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도덕적자아, 도덕적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이 융복합시대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oral Self, Moral Behavior, Self-Control,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Age of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361 - 370  

제남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간호대학생 16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15일부터 4월 30일이며, IBM SPSS 21.0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사용하였다. 도덕적자아는 3.39점, 도덕적행동은 3.72점, 자기통제력은 3.68점, 공감은 3.53점, 대인관계능력은 3.69점, 간호전문직관은 3.90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 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은 전공만족도-만족함(β=.232, p=.002), 공감(β=.222, p=.003), 대인관계능력(β=.178 p=.016)순이었다. 설명력은 18.5%이었다(F=13.69, p<.001). 간호전문직관 향상과 올바른 확립을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공감,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성격과 학과적응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확인하는 추가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student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students in G-do, from March 15th to April 30th, 2019. Analysis was done using IBM SPSS 21.0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도, C시 일개 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교육컨텐츠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도덕적 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 정도, 간호전문직관과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 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교육전략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내용구성의 기초자료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도덕적 자아, 도덕적 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관련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내용구성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시행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전문직관은 어떤 개념인가? 직업을 선택하고 수행하는 데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중요한데, 타인에 대한 봉사와 간호의 전문성을 발휘해야 하는 간호직 역시 전문직관이 중요하다.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에 대한 생각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결합시킨 개념으로,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은 개인적 만족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간호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중요한 개념이 된다[3]. 간호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은 향후 진로분야의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대학생활 동안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의 형성은 중요하다[4].
대학생 시기는 무엇을 해야 한다고 하는가? 대학생 시기는 자아정체감과 인생관을 확립하고, 직업을 준비하는 시기로, 사회성과 전문성을 계발하여 원하는 삶과 직업 등을 정하고 준비해가야 한다[1]. 여성이 수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전문직 중 하나인 간호학은 인간의 이해와 원만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을 필요로 하고, 전문가로서의 자격과 면허증 취득을 준비하는 학문으로[2]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수의 학생이 선호하는 학문 중 하나이다.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간호대학생들은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간호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은 향후 진로분야의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대학생활 동안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의 형성은 중요하다[4]. 그러나 많은 수의 간호대학생들은 직업에 대한 깊은 성찰없이 졸업 후 타직업에 비해 쉽게 취업이 되는 경우가 많아, 신규간호사의 직업만족도는 낮고 이직의도는 매우 높아 직업유지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5]. 간호대학생이 전문인으로 성장해 가기 위해서는 간호에 대한 올바른 성찰과 전문직관 형성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 T. Park.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576-1583.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3.1576 

  2. K. J. Hong, Y. R. Tak, H. S. Kang, K. S. Kim, H. R. Park, W. H. Kwang, et al. (2002).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Health of Women Who Work in the Professional Job: Nurses and T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4), 570-579. DOI: https://doi.org/10.4040/jkan.2002.32.4.570 

  3. D. Adams, & B. K. Miller. (2001). Professionalism in Nursing Behaviors of Nurse Practione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7(4), 203-210. DOI: https://doi.org/10.1053/jpnu.2001.25913 

  4. T. J. Jang. (2014). The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Satisfaction in Major, and Self-leadership on Career Preparations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5. Y. H. Kim. (2013). Effect of Career Empowerment Program on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817-828. DOI: http://doi.org/10.5392/JKCA.2013.13.12.817 

  6. S. S. Hur. (2019). nce of Moral Self-Concept, Ethical Values on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 76-8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11.76 

  7. S. J. Lee. (2001).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8. G. H. Song, & G. P. Cho. (2013).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ral Self, Self-Control, Empathy and Moral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3), 23-44. UCI(KEPA): G704-001586.2013.13.3.005 

  9. J. H. Park. (2011).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Beyond Competition and Positive Thinking,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22(2), 137-166. UCI(KEPA): I410-ECN-0102-2012-360-002334803 

  10. H. J. Won. (1999). A Study on the Moral Self and the Moral Action Choic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J. O. Jeong. (2016). The Effect of an Empathy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Empathy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and Car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3), 2019.8, 344-356.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3.344 

  12. S. Y. Park.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Life Adjustment Instrument for Nursing Students. Doctor's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13. S. Y. Kim. (1995).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Process Variables Perceived by Children, Soci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Master's Thesis, Hyosung Women's University. 

