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Competency-Based Social Welfar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359 - 369  

은선경 (케이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하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조사가 수행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중심교육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핵심역량과 각 학문별 전공역량을 포함한다. 역량중심 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회복지전공역량을 무엇이고, 전공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되어 있으며, 전공역량과 핵심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방법과 참여적 학습을 위한 환경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전공역량을 제시하지 않고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전공역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전공역량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는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공역량과 교과목의 목표를 매칭하여 제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의 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목표는 대학별로 설정한 전공역량과 매칭되고 있었다. 셋째, 교과목지침서에 교과목 목표달성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토론 등을 활용한 참여적 학습환경 제공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교수방법이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달성에 효과적인지는 교수방법의 구체성과 개념화 부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의 전공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교육목표 제시,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강의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통해 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교육성과의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social welfare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guidelines for social welfare published by the KCSWE (Korean Council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역량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교육이 현장에서 실제 적용가능한 실천기술과 태도에 대한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교과목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방법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대학의 학부과정에서의 사회복지교육은 사회복지 전문인력(전문가)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전문가를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종사하여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분야의 역량이 무엇이고, 그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되며, 교사의 역량증진과 학습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 사회복지교과목 지침서는 2년마다 사회적 및 실천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과목 개발이 이루어고 있는 바, 교과목의 목표가 역량과 어떤 관 계를 가지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즉, 사회복지교과 목지침서에 사회복지 역량설정과 일련의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앞서 각 대학들이 설정한 사회복지의 역량과 각 교과목의 교육목표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이란? 대학의 학부과정에서의 사회복지교육은 사회복지 전문인력(전문가)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전문가를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종사하여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사회복지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함은 사회복지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의 영역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훈련을 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대학교육이란 무엇인가? 대학교육은 보편적 지식의 탐구와 가르침을 통한 교양인 양성과 사회에서 요구하는 직업훈련과 전문인 양성이라는 대학의 목적과 역할에 따라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을 수행한다[13,20]. 주로 핵심역량에 따라 대학의 교과목을 매핑하게 되면서 일반적이고 보편적 역량을 중심으로 생애능력향상을 추구하는 교양교육은 핵심역량에 따른 매핑에 큰 무리가 없지만, 전공교육의 경우 학과의 전공역량과 대학의 핵심역량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20].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결과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전공역량을 제시하지 않고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전공역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전공역량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는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공역량과 교과목의 목표를 매칭하여 제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의 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목표는 대학별로 설정한 전공역량과 매칭되고 있었다. 셋째, 교과목지침서에 교과목 목표달성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토론 등을 활용한 참여적 학습환경 제공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교수방법이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달성에 효과적인지는 교수방법의 구체성과 개념화 부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의 전공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교육목표 제시,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강의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통해 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교육성과의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 L. Kang, "Study on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0, No.3, pp.195-220, 2020.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3.195 

  2. S. S. Paek, "Search for Directr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11, No.2, pp.13-51, 2017. 

  3.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learning (2016).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Retrieved from http://static.battelleforkids.org/documents/p21/P21_framework_0816_2pgs.pdf 

  4. J. I. Kim, "2018 Davos Forum, Presents 'Skills Revolution'" Brain, Vol.68, pp.64-67, 2018. 

  5. Enforcement Rules of Social Welfare Service Acts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3259&efYd20200103#0000 2020.05. 

  6. S. K. Kim, H. Kim, Y. H. Won, S. Choi, J. Ahn, J. H. Bae, S. Kim, "A Study of Developing Social Work Competency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43, pp.1-27, 2018. DOI: https://doi.org/10.31409/KJSWE.2018.43.1 

  7. J. H. Bae, "A Exploratory Study in Field Need for Improving Field Adaption of the Social Welfare Undergraduate Education: Focused on Core Competenc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14, pp.25-44, 2011. 

  8. S. Hong, M. M. Choi, "Social Work Education in Korea: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System and Suggestions for Quality Assuranc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11, pp.1-31, 2010. 

  9. A. J. Chu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ion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18. 

  10. K. H. Lee, M. K. Lee, J. Y. Seo, H. H. Byun, K. C. Kim, C. W. Yoo, J. Y. Lee, J. Y. Kim, K. J. Yoon, A Comparative Study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urriculum Survey from OECD Education 2030 Projec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11. C. Y. Jyung, W. S. Seo, S. I. Na, B. K. Song, K. J. Kang, "Strengthening Strategies of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Through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Journal of Va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19, No.2, pp.1-22, 2000. 

