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 여학생의 골 건강 인지, 골 건강 지식 및 골질량 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Bone Health Awareness, Knowledge and Bone Mass Improve Behaviors among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277 - 286  

신경숙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 여학생의 골 건강에 대한 인지 및 지식과 골질량 증진행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와 D시 소재의 3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 여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16일부터 4월 4일까지 일반적 건강관련 특성, 골 건강 인지, 골 건강 지식, 골질량 증진행위 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간호대학 여학생의 건강 인지 수준은 1.79점이었으며, 골 건강 지식수준 8.86점, 골질량 증진행위 수준은 2.78점으로 나타났다. 골질량 증진행위는 골 건강 지식(r=-0.21, p=.005)과 초경연령(r=-0.21, p=.004), 하루 15분 햇빛노출(r=-0.44, p<.000)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골질량 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 3가지를 단계별 회귀분석으로 투입하였을 때 모델 1의 골 건강 지식(β=0.21, p=.005)과 모델 2의 초경연령(β=-0.20, p=.005)을 투입했을 때 보다 모델 3의 하루 15분 햇빛노출(β=-0.38, p<.000)이 투입되었을 때 골질량 증진행위에 대한 설명력이 증가하여 20.6%의 설명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골질량 생성에 비타민 D는 음식과 햇빛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므로 골량이 증가하는 여대생의 햇빛 노출은 골질량 증진행위에 중요한 요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bone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and the bone mass-improving behaviors of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72 nursing students attending nursing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6 to April 4, 2020, by using bone health awareness, bone h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골 건강 관련 인식과 골 질량 증진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골 건강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 교육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간호대학에 다니는 여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지식을 평가하고 골밀도 감소 관련 위험요인에 관한 인지와 행동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소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며, 골 건강에 직접적인 관련 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골밀도감소는 한번 발생하면 개선되기 어렵기 때문에 골소실을 예방하는게 매우 중요하며, 20대 초반부터 성인은 적절한 식이와 운동을 통하여 골형성을 도모하고 골소실 위험인자를 가능한 제거해야 할 것이다[2]. 따라서 골밀도감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근력운동과 적절한 식습관을 통한 칼슘섭취와 비타민D 섭취가 중요하며, 선행연구에서도 이와같이 칼슘, 비타민D, 여성호르몬, 흡연이 골 건강에 직접적인 관련요인으로 보고하였다[9]. 또한 하루 15~20분가량 햇빛 아래 있는 것만으로도 인체에 자연적으로 1000IU 가량의 비타민D가 생성되어 골밀도감소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여학생의 경우도 골밀도감소 비율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골질량의 형성의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나요? 골질량의 형성은 연령, 성별, 인종, 초경 나이, 체형, 가족력과 같은 유전적인 요인이 60~80%를 설명하고 더불어 흡연, 음주, 운동, 식이 및 약물복용 등 신체활동, 식이습관과 같은 생활습관 등이 골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7,8]. 또한 골밀도감소는 한번 발생하면 개선되기 어렵기 때문에 골소실을 예방하는게 매우 중요하며, 20대 초반부터 성인은 적절한 식이와 운동을 통하여 골형성을 도모하고 골소실 위험인자를 가능한 제거해야 할 것이다[2].
최대골질량이란 무엇인가요? 최대골질량이란 개인이 평생 축적되는 골량의 최대치로 알려져 있으며[5], 골격의 발달과 성장은 파골세포에 의해 제거되고 골아세포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함으로써 골흡수와 형성을 유지하면서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평생의 골격 건강상태는 성장기간동안 골질량이 최대화되는 것에 달려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Ferrari, M. Bianchi, J. Eisman, A. Foldes, S. Adami, D. Wahl, et al. "Osteoporosis in young adults: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steoporosis Internationa,. Vol. 23, No.12, pp.2735-2748, June. 2012. DOI: http://dx.doi.org/10.1007/s00198-012-2030-x 

  2. E. G. Matzkin, M. DeMaio, J. F. Charles, C. C. Frankl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what orthopaedic surgeons need to know", JAAOS-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Vol.27, No.20, pp.902-912, Cct. 2019. DOI: http://dx.doi.org/10.5435/JAAOS-D-18-00600 

  3. S. Ferrari, R. Rizzoli, D. Slosman, J. P. Bonjour,"Familial resemblanec for bone mineral mass is expressed before puberty",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83, No.2, pp.358-361, February. 1998. DOI: https://doi.org/10.1210/jcem.83.2.4583 

  4. A.D. Baxter-Jones, R.A. Faulkner, M.R. Forwood, R.l. Mirwald, D.A. Bailey "Bone mineral accrual from 8 to 30 years of age: an estimation of peak bone mas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Vol.26, No.8, pp.1729-1739, April. 2011. DOI: http://dx.doi.org/10.1002/jbmr.412 

  5. C.M. Gordon, B.S Zemel, T.A. Wren, M.B. Leonard, L.K. Bachrach at al. "The determinants of peak bne mass", The Journal of Pediatrics , Vol.180, No.1, pp.261-269, Novem. 2016 DOI: https://doi.org/10.1016/j.jpeds.2016.09.056 