  14. N. Eisenberg, R. A. Fabes, M. Schaller, & P. A. Miller. (1989). Sympathy and personal distress: development, gender differences, and interrelations of indexe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44), 107-26. DOI: https://doi.org/10.1002/cd.23219894408 

  15. J. P. Rushton, R. D. Chrisjohn, & G. C. Fekken. (1981). The altruistic personality and the self-report altruism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4), 293-302. DOI:https://doi.org/10.1016/0191-8869(81)90084-2 

  16. M. R. Gottfredson, & T. Hirschi.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Palo Alto.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17. H. G. Grasmick, C. R. Tittle, R. J. Bursik, Jr., & B. J. Arneklev. (1993). Testing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0, 5-29. DOI:https://doi.org/10.1177/0022427893030001002 

  18. H. S. Jeong. (1996). (A) study on the self-control and the delinquency opportunity of the delinquency adolescents and the normal adolescents.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19. H. Y. Park. (2004). Perceived Maternal Discipline style and Self-control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Doc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 M. H. Davis.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13-126. DOI:https://doi.org/10.1037/0022-3514.44.1.113 

  21. I. Kang, S. Lee, S. E. Kim, B. Jeong, J. H. Hwang, J. E. Song, et al.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8(5), 352-358. UCI : G704-001050.2009.48.5.006 

  22. S. Schlein, B. Guerney, & L. Stover. (197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Doctor's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3. S. M. Moon. (1980).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Related to Human Relations Training.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2), 195-203. 

  24. W. G. Lee. (2006). The Effects of Korean Parent-Child Relationship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diated by Self-Differentiation and We-consciousness. Docto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25. E. J. Yeun, Y. M. Kwon, & O. H. Ann.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35(6), 1091-1100. DOI: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26. H. J. Choi. (2017).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6). 68-7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6.68 

  27.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DOI: http://doi.org/10.3758/BRM.41.4.1149 

  28. E. Y. Jung. (2017). Association of Moral Self-concept and Ethical Values with Perception for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mong Students Majored in Healthcare Administration. Doctor's thesis, Chosun University. 

  29. S. Y. Suk. (2013). A Study on the Ethical Sensitivity and Moral Self-Concept of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30. S. Y. Kim, Soon-Yi(2018). The Influence of self-control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1), 253-262. DOI : http://doi.org/10.21184/jkeia.2018.1.12.1.253 

  31. J. Kim, & S. K. Hong. (2017). The Relationships between Moral Self-Concept, Ethical Sensitivity, and Empathy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0(3), 317-329. DOI: http://doi.org/10.35301/ksme.2017.20.3.317 

  32. M. Y. Mun. (2020).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Moral Behavior and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9), 1177-1191. DOI: http://doi.org/10.22251/jlcci.2020.20.9.1177 

  33. Y. Kwon, E. J. Yeun.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285-292. UCI : G704-001792.2007.13.3.001 

  34. H. S. Kim, I. S. Cho, J. Lim. (2011).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538-546. UCI : G704-001961.2011.17.3.017 

  35. E. Y. Hong. (2017). Convergence Study of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85-93.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085 

  36. M. H. Yun, M. G. Ji, M. W. Shin. (2020).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6), 183-192.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6.183 

  37. H. Jo, & S. Kim. (2017). Moral Sensitivity, Empathy and Perceived Ethical Climate of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the National Ment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6(2), 204-215. DOI: http://doi.org/10.12934/jkpmhn.2017.26.2.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