang in Reference to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8(1): 79-112. 

  9. Park. J. A. (2009). A Study on the Screen Paintings of Giseong in the 18th and 19th. The Korean Association of University Museums. 74(-): 5-41. 

  10. Son. M. H. (2009). Pre-modern and Modern Pyeongyang As Represented in Joseon Maps and Paintings. Journal of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1(1): 63-84. 

  11. Baek. J. O. (2016). The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of Pyongyang Fortress Assumed Through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 Paek-San Society. 104(-): 129-157. 

  12. Ki, K. R. (2017). Study of Goguryeo's Royal Capital.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Seoul. 

  13. Kim. K. D. (2004).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Waterfront Landscape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ounty-wide Maps. Catholic University of Taegu-Hyosung Research Bulletin. 57(2): 57-91. 

  14.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http://contents.nahf.or.kr/). 

  15. Kim. J. J. (2012). A Study of Cultural Iconography of Pyungyang and Travel Kasa.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40(1): 109-34. 

  16. Park. J. A. (2009). A Study on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Gwanseo Prov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258(258) : 105-139. 

  17. Oh. S. C. (2007). Images of Pyeongyang during Late Joseon Reflected in th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137(-): 79-108. 

  18. Kim. C. H. (2001). Castles and Palaces of Seogyung in Kyoryo. YKSA WA HYNSIL : Quarterly Review of Korean History. 41(-): 182-213. 

  19. Park. S. B. (2012). On the Capital of Koguryo and its Cemetery.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 12(-): 43-94. 

  20. Park, J. B. and Shigeyo Hasuike. (2017). A Study on the Schools of Pyongyang in Chosun Period through the Town Chronicles. History of Education. 27(1): 71-101. 

  21. Shin. H. G. (2010).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29(-): 37-65. 

  22. Kim. T. Y. (2019). The Impact of the Theordy of Kija’s Migration to Korea in Dongguktonggam on Joseon Societ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l10(4): 1689-1702. 

  23.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bb_087r_001_05_0020#002_com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