  6. M.A. Levine "Assessing bone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dian journal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6, No.2, pp.205-212, Dec. 2012. DOI: http://doi.org/10.4103/2230-8210.104040 

  7. H. Chang, D.C. Chang, J.P. Myong, J.H. Kim, S.J. Lee, et al. "Bone mineral density among Korean females aged 20-50 years: influence of age at menarch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28, No.7, pp.2129-2136, March. 2017. DOI: https://doi.org/10.1007/s00198-017-3997-0 

  8. Y.J. Park, S.J. Lee, N.M. Shin, H. Shin, Y.K. Kim , Y. Cho et al. "Bone Mineral Density, Biochemical Bone Turnover Marker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Health in Young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 No.5, pp.504-514, Oct. 2014.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504 

  9. J.S. Lim, "Pediatric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interpretation and clinical and research application", Korean Journal Pediatrs, Vol.53, No.3, pp.286-293, Febr. 2010. DOI: http://dx.doi.org/10.3345/kjp.2010.53.3.286 

  10. T.H. Kang, M.S. Lee, S.H. Bae, Y.K. Kim "The 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9, No.3, pp.429-434, Sept. 2016. DOI: https://doi.org/10.17946/JRST.2016.39.3.18 

  11. S.R. Lee "The convergence study of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1, pp.311-320, Novem. 2016.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6.14.1.311 

  12. E.G. Oh, I.S. Ko, S.H. Chu, J.E. Lee, J.Y. Yoo "Fe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s related to bone health".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8, No.1, pp.38-48, Mar. 2012.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1.38 

  13. J.O. Koo, H.S. Ahn, S.Y. Yoo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habits of 20-30 years wom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sing. Vol.13, No.4, pp.489-498, August. 2008. 

  14. H.S Jeong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predictive factors of osteoporosis health behavior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2, pp.633-644, February. 2017 DOI : http://dx.doi.org/10.35873/ajmahs.2017.7.2.061 

  15. D.I. Park, K.S. Choi, K. Han "Health behaviors of Korean female nursing students in relation to obesity and osteoporosis". Nursing outlook. Vol.63, No.4, pp.504-511, July. 2015. DOI: http://dx.doi.org/10.1016/j.outlook.2015.02.001 

  16. H.J. Min, Oh HY. "A study o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2, No.2, pp.111-120, April. 2011.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1.22.2.111 

  17. Y.P Zhang, X.M. Li, D.L. Wang, X.Y. Guo, X. Guo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 on osteoporosis awareness and prevention among nurse students in China". Nursing & health sciences. Vol.14, N0.1, pp.74-80, Febr.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1.00665.x 

  18. A.K. Jeihooni,S.M. Kashfi, Z. Khiyali, H. Jamshidi, S.H. Kashfi, "The effect of education based on based health belief model on osteoporosis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women", Journal of Research and Health. Vol.9, No.1, December. 2019. DOI: http://dx.doi.org/10.29252/jrh.9.1.11 

  19. R.M.M. Hables, "Assessment of Hafr Albatin University female workers' knowledge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regarding osteoporosi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Vol.9, No.7, pp.94-100, March. 2019. DOI: http://dx.doi.org/10.5430/jnep.v9n7p94 

  20. S.H.R. Bashour, A. Kouds, "Osteoporosis knowledge and attitudes: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female nursing school students in Damascus". Arch Osteoporos. Vol.8, pp.149-156, Sept. 2013 DOI; https://doi.org/10.1007/s11657-013-0149-9 

  21. N. Sharif, F. Sharif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empower female students to prevent osteoporosi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Research. Vol.7, No.4, pp.207-213, Nov.2018. DOI: http://dx.doi.org/10.18502/jchr.v7i4.266 

  22. Z. Jalili, R. Askari, V. Sharifi, N. Nakhaei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practice of women concerning osteoporosis." Vol.36, No.2, pp.19-24, Apr. 2007 

  23. K.H. Cho, S.Y. Yim, S.H. Baik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factors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a health-related department".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5, No.2, pp.266-275, Sept. 2011.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1.25.2.266 

  24. N.S. Kim, Coronavirus infection-19 Current Status and Task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pp.1-13. 

  25. E.S. Choi, J.H. Kim, M.Y. Chung, K.H. Hwang "Development of an osteoporosis awareness scale for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8, No.6, pp.813-821, Dec. 2008. DOI: https://doi.org/10.4040/jkan.2008.38.6.813 

  26. E.S. Choi, Y.J. Lee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and self-efficacy of osteoporosis in you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6, No.2, pp.204-214, June.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204 

  27. R.L. Ailinger, H. Lasus, M.A. Braun "Revision of the Facts on Osteoporosis Quiz". Nursing Research. Vol.52, No.3, pp.198-201, June. 2003.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200305000-00010 

  28. E.J. Yoon The model explaining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osteoporosis .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p.45, 2001. 

  29. M.S. Seung J.Y. Cho "A study on the knowledge measures of osteoporosis for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ly for Multicultural Health. Vol.5, No.2, pp.65-70, 2015. 

  30. S.Y. Seo, J.S. Lee, "Influence of knowled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industrial worke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19, No.3, pp.340-349, Dec. 2012. DOI: https://doi.org/10.5953/JMJH.2012.19.3.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