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System Thinking 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243 - 252  

조정화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백경화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지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1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t-test, 상관분석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해결 적극성(r=.76, p<.001)과 시스템 사고능력(r=.80, p<.001)은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최종단계에서 간호학 전공 적응도, 문제해결 적극성, 시스템 사고능력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회복탄력성을 71.4% 설명하였다(F=34.17,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을 간호 핵심역량으로 포함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determine whether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system thinking are variable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6 students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1 to 29, 2019.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문제해결 적극성, 시스템 사고능력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 시스템 사고능력. 회복탄력성이 서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 변인들이 회복탄력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조사해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지를 규명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학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 시스템 사고능력,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역량을 본격적으로 학습하는 시기인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 회복탄력성이 유기적으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문제해결 적극성과 시스템 사고능력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여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강화시키는 또 하나의 요인을 밝혀 이를 적용한 교육과정 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 시스템 사고능력. 회복탄력성이 서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 변인들이 회복탄력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조사해보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해결 적극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런 현실을 반영하여 성과기반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학생 중심의 다양한 학습방법은 개인의 특성, 자조 기술, 상급 능력을 습득하게 할 뿐 아니라 동료 간 상호작용적인 통합과정을 이끌어 내어 새로운 능력을 함양하게 만드는데[6] 그 중 하나는 문제해결 적극성이다. 문제해결 적극성은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인지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수행하여 평가하는 일련의 문제해결과정을 능동적으로 이행하는 것을 의미하며[7], 간호사가 독립적인 사고를 가지고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인 간호사의 자질을 대표하는 능력이다[8]. Park 등[6]은 간호대학생에게 실제 사례를 가지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기반학습과 시뮬레이션을 연계한 교육에서 이론과 실제를 통합할 수 있는 간호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무엇을 포함하는가? 지금까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스트레스, 교육환경, 사회적지지 등으로 다양한 내·외적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었다[13-16].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경제적 자원, 가족 및 지역사회 등 외적인 요소 이외에도 개인의 특성이나 자조 기술 등과 같은 내적인 요소를 포함한다[17]. 특히나 간호현장의 현실성을 반영한 회복탄력성의 개념은 각 구성원이 내적인 요소를 가지고 적극적 참여를 이루는 가운데 강화된다고 하였으며[18], 비판적 사고와 공감과 같은 간호의 핵심역량들이 회복탄력성을 길러주는 긍정적인 요인이라는 것이 일부 연구에서 밝혀진 바[14,19] 21세기가 지향하는 다양한 간호핵심역량이 회복탄력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 Jackson & T. J. Ferris. (2015). Proactive and reactive resilience: a comparison of perspectives. International Council on System Engineering, ResearchGare(Onlin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8814741_Proactive_and_Reactive_Resilience_A_Comparisonof_Perspectives. 

  2. E. Hollangel, D. D. Woods & N. Leveson, UK. Aldershot. 2006. Resilience Engineering: Concepts and Percept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5(6), 447-448. http://doi.org/10.1136/qshc.2006.018390. 

  3. D. Jackson, A. Firtko & M. Edenborough. (2007). Personal resilience as a strategy for surviving and thriving in the face of workplace adversit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enced Nursing, 60, 1-9. 

  4. B. Nehrir, Z. Vanaki, J. M. Nouri, S. M. Khademolhosseini & A. Ebadi. (2016).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Travel Medicine and Global Health, 4(1), 3-11. http://doi.org10.20286/ijtmgh-04013. 

  5. S. Y. Kang & Y. J. Lim.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nursing practice program preceded role-play related to clinical communication situ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3037-3045. http://doi.org/10.5762/KAIS.2014.15.5.3037. 

  6. M. J. Park & D. W. Choi. (2018). The effect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system thinking, learning flow,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performance ability for medic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8), 221-231. http://doi.org/10.14400/JDC.2018.16.8.221. 

  7. S. Y. Kwak, Y. S. Kim, K. J. Lee & M. Y. Kim. (2017).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3(2), 146-155. http://doi.org/10.5977/jkasne.2017.23.2.146. 

  8. O. H. Cho & K. H. Hwang. (2016).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esence in education, systems thinking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Academic Society Home Care Nursing, 23(2), 147-154. http://doi.org/10.22705/jkashcn.2016.23.2.147. 

  9. S. J. Yune, E. Y. Lee & K. H. Park. (2018).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efficacy of medical students and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2), 369-378. http://doi.org/10.21742/AJMAHS.2018.02.37. 

  10. D. H. Peter. (2014). The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 in health: why use systems thinking?. Health Policy and System, 12(5), 166-171. http://doi.org/10.1186/1478-4505-12-51. 

  11. R. D. Arnold & J. P. Wade. (2015). A definition of systems thinking: A systems approach. Procedia Computer Science, 44, 669-678. http://doi.org/10.1016/j.procs.2015.03.050. 

