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리빙랩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n Living Lab Using Text Min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37 - 48  

김성묵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김영준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리빙랩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방향 정립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리빙랩 관련 연구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1년부터 2019년 11월까지의 논문 166편의 키워드와 초록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키워드 중 혁신, 지역, 사회, 기술, 스마트시티 등의 출현빈도가 높았고, 중심도 분석결과 현재까지 리빙랩 연구가 혁신, 사회, 기술, 개발, 사용자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을 파악하였다. 토픽 모델링 결과 지역혁신과 사용자지원, 정부 사회정책사업, 스마트시티 플랫폼구축, 기업기술혁신모델 및 시스템전환 참여 등 5개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토픽을 이어주는 키워드는 혁신, 기술, 사용자, 참여인것으로 분석하였다. 2017년 KNoLL 출범 후 토픽별 비중은 고른 분포로 연구 주제가 다양화됨을 확인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리빙랩 연구동향 분석과 방향 제시는 연구와 정책방향 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rends of living lab studies and deriving implications for directions of the studies by utilizing text mining. The study include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ling based on keywords and abstracts from total 166 thesis published between 2011 and November 2019. Cen...

주제어

표/그림 (1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빙랩에 접근하는 시각에는 무엇이 있는가? 리빙랩에 접근하는 시각에는 사용자주도형 혁신모델, 기술사업화촉진, 사회문제 해결형 R&D, 지역혁신, 시스템전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및 방법론 등이 있다. 사용자주도형 혁신모델은 리빙랩을 사용자 참여하에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모델을 의미한다[9].
리빙랩 선행 연구들을 재정리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리빙랩 선행 연구들을 재정리한 연구들이 있다. 김은지(2017)는 리빙랩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사용자 참여 혁신, 생태계나 네트워크와 같은 시스템, 실생활에서 형성되는 실험환경, 사용자가 협업하는 연구방법론 등으로 개념을 구분하고 해외 선행연구들을 요약하였다[14]. Cha(2018)는 기존 리빙랩 연구 주제를 리빙랩 소개 및 개괄, 사회혁신, 스마트시티, 제품과 서비스 개발, 사회문제 해결수단, R&D 프로세스 적용 등으로 구분하였다[11]. 성지은 & 박인용(2016)은 사용자 혁신의 관점에서 리빙랩 관련 연구들을 정리한 바 있고[15], 리빙랩을 지속 가능하며 지역을 위한 문제 해결형 도구로 파악하고 해당 문헌들을 요약한 연구가 있다[16].
리빙랩이란 무엇인가? 오픈 이노베이션 네트워크 모델에서 사용자가 혁신 주체로 참여하고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사례가 리빙랩(Living Lab)이다. 리빙랩은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서 실행 생활 현장에서 공공기관, 기업, 시민, 지역과 같은 다양한 참여자들의 매개 역할을 하며 사용자와 이해당사자가 공동으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실험실이자 테스트베드로서 의미를 가진다[2-4]. 그리고 기술기반 사회적 경제조직의 형성, 민간기업의 사회적 혁신 활성화 계기 마련의 측면에도 기여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 Y. Kim. (2015). Open Innovation 2.0 Strategy of EU-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Information & Communications Policy, 27(11), 1-22. 

  2. W. C. Song. S. H. Jeong. K. Y. Han. J. E. Seong & J. S. Kim. (2017).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of Public R&D Based on Living Lab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formation Society, 20(2), 458-486. 

  3. J. U. Seong & I. Y. Park. (2015). ICT Living Lab as User-driven Innovation Model: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15(1), 245-279. 

  4. https://enoll.org/about-us/what-are-living-labs/ 

  5. KNoLL..(2019). References of The 16th KNoLL Forum. Seoul : KNoLL. 

  6. https://blog.naver.com/sotech2017/ 

  7. J. H. Kim & J. K. Han. (2018). An Experience of Living Lab as Energy Transition Experiment: The Case of Urban Living Lab for Mini-PV System in Seong-Dae-Gol, Seoul, Korea.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18(1), 219-265. 

  8. J. E. Seong, K. Y. Han & I. Y. Park. (2016). Current Status of Korean Living Labs and Its Tasks. STEPI Insight, 184, 1-44. 

  9. W. C. Song. (2012). Living Lab: User-driven Open Innovation Model. Issue & Policy, 59, 1-14. 

  10. J. E. Seong. S. H. Jeong & K. Y. Han. (2018). Analysis of Living Lab Cases in R&D Initiatives for Solving Societal Problems and Challenges.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18(1), 177-217. 

  11. H. H. Cha. (2018). Living Labs Based on IT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0(4), 31-36. DOI : 10.7236/IJIBC.2018.10.4.31 

  12. W. C. Song et al. (2017). Social Transition: Theory and Practice. Paju : Hanul Academy. 

  13. D. Schuurman. L. D. Marez & P. Ballon. (2016). The Impact of Living Lab Methodology on Open Innovation Contributions and Outcome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6(1), 7-16. DOI : 10.22215/timreview/956 

  14. E. J. Kim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Living Lab Evaluation Indicators-Focusing on Urban Living Labs. Doctori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15. J. E. Seong & I. Y. Park. (2016). Living Lab as Transition Arena: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9(1), 1-28. 

  16. J. E. Seong. K. Y. Han & S. H. Jeong. (2016). A Case Study on Korean Living Labs for Local Problem-Solving.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16(2), 65-98. 

  17. J. E. Seong. W. C. Song & I. Y. Park. (2013). Operation Systems and Cases of Living Labs, STEPI Insight, 127, 1-46. 

  18. J. E. Seong et al. (2017). Current Status of Korean Living Labs and Its Development Plan, Sejong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9. H. Yang & H. D. Moon. (2016). A Study on Introduction of Living Lab Methods to the ICT R&D System.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557-558. 

  20. Y. S. Shin et al. (2018).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Participatory Research - Focusing on the Climate Change Living Lab Demonstration Project. Sejong :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1. H. D. Kim. (2019). Current Status and Its Tasks of Living Lab in Daegu. The 16th Conference of KNoLL. (pp. 17-37). Seoul : KNoLL. 

  22. H. Lim. (2016). Activation Plan of Living Lab, A Tool for Social Innovation. BDI Policy Focus, 315, 1-12. 

  23. J. E. Seong & Y. N. Lee. (2018). Case Studies of Living Labs and its Tasks. Trend & Issue, 47, 1-37. 

  24. J. E. Seong. K. Y. Han & J. H. Kim. (2017). Case Studies of Health Care Living Labs and Policy Implications. Trend & Issue, 36. 1-34. 

  25. Seoul Innovation Park Living Lab. (2017). Living Lab in Seoul. Seoul : Seoul Innovation Park. 

  26. J. E. Seong. K. Y. Han. W. C. Song & M. S. Kim. (2019). Current Status and Tasks of Campus Living Labs as a New Model for Innovation.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6(2), 171-195. 

  27. G. Y. Park & H. J. An. (2019). The Topic Modeling Analysis of The DMZ Tour Issues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1(4), 143-159. DOI : 10.31336/JTLR.2019.4.31.4.143 

  28. S. S. Lee. (2014).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49-68. DOI : 10.3743/kosim.2014.31.4.049 

  29.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7). Innovation Studies in Korea: Achievements and Challenges. Sejong :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30. M. Song. (2017). Text Mining. Seoul : CRbooks. 

  31. H. J. Jung. (2016). Research Dynamics in Innovation Studies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4(4), 249-275. DOI : 10.14383/SIME.2016.24.4.249 

  32. C. H. Park & J. H. Kim. (2018). Trend Analysis in Maker Movement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2), 468-488. 

  33. J. E. Yoon & C. J. Suh. (2018). Research Trend Analysis on Smart healthcare by using Topic Modeling and Ego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9(5), 981-993. DOI : 10.9728/dcs.2018.19.5.981 

  34. D. R. Kim. K. S. Kwon & S. B. Jeong. (2015).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Business Administr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ecision Science, 23(1), 111-125. 

  35. J. H. Lee. S. M. Cho & S. I. Kwon. (2018). A Study on Social Enterprise Research Trends Based on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Publication of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17. Social Enterprise Studies, 11(2), 183-236. DOI : 10.32675/ses.2018.11.2.007 

  36. Y. J. Kim & Y. M. Wang. (2017). Mapping the Knowledge on Socio-nuclear Studies in Korea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formation Society, 20(4), 1057-1088. 

  37. S. S. Han & D. W. Yang. (2017).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art-Up Using Text Mining.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5), 1-12. DOI : 10.16972/apjbve.12.5.201710.1 

  38. M. S. Shin & K. W. Cho. (2019). Analysis on Topic Modeling and Trend of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8(3), 81-91. DOI : 10.15724/jslhd.2019.28.3.081 

  39. KNoLL..(2019). References of The 13th KNoLL Forum. Seoul : KNoLL. 

  40. KNoLL..(2020). References of The 18th KNoLL Forum. Seoul : KNo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