  12.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Homepage https://www.kcesa.re.kr/intro.do 2020.05. 

  13. J. H. Leem, Y. H. Park, M. H.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17, No.2, pp.125-153, 2015. DOI: https://doi.org/10.18211/kjhrdq.2015.17.2.005 

  14. H. Kim, K. Lim, Y. Choi,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pplication of Course Accreditation System in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20, No.2, pp. 1087-1105. 2020.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2.1087 

  15. K. So, J. K, J. Han, "Review on Competency-Model for Subject Curriculum: Focusing on Curriculum of England, Germany, and Canada",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23, No.3, pp. 153-175, 2013. 

  16. K. W. Lee, K. Baek, S. J. Lee, "Key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lationship with the Idea of the Educated Person, Educational Goals, and Subject Competenci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35, No.2, pp. 67-94, 2017. 

  17. K. M. Kim, "The Attractiveness and Limi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Maral Education, Vol.20, No.2, pp.171-197, 2009. 

  18. H. Han, E. J. Park, "Re-stipulating the Nature and Status of Theoretical Knowledge By Focusing on the Arguments of M. Young and R. Pring",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33, No.3, pp.29-49, 2015. DOI: https://doi.org/10.15708/kscs.33.3.201509.002 

  19. M. Young, D. Lambert, C. Robertsm M. Roberts, Knowledge and the Future School Curriculum and Social Justice, Bloomsbury Academic, pp.89-110. DOI: http://dx.doi.org/10.5040/9781472593405.ch-004 

  20. K. T. Seo, Y. K. Yun,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and Departm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ciology, Vol.9, No.7, pp.163-173, 2019. DOI: http://dx.doi.org/10.35873/ajmahs.2019.9.7.015 

  21.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Center for Colleges Evaluation and Consulting Homepage http://uce.kedi.re.kr/introduce3.do 2020.06. 

  22. CSWE Accreditation Homepage https://www.cswe.org/Accreditation 2020.05. 

  23. S. Kim,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Social Welfare Curriculum", Journal of Social Welfare History, Vol.2, pp.50-70. 2019. 

  24.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Educational Policy and Accreditation Stand.ards approved by the CSWE Commission on Accreditation, 2015. 

  25.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CSWE), 2022 Educational Policy(EP) with Track Change Developed by Commission on Educational Policy(COEP) and Commission in Accreditation(COA) Joint EPAS 2022 Subcommittee, 2019. 

  26. BASW, PCF-Social Worker https://www.basw.co.uk/professional-development/professional-capabilities-framework-pcf/the-pcf/social-worker 2020.05. 

  27. S. K. Kim, H. Kim, Y. H. Won, S. Choi, J. Ahn, J. H. Bae, S. kim, "A Study of Developing Social Work Competency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43, pp.1-27, 2018. DOI: http://dx.doi.org/10.31409/KJSWE.2018.43.1 

  28. Institute for Apprenticeships & Technical Education Homepage https://www.instituteforapprenticeships.org/apprenticeship-standards/social-worker-degree/ 2020.06. 

  29.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angnam University Homepage https://knusw.kangnam.ac.kr/menu/2fbf74ea79f017448adf45fbcc1d387e.do 2020.06. 

  30.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Homepage http://www.stu.ac.kr/CmsHome/stu03_01_04.eznic 2020.06. 

  31. The Guidebook for Social Welfare Subjects(2018) by Korea Counci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http://kcswe.kr/bbs/board.php?bo_tableb0401&wr_id17 2020.05. 

  32. The Guidebook for Social Welfare Subjects(2012) by Korea Counci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http://kcswe.kr/bbs/board.php?bo_tableb0401&wr_id15 2020.05. 

  33. The Guidebook for Social Welfare Subjects(2015-2016) by Korea Counci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http://kcswe.kr/bbs/board.php?bo_tableb0401&wr_id16 2020.05. 

  34. J. Chang, J. Kim, I. Park, " Undergraduate Students' Identofocation of Types,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Class", The Korean Journal of Educaional Methodology Studies, Vol.29, No.2, pp.371-396, 2017. DOI: http://dx.doi.org/10.17927/tkjems.2017.29.2.3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