  12. W. S. Looman. (2020). Teaching systems thinking for advenced family nursing practice: a theory-based tool, Journal of Family Nuring, 26(1), 5-14. http://doi.org/10.1177/1074840719891439. 

  13. Y. J. Jee & K. N. Kim. (2016).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a nursing college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2), 19-27. http://doi.org/10.14257/AJMAHS.2016.12.09. 

  14. J. S. Kim & S. J. Park. (2018). Relevance of critical thinking, coping power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2), 247-256. http://doi.org/10.21742/AJMAHS.2018.12.58. 

  15. N. H. Kim & S. Y. Park. (2019). Effect of Burnout and stress coping on resilience of studen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4(2), 295-304. http://doi.org/10.21097/ksw.2019.05.14.2.295. 

  16. H. H. Cho & J. M. Kang. (2019). Effect of perception on clinical learning enviroment and perfectionism on resilience of student nurses. Journal of Wholistic Nursing Science, 12, 10-19. 

  17. P. L. Hart, J. D. Brannan, & M. De Chesnay. (2014). Resilience in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2(6), 720-734. http://doi.org/1111/j.1365-2834.2012.01485.x. 

  18. M. J. Garcia-Dia, J. M. DiNapoli, L. Garcia-Ona, R. Jakubowski & D. O,Flaherty. (2013). Concept analysis: resilience.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7, 264-270. http://doi.org/10.1016/j.apnu.2013.07.003. 

  19. S. Y. Jang. (2017). The effect of empathy 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2(2), 211-221. http://doi.org/10.15715/kjhcom.2017.12.2.211. 

  20. Marshall. L. C.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teamwork, effort and patient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A. 

  21. E. M. Kwon. (2010). The correlation among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H. Y. Lee., H. S. Kwon., K. S. Park., & H. D. Lee. (2013). An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995-1006. 

  23. Y. H. Yang., E. M. Kim., Y. M. Park., & H. Y. Lee. (2015).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for korea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3), 337-346. 

  24. E. S. Min. (2019).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eam-based o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4), 71-85. http://doi.org/10.22251/jlcci.2019.19.14.71. 

  25. K. H. Kim. (2017). Team-based blended-learnings effe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and team-efficacy of female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18(1), 53-69. 

  26. I. S. Park & H. N. Jeon. (2018).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y on stress cop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Core Competency Education, 1(4), 53-78. 

  27. M. J. Kang, K. H. Chung & J. A. Cho. (2019). A design and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team project learning in nursing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 Cintents Society, 19(3), 336-348. http://doi.org/10.5392/JKCA.2019.19.03.336. 

  28. Y. G. Im & H. N. Lee. (2018).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ffects of writing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system thinking abil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2), 407-427. 

  29. H. J. Lee, H. Y. Lee, K. J. Kang (2017). The effect of clinical performance, professor -student interaction, and career maturity upo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2(1), 425-437. http://doi.org/10.21097/ksw.2017.02.12.1.425. 

  30. J. H. Cho & K. W. Seo. (2018).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passion Competence on Resilience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Wellness, 13(4), 51-60. http://doi.org/10.21097/ksw.2018.11.13.4.51. 

  31. Y. E. Lee, E. Y. Kim & S. Y. Park. (2017).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3(3), 385-393. http://doi.org/10.4094/chnr.2017.23.3.385. 

  32. J. K. Kim & K. H. Yoo. (2019). Effect of self-erteem on nursing students' resilienc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6(3), 261-269. http://doi.org/10.5953/JMJH.2019.26.3.261. 

  33. H. K. Kim. (2004). Inquiring for applying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in schoo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3), 421-444. http://doi.org/10.9722/JGTE.2014.24.3.421. 

  34. B. Y. Park & H. Y. Lee.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econdary scienc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4(3), 229-236. http://doi.org/10.3946/kjme.2018.97. 

  35. G. B. Seong. (2019). The effects of problem-based activities with design thinking process on teaching anxiety, resilienc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he Journal of Foreign Studies, 47, 41-80. http://doi.org/10.15755/jfs2019.47.41. 

  36. K. H. Kim & H. J. Ju. (2013). The effect of children resilience o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psychosocia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7(3), 437-457. 

  37. D. S. Kim & H. J. Kim. (2017). A study on the resilient cities using systems thinking: focus onfactors of population, finanace, real estate and environment,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8(1), 995-1017. http://doi.org/10.22143/HSS21.8.1.54. 

  38. O. S. Lee & M. O. Gu.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ixed methods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44(6),682-696. http://doi.org/10.4040/jkan.2014.44.6.682. 

  39. M. J. Kim, Y. S. Park & Y. H. Kwon. (2015).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on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1284-1291. http://doi.org/ 10.5762/KAIS.2015.16.2